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건강하게 과학적으로 다이어트 하기
게시물ID : science_5032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쏘피마르소
추천 : 0
조회수 : 51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5/21 19:56:36
옵션
  • 창작글
  • 베스트금지
제가 좋아하는 연예인이 미역으로 원푸드 다이어트 한다는 소리를 듣고...
너무 비과학적인 다이어트인거 같아서 (효과는 없고 몸만 망가질거 같아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다이어트 하라고 정리하게 된 글인데...

이상한 점, 잘못된 점 없는지, 관련 전문가 분들의 피드백 좀 부탁드려요.
+ 관련된 좋은 글이나 기사 링크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어디 다른데 올릴려고 작성한 글이 아니라, 글이 반말투인건 양해바랍니다.




This document is rendered by docuK (See also github and SEE (Super Easy Edit)).

건강하게 과학적으로 다이어트 하기

작성중인 글. (당장의 추진력이 딸려서 완성하는데에는 한참 걸릴듯도... Section 을 나눠서 더 체계적으로 쓰고 싶은데... 당장은 귀찮;;;)
너무 비과학적으로 다이어트 하는 사람이 많은거 같아서 정리하려고 함.
ps. 뭐 나보다 더 전문가들이 글 많이 썼을테니, 알아서 잘 검색해보시고, 과학적으로/비판적으로 글 읽으시면서 본인에게 맞는 다이어트 방법 선택하시길... (자칭/타칭 전문가란 사람들이 썼다고 아무 글이나 그냥 무작정 믿지 마시길... 원푸드 다이어트 같은거 극혐 ㅡ..ㅡ;;;)

T1.음식 중독?

▼ Show/Hide
Fig. (1-1): 중독이란 무엇인가? - 오세관 교수 / YTN 사이언스
음식을 너무 먹는것, 자제 못하는 것도 약간은 중독 증세에 해당함.
보통 우리나라는 탄수화물 중독 
[01]
 만 많이 이야기 하지만, 내가 볼 땐 그냥 음식중독. 우리나라가 탄수화물 중독만 많이 이야기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탄수화물에 치중된 식사를 많이해서임. 육류식사를 많이 하는 나라들에서는 단백질 중독, 지방 중독 이야기를 많이 하는듯. 아무튼 균형잡힌 식사가 중요.
맛있는 걸 먹을때 우리 몸의 기관들 (혀, 코, 위 등) 이 뇌에 기분좋은 신호를 보내는데, 이런 기분좋은 신호들에 뇌가 중독되는 것임.
음식 중독인 사람들 (보통 의지가 약한 사람들? 의지박약?) 은 음식 양을 조절 못하는 경향이 있음. 다이어트 한다고 한참 굶었다가 다시 못참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고...

T1.1간헐적 단식 등을 통해 뇌의 음식중독을 극복합시다.

뇌가 저런 기분좋은 신호들에 의해 중독되어 있을땐, 뇌를 저런 신호들로부터 충분히 쉬게 해주는게 중독 치료에 좋음. 간헐적 단식, 명상, 아니면 다른 형태의 기분좋은 신호 (춤? 음악? 같은) 등으로 이런 음식중독을 극복합시다.
배고픈 증상도 어느 특정 시점을 지나면, 다시 수그러 듬. 뇌가 "나 배고파 언능 뭐라도 먹어야 돼. 그렇지 않으면 죽어." 이러면서 신호를 보내는 걸텐데, 이런 신호도 특정 주기를 가지고 보내는거라 한번의 주기만 참으면 일정기간동안은 참을만 해지는 시간들이 있음. 한번의 위기를 잘 넘깁시다.
일주일~한달에 한번정도는 16~24시간 정도의 단식을 통해 혈액 속 당분을 완전히 태우고, 몸이 지방을 태워서 에너지를 쓰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 (간헐적 단식 글들 참고 
[03]
[04]
[05]
.)
▲ Hide

T2.우리 몸의 에너지 보존 법칙

▼ Show/Hide
에너지 보존 법칙. 먹은 만큼 찌고, 몸이 에너지를 쓴 만큼 빠짐.
뭐 이건 살찌는 체질/DNA 가 있고, 안찌는 체질/DNA 가 있어서, 똑같이 먹고 똑같이 운동한다고 할지라도 사람마다 더 살찌는 사람이 있고, 살 안찌는 사람이 있고 하다고는 함. 또한 사람마다 소화기관의 흡수율도 다르긴 할테고...
먹는 양, 에너지를 쓰는 양은 사람마다 개인화해서 계산을 해야겠지만, 에너지 보존 법칙은 다 성립하긴 함... 본인이 쓰는 에너지보다 섭취하는 음식이 많으면 찌고, 그 반대면 살이 빠지는 것.
보통 기초/신진대사량이라고 많이 지칭하는게 우리가 숨만쉬고 대충 활동했을때 우리 몸이 쓰는 에너지 양임. 보통 3500 kcal/하루 요정도 나오나? 뭐 정확한 수치가 중요한건 아니고... 이건 사람마다도 다르고, 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의 컨디션, 몸무게 변화, 활동 변화에 따라서도 변화폭이 크니까. 너무 숫자에 얽매이진 맙시다.
본인이 본인 몸을 제일 잘 파악할 수 있을테니까. "나는 하루에 이정도 음식을 먹으면 살을 찌는구나.", "나는 머리 쓰는 일 엄청 열심히 하면, 음식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찌는구나.", "난 운동 조금만 해도 근육이 많이 붙고, 살이 금방 빠지는구나.", "난 운동해도 근육이 잘 안붙는구나.", "난 이런 음식은 흡수를 잘 못하고 배탈나는구나." 등등 본인 몸은 본인이 체계적으로 잘 관리합시다. 전문가/의사의 도움도 필요할때가 있긴 할텐데, 관리는 그래도 본인이 해야 하니까.

