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당질제한식이란?
게시물ID : diet_10192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엡베베베베
추천 : 2
조회수 : 1497회
댓글수 : 13개
등록시간 : 2016/10/03 11:43:58

25초부터 번역시작합니다.

당뇨병이 생기면, 혈중 포도당을 의미하는 혈당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포도당은 에너지원이며, 췌장으로부터 분비되는 인슐린의 활동에 의해 근육과 지방세포에 저장되게 됩니다.
그런데, 인슐린의 분비량이 줄거나 하면, 혈당은 혈중에 높은 상태가 유지됩니다.
이대로 방치하면 괴사가 되거나, 망막증 등으로 실명하거나, 신장을 아프게하거나 합니다.
당뇨병환자는 예비당뇨병환자를 포함하여 2200만명, 일본인구 6분의 1이다.
설탕은 물론, 밥, 빵, 면 등에는 당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일본당뇨병학회는 당질제한식에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1분49초) 당뇨병학회가 추천하고 있는건 칼로리 제한식이라 불리는 것이다.
칼로리를 줄이고, 전체칼로리의 50퍼센트를 탄수화물로 가져간다
미야모토씨의 당질제한식에는 탄수화물 섭취량이 매우 줄어든다.
다만, 칼로리 제한은 그리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2분22초)밥과 스테이크는 혈당을 어떻게 올릴까?
이것은 당뇨병환자분들이 집에서 혈당을 측정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입니다.
이것으로 공복때의 혈당을 측정해 보겠습니다.
저는 어제밤 10시부터 아무것도 안먹었습니다.
공복 혈당 98
밥을 한그릇, 우메보시와 먹습니다.
밥은 150그램이다. 식후 30분후 혈당치는 96 거의 변화가 없다. 1시간 뒤에는 어떨까
139이다. 꽤 올랐네요 1시간 반뒤에는 107 2시간뒤에는 94로 내렸다
다음날 아침, 이번엔 sirloin스테이크 200그램을 먹는다. 30분뒤 89 1시간뒤 98 1시간반뒤 88
스테이크 먹으면 수치가 확 올라갈줄 알았는데요,, 에... 거의 변화가 없네요
(4분 7초) 지방과 단백질이 많은 스테이크를 먹어도 혈당치는 올라가지 않는다.
당질이 많은 밥은 식후 1시간 뒤를 피크로, 혈당이 올랐다
당뇨병환자는 이 상승폭이 더욱 높아진다.
혈당치가 180을 넘으면, 혈관에 질병이 생길 위험이 있다. 
체내에서 포도당이 되는 것은 당질 뿐이기 때문에, 당질을 먹지 않으면, 혈당치의 상승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이 당질제한식의 원리다.
(4분 46초) 당질제한식으로 당뇨병 치료에 효과를 올리고 있는 병원이 쿄토에 있다. (다카오 병원)
병원의 에베이사장은 당질제한식을 일본에 널리보급하고 있는 창시자격인 사람이다.
2001년 환자가 처음으로 혈당치 560의 증상으로 입원해왔고, 보통의 칼로리제한식, 현미, 산책 등에도 혈당치는 400 정도였습니다.
그때 처음으로 당질제한식을 해봤습니다. 그랫더니 그날부터 식후 혈당치가 200.. 순식간에 한두달에 거의 정상이 됬습니다.
그래서 놀래서 그때부터 철저하게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5분 44초) 당뇨병환자를 위한 당질제한식은 밥이 없는 만큼 반찬이 늘어난다. 
조미료는 뭘 하나요? 보통처럼합니다. 간장뿐입니다.
(6분 1초) 이것이 오늘 점심의 당질제한식이다. 일반식과 칼로리는 거의 같지만, 밥과 츠케모노가 없는 만큼,
소고기와 무를 삶은 것, 낫토와 치즈가 더해져있다.
당질은 11.43그램으로, 일반식의 6분의 1이다.
(6분30초) 야마모토씨는 16년전 당뇨병으로 진단받아, 의사의 지도로 칼로리 제한식을 지속해왔다.
하지만 혈당치 컨트롤이 어려워져, 6년전, 인슐린 주사를 맡기시작햇다.
그리고 올해 6월, 걱정하는 가족들의 추천으로, 이 다카오 병원에 입원했다.
야마모토 쿠미코 " 불안했습니다. 밥을 먹지못하게 되는거 아닐까 하고,,,하지만 전혀요 일단 양이 많구요, 양념도 잘 되어 있어서, 아주 만족하고있습니다"
야마모토씨의 입원 당시 하루의 혈당치 변화가 많았다(칼로리제한식을 할때)
당질제한식을 도입하고 4일 뒤 수치가 아주 좋아졌다.
야마모토 쿠미코 "인슐린을 맞지 않아도 되고, 약도 안먹어도 되고, 여기 들어와서 좋습니다(잘안들림)"
(7분 44초) 당질제한식은 일부대학부속병원에서도 시작되고 있습니다.
키타사토 연구소 병원도 그중 하나다. 
당뇨병환자에게 제공된 점심에는 밥이 없다. 다만 이곳의 당질제한식은 쿄토의 다카오병원의 당질제한식보다 스무스해서
한끼의 40그램까지의 당질을 제공하고 있다.
당근이 니모노(익힌것)에 들어가있는것도 그러한 이유다.
야마다 센터장 " 칼로리제한식이 잘 안되는 사람들을 위해 당질제한식은 유효한 치료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병원의 레스토랑에는 보통사람들도 당질제한식을 체험할 수 있다.
다 먹어도 당질은 밥한그릇보다 적다.
빵도 당질이 적은 종류이다.
(8분57초) 널리 퍼지고 있는 당질제한식이지만, 일본당뇨병학회의 생각을 들어봤다.
키요노 이사 " 학회의 식사요법에는 당질제한식이 없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유연한 방식으로 이걸 해도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학회내에서 의논할 수 있도록 요망하고 있습니다"
당질제한식의 문제점도 알려주었다.
키요노 이사 " 장기적으로 혈관 장해를 방지할 수 있을까 없을까가 첫째로, 탄수화물을 극단적으로 줄이면 전신의 장기에 어떤일이 생길지, 이 두가지가 말이죠, 아직 확실히 해명되지 않으면 누구에게 추천할 수 잇는 것은 아니라고...."

