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태아와 기생에 대해 한 마디 끄적여 봅니다.
게시물ID : science_499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빨간망치차차
추천 : 1
조회수 : 867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5/05/14 11:21:31
베스트 게시판 보니 '태아가 엄마 몸에 기생한다'느니 하는 여시 얘기가 올라와 있더군요.
사실 태아가 엄마 몸에 붙어 있는 걸 보면 신기하긴 합니다.
임신 초기 융모막 호르몬(HCG)을 분비하면서부터 엄마 몸에 호르몬 변화를 일으키죠.
임신이 아니라면 퇴화됐어야 할 황체가 남아있거든요.
이후에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젠을 직접 분비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식거부반응이 없습니다.
내가 지금 엄마에게 장기를 이식하면 거부반응이 나타날텐데 말이죠..
영양물질 공급과 노폐물 배출은 당연히 엄마에게 의존합니다.

Slide6.JPG




그리고 기생충 얘기가 나와서 이것도 해볼려고요
http://en.m.wikipedia.org/wiki/Effects_of_parasitic_worms_on_the_immune_system
기생충이니만큼 숙주의 영양분을 뺏는 건 당연히 일어납니다.
일부는 숙주의 면역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네요.

긍정적 측면(물론 기생충도 다양하니 종에 따라 그 영향도 다릅니다.)
  1) I형 당뇨병 방지
  2) 천식과 알러지 완화
  3) 장염 완화
  4) 관절염 완화 
  5) 다발성 경화증(MS) 완화

부정적 측면
  1) 백신 효과 저하: 개발도상국이 집단면역에 골머리를 앓는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된답니다.
  2) 간염: 흡혈충은 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HIV: 네. 에이즈 바이러스네요. 면역력을 저하시킵니다.
  4) 결핵: 기생충이 결핵을 악화시킬 수 있답니다.
  5) 말라리아: 연충이 말라리아에 쉽게 감염되게 하여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기 쉬워진답니다. 대신 악화된 증상은 막아준다네요(응??)

영문위키는 제대로 해석한 건지 모르겠네요.
출처 http://en.m.wikipedia.org/wiki/Effects_of_parasitic_worms_on_the_immune_system
http://classes.midlandstech.edu/carterp/Courses/bio211/Chap28/Slide6.JPG

그리고 어디선가 주워 들은 것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