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우주악당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3-03-10
방문횟수 : 833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2067 2015-05-24 12:45:35 1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믿고 아니고의 문제가 아니라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험 결과로써 나온 하나의 사실 입니다.
사실을 가지고 '나는 아닌거 같다, 아니라고 믿는다' , '아니라고 믿는 소수의 사람들을 무시하지 말라' 라고 하신다면
그냥 종교게로 가시는게 속편하실겁니다.
2066 2015-05-24 12:34:53 2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그것들을 정론이라 하지 않겠다 하신다면 지금 당장 네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인터넷은 사용을 하지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2065 2015-05-24 12:32:41 1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빛의 속력에 대한 연구는 가우스, 앙페르, 페러데이, 맥스웰, 아인슈타인으로 부터 쭉 이어져 오는 아주 간단하고 잘 정의된 이론을 바탕으로
수많은 잘 통제된 실험결과가 그 이론을 뒷받침 하는 아주 깔끔한 연구입니다.
2064 2015-05-24 12:30:40 1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광속의 가변성을 어디서 연구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매질 속에 빛을 가두는 실험이나 빛의 속력을 늦추는 실험은 많이 하고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매질 속에서' 이고 당연히 매질속에서는 결정 격자간 상호작용이나 전자-광자간 상호작용 때문에 속력이 느려질 수 있죠.
광속이 불변이다 라고 하는것은 매질속과 진공 상태에서의 두경우의 차이를 보는게 아니라
똑같이 진공상태에서 관찰자의 운동상태가 어떻든 간에 빛의 속력은 일정하다라는 겁니다.
2063 2015-05-24 12:16:39 0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시간이 다르게 흘러간다는건 빛의 속력과 전혀 관계가 없고 중력에만 관계가 있다 라기보다
빛의 속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관찰자의 상황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흘러가야 하고 중력또한 시공간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중력도 관계가 있다라고 보는겁니다.
2062 2015-05-24 12:14:19 1
[본삭금] 빛의 속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새창]
2015/05/24 11:44:00
쌍소멸을 하든 핵융합을 하든 핵분열을 하든 뭘하든 간에 빛은 다 똑같은 광자입니다. 다만 파장이나 에너지가 다를뿐이죠.
빛의 속력에 대한건 맥스웰 방정식으로 부터 도출된거고 실제로 실험해보면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진 광자든 간에 진공에선 똑같은 속력을 갖습니다
2061 2015-05-22 13:23:43 0
박일호에서 로오마 쓰면 안되나요? [새창]
2015/05/22 13:13:50
한가지더, 홀딩은 그냥 막쓴다고 무조건 좋은게 아니라
적절한 타이밍에 써야 빛을 보는 스킬입니다
예를들면 율케스 힐캔이나 죽신 흉캔할땐 홀딩이나 경직을 줘서
모션을 캔슬 함으로써 딜로스를 줄임과 동시에 딜타임을 벌수 있게 되는거죠
2060 2015-05-22 13:20:13 0
박일호에서 로오마 쓰면 안되나요? [새창]
2015/05/22 13:13:50
바크는 반고정된 몹인지라 로오마 같은 홀딩기는 쓰나마나에요
게다가 홀딩기를쓰면 이동저지 타이밍을 놓쳐버릴수 있기 때문에
안쓰는게 좋죠. 거기다가 파티원들의 팀웤이 안좋으면 한번에
훅갈수있는 맵인지라 한명이 실수하면 배로 욕먹습니다
시즌2부터는 팀웤중시 맵이 좀 있기 때문에 공략을 꼭 보시고
들어가세요
2059 2015-05-21 12:51:34 0
고속도로 다니다보니 문득드는 생각 [새창]
2015/05/21 12:27:51
흡수를 잘한다뿐이지 그걸 다른 에너지로 내놓는건 잘할지 모르겠네요
효율도 그리 좋은거 같지 않구요
차라리 도로 전체를 태양광 집열판으로 만드는게 더 효율이 좋을거 같습니다
2058 2015-05-19 22:02:58 0
한가지 질문해두 돼나요? [새창]
2015/05/19 21:15:36
한가지더, 중력이 있다고해서 두물체가 무조건 충돌하라는 법은 없습니다.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물체가 움직인다면 그 물체는 구심력이 있는 원운동을 할겁니다.
좀 더 포괄적으로 보면(움직이는 방향이 힘에 수직이 아니면) 타원운동을 하겠죠.
우주의 모든 물질은 중력이라는 중심력을 받고 그에 따라 타원운동을 합니다.
이것은 뉴턴이 뉴턴의 법칙을 세울때 발견한 사실이기도 하고 케플러가 계산과 관측을 통해 밝혀낸 사실이기도 합니다.
2057 2015-05-19 21:57:49 0
한가지 질문해두 돼나요? [새창]
2015/05/19 21:15:36
질문이 어떤내용인지 잘 모르겠지만
우선 중력은 두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어떤 두 물체가 있는데 두 물체의 질량이 크거나 거리가 가까우면 중력이 쎄고, 질량이 작거나 거리가 멀면 중력이 약합니다.
지구와 지구에 있는 사람을 예로 들었을 때, 사람의 질량은 작지만 지구의 질량은 어마어마하게 크기 때문에 중력도 그만큼 큽니다.
또한 사람이 지구 표면에 붙어있다면 그만큼 중력이 크겠죠.
하지만 그 사람이 로켓을 타고 지구와 멀어지면 사람과 지구 사이의 중력은 약해집니다.
무한히 멀어진다면 지구의 중력은 더이상 사람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겠죠.
글 중에 우주에 있는 사람이 평온하게 둥둥 떠다닌다는건 상대속력을 생각해보면 금방 답이 나옵니다.
예를들어 차를 타고 시속 100km/h로 달리고 있다고 했을때 차안에 있는 사람은 아주 편안하게 앉아서 가고 있죠.
차와 사람의 상대속력이 0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깥에서 정지한 사람이 보기엔 차와 차에탄사람은 둘다 100km/h로 달리고 있죠.
마찬가지로 우주선은 지구에서 볼때 엄청나게 빠른 속력으로 지구 주위를 맴돕니다.
하지만 우주선에 탄 사람은 우주선과의 상대속력이 0이기 때문에 편안하게 있을 수 있는겁니다.
2056 2015-05-19 20:38:12 0
어처구니 없는 질문이지만 [새창]
2015/05/19 20:29:24
증발시킨후 고전압을 걸어 이온화 시키면 됩니다.
2055 2015-05-19 20:31:16 0
인류가 에너지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것이 언제쯤이라고 보십니까? [새창]
2015/05/19 02:00:15
q꾼p/
핵융합이 되는거랑 상온초전도체가 가능한거랑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2054 2015-05-18 23:47:03 0
저는 NPC 중에 [새창]
2015/05/18 23:04:43
미친척 하면서도 모든걸 다 알고있죠
예전에 대마법사라고 불리기도 했다고 하고 스토리 진행하다보면 브린때문에 소환된 글라스기브넨이랑 놀아주는게 재밌었다고 할정도로 실력도 있구요
2053 2015-05-18 10:11:38 1
눈팅하고 계신 여시분들께 말합니다. [새창]
2015/05/18 09:50:06
조금만 생각해보면 당연한건데...
식민지배하에 있던 나라가 어떤 사건으로 독립했는데
그 전범국가에서 온 어떤 사람이 "저 국적은 전범국가로 되어있는데 거기 있기 싫어서 나왔어요" 하면
어느 누가 어이구 잘했어요 하고 받아줄까요?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21 22 23 24 2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