T2.1건강식으로 적당량을 골고루 먹읍시다.

우리 몸에서 꼭 필요로 하는 것들이 있으니, 이것저것 자신의 경제력에 맞춰서 골고루 잘 챙겨먹는 것이 중요. 뭐 탄수화물만 먹는다고 죽진 않으니까, 이런건 본인이 알아서 합시다.
뭔가 건강에 좋다느니 하면서 광고 때리는 건강음식들은 대부분 그냥 기업들의 과장하는 면이 크기도 하니까... 돈이 없으신 분들은 이런거에 크게 얽매이지는 마시길.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본인 체질에 맞는지 아닌지 확인하면서 돈 쓸곳에 쓰시면 되겠고... (좋은 경제철학으로 경제를 좀 돌립시다.)
ps. 정보화 시대에 할인정보들을 잘 이용하면, 싸게 잘 챙겨먹을 수 있음 
[06]
.

T2.2저염식 합시다.

소금을 많이 먹으면 우리 몸이 수분을 더 많이 붙잡아두려고 함. 즉, 물살이 찌게 됨. 우리 몸의 70~80% 가 수분인걸 생각하면, 몸의 수분이 빠져있는 상태로 몸을 잘 유지할 수 있다면 몸무게 및 보이는 체형이 많이 좋아질 수 있는듯.
특히 우리나라는 국물/탕 종류에 소금이 엄청 많이 들어 있는데, 이런거 먹을때 국물까지 다 마시는 사람들이 소금을 엄청 섭취하게 되어서 물살이 많이 찜. 이런 경우는 에너지가 축적된게 아니라 물살인 경우가 많아서 소금양만 줄이면 몸무게가 금방 빠지긴 하는듯.

T2.3여성적인 몸매를 위해서는 여성 호르몬이 많은 음식을?

내가 남자라 이쪽은 크게 관심이 없긴 했는데... 대략적으로 내가 알고 있는 지식만 이야기 하자면,
여성분들은 살 뺄때 뱃살, 팔다리 이러쪽이 많이 빠지길 바라고, 가슴이나 엉덩이/골반 부분은 어느정도 유지되기를 바라실텐데, 이 경우 여성호르몬이 많은 음식 위주로 먹으면서 다이어트를 하면 된다는듯?
여성 호르몬이 가슴을 조금 자라게 하고, 피부를 고와지게 하고, 체형을 여성형으로 바뀌게 만든다는듯. 뭐 허벅지쪽에 지방을 축적하게 한다는 이야기도... (임신시 태아의 에너지 공급용인듯). 하체 비만인 분들에게는 안좋은건가 그러면??? (ref 들을 정확히 찾아서 넣고 싶당;;; 당장 찾기가 귀찮아서 내가 기억한대로 작성+엔하위키 조금 참고. 그런데 엔하위키 같은데도 신뢰도는 그닥이긴 해서... 논문 같은거 찾아서 나중에 ref 추가 할 예정.)
뭐든 너무 과한건 좋지 않으니까. 너무 막 여성호르몬 넘쳐 흐르도록 식단 짜지는 마시고... 적절히 조정합시다.
여성 호르몬이 많다고 알려진 음식들이 석류, 콩/두부 이런거였나? =ㅂ= (이것도 ref 필요. 각자 검색해서 찾아보시길.)
▲ Hide

TReferences and Related Articles

▼ Show/Hide

TRefs.1음식 중독

동아닷컴 - 밥, 빵, 국수 폭풍 흡입 알코올 중독보다 해로워, 2014-04-11

TRefs.2체질 :: 살 찌는/안찌는 DNA

News Peppermint - 매일 운동을 해도 운동 능력이 떨어진다면?, 2015-05-07
// 이 글에 완전 동감하는건 아니고 "몸 전체 근육이 잘 발달하는 DNA 가 있을테고, 근육이 잘 발달하지 못하는 DNA 가 있는" 건 맞아보이긴 하니까.

TRefs.3간헐적 단식

동아사이언스 - [강석기의 과학카페 182] 단식의 과학 - 암 위험성 낮추고 인지력 높여, 2014-06-16 레이디경향 - 몸이 가벼워지는 비움의 시간, 간헐적 단식, 2013-05 헬스조선 - 몸 안의 독소 쏙~ 빼는 '주말 단식', 2011-02-13
위와 장이 쉬는 기간
금요일부터 서서히 준비
밖에 나가 가볍게 운동해야

TRefs.4Etc.

kipid's blog :: 음식점 할인정보 정리. (App Surprise), 2015-05-20
// 후배가 만든 앱이라 홍보도 해줄겸 작성했던 글.
출처 http://kipid.tistory.com/entry/%EA%B1%B4%EA%B0%95%ED%95%98%EA%B2%8C-%EA%B3%BC%ED%95%99%EC%A0%81%EC%9C%BC%EB%A1%9C-%EB%8B%A4%EC%9D%B4%EC%96%B4%ED%8A%B8-%ED%95%98%EA%B8%B0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