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
2025-02-13 09:21:15
1
읽기 힘들어서 이해를 잘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적어볼게요
인플레이션은 돈을 찍어냈기 때문이라는건 같은 의견 같아요
그럼 왜 돈을 찍어내느냐
안찍으면 무슨일이 벌어지는가
왜 찍어냈는가를 생각해봐야 할거같아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가상의 섬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외부와의 교류는 절대없는 100%내수로만 경제가 돌아가요
그 곳엔 10명의 사람이 살고있어요
그리고 물물교환을 쉽게하기 위해 총 통화는 만원으로 정했고 10명에게 천원씩 나눠줬습니다
A는 어부입니다
B는 농부입니다
이 섬에 폭풍이 몰아쳤습니다
A의 배는 사라졌고 B의 농기구도 사라졌습니다
A는 C에게 1000원을 빌려 어업활동에 필요한 것들을 준비했고 물고기를 잡아 판 돈으로 이자쳐서 1100원을 갚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마찬가지로 B는 D에게 1000원을 빌리고 농사가 끝나고 이자쳐서 1100원으로 갚기로 약속했습니다
A와 B는 진짜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래서 물고기도 문제없이 잘 잡혔고 농산물도 문제없이 잘 수확했고 그걸 판 돈으로 A와 B는 돈을 갚았습니다
이 상황이 문제없이 경제가 잘 돌아간것으로 보이지만..
아주 큰 문제가 발생해버렸네요
시중에 유통시킨 돈은 만원인데 이자로 갚아야 할 200원이 생겼기때문에 10200이 돌지않으면 누군가는 파산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극단적인 예로 가보면 A는 B에게 이자비용 500원을 B는 C에게 이자비용 500원 이렇게 열명이 이자를 500원씩 내야한다고 생각해보면
제가 나서서 이자를 전부 탕감해주거나 이자비용만큼 돈을 찍어내지 않으면 문제는 해결되지 않죠
경제활동을 하려면..통화가 통일되거나 기축통화가 있거나 해야하는데
새로운 통화를 만들고 특정부류만 사용한다면 서로간의 경제활동은 많은 제약에 부딪히겠지만..
이 부분을 제외하고도 인플레이션 문제가 있네요
투자를 위해 혹은 생계를 위해 누군가는 돈을 빌려야 하고 이자를 내고 결국 돈을 풀어야져…
그 외에도 환율문제가 있겠네요
그 나라의 경제상황이나 통화량 등등에 의해 환율이 변동이 되는데..
메이져와 마이너통화는 서로 통화량이 다를거고 결국 환율변동은 발생할 수 밖에 없을거고…
메이저와 마이너통화의 통화가치를 내가 고정시킨다는것 자체가 불가능한것을 알 수 있구요
이러한 문제점들도 한번 고려해보심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 남겨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