(10분 01) 여기에 대해서 타카오 병원의 에베 이사장은 이렇게 답한다.
에베 이사장 " 저는 슈퍼 당질제한식을 해온지 11년이고, 중성지방은 대략 40,,, 지방 높은거만 먹어두요..
지금까지 확인된 동맥경화 리스크 요인의 혈액 검사 데이터는 모든것이 혈당을 포함해서 개선되었습니다"
실은, 에베 이사장도 당뇨병환자이다. 점심에는 환자들과 같이 병원의 당질제한식을 먹는다.
당질제한식을 해서 11년이 된 자신이 식단의 유효성을 증명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에베 이사장은, 생각도 못한 지론을 펼쳤다.
에베 이사장 "모델로 할만한건 이누이트, 4천년이상 생고기, 생생선, 엄청 당질제한식으로, 기본적으로 이 이누이트에게서 발견하기 힘들었던 병이
당뇨병과 심근경색, 동맥경화등의 병입니다."
(11분 5초) 인류가 쌀이나 보리등의 먹기 시작한 것은 농경이 시작한 1만년 전의 이야기이다. 그이전의 몇십만년간의 기간동안 
인류는 수렵과 나무열매등으로 이누이트와 같은 당질이 적은 식사를 해왔다. 
에베 이사장 " 원래 선조들이 먹었던 음식을 먹는게 당질제한식입니다. 그래서 (잘안들림.. 죄송) 전신의 혈류의 대사등이 좋아집니다."
(11분 35초) 사실 당질제한식을 하면, 포도당이라는 주요 에너지원이 줄어들게 된다. 문제는 안생기는걸까
인간의 에너지원은 두가지 잇다. 포도당과 지방이다. 포도당은 1그램에 4킬로칼로리, 지방은 그 배이상이다.
쉬지않고 활동하고 잇는 심장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쓰고 있다. 뇌는 포도당을 쓰고있다. 근데 포도당이 적어지면 지방으로부터 얻어진 케톤이 포도당 대신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질제한식에는 이런 지방계열의 에너지원이 잘 활용되게 된다. 
사실, 케톤체가 급격이 오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12분 42초) 케톤체 증가에 대한 우려
키요노 이사장 "케톤체를 사용해서 당뇨병환자들이 하는것이 바람직한가 아닌가를 말하자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에베 이사장 " 우선 케톤체라고 하는 것은 뇌의 가장 유력한 에너지원입니다. 뇌가 포도당만 쓴다는건 명확한 잘못으로, 인슬린 작용이 확보되어 있다면
케톤체라는 것은 안전합니다(1형당뇨는 피하라는 소리)." 
다만, 당질제한식을 하는게 위험한 사람도 있습니다.
에베 이사장 " 당질제한식을 한다면 우선 신체검사를 해서 신장기능장해, 활동성 췌장염도 지방 많이 먹으면 안되구요,
간경변 환자도 당신생(gluconeogenesis)가 잘안되기 때문에, 이걸 하면 함부로하면 정말 저혈당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이까지 하고 외출합니다.

갔다왔습니다 계속합니다.

(13분 51초) 미국당뇨병학회 
콜로라도 대학 다나 다베리아 교수 " 당질제한식은 혈당치를 보다 잘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단기간의 효과는 명확합니다. 다만 몇년 몇십년간 했을 시에 어떻게 될지는 연구가 충분하다고는 말 못하겠습니다 " 
장기간의 연구가 불충분하다고 하지만, 전문의들이 이 식단의 효과를 인정하여, 여러 식단의 선택지 중 하나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그들이 지적하고 있는것은 당질제한식의 다이어트 효과이다. 

14분 42초부터 오디오가 짤렸네요... 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영상에 오디오가 없어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