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보이지않는 주인
게시물ID : sisa_102087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메타세
추천 : 5
조회수 : 55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8/02/07 11:27:59
1.더글라스 러시코프라는 사람이 쓴 책인데....

이 책을 한줄로 요약하자면 기업적 입장을 무의식적으로 내면화 하는 사람들이 만드는 사회적 양상을 사례로 들면서 이걸 코포라티즘이라고 명하다.

입니다. 

그런 사례는 책의 목차만 읽어봐도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601967 아...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이게 각자도생이던 한국 사회에서 보편화 되었던 문제였거든요. 

시장이라는 환경을 바탕으로 한 '개인화'는 어떤 문제를 함의할 수 밖에 없다는 거죠.   


그러다가 최근에 우리 사회가 방향전환을 꾀합니다. '연대'를 추구하는 방향으로요.   

아파트 경비일 하시는 분 경영에 불리하다고 인원감축하고 해고 하는게 아니라, 아파트 주민이 주도하여 같이 어우러지게. 근본적으로는 위 입장이 '공동체 뿐 아니라 거기에 속한 개인의 목숨까지 위협한다' 는 걸 실감한 효과라고 생각합니다.

이 움직임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때로는 정책적인 의견충돌과 빨갱이 논란이 일어나기도 함.

이 책이 나오던 당시는 '낙수효과'가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던 시기였습니다. 지금은 아무도 동의하지 않는 말이 되었지만.

낙수효과처럼 전혀 근거가 없는 것들을 당연한 듯 받아들이는 전제들이 어떤 체제와 그로인한 특정집단의 이익을 받쳐준다는 주장을 한 사람은 지그문트 바우만입니다. 

대체로 이것들은 무의식 차원입니다. 저는 이 문제가 백화점과 마트 진상들이 사회 곳곳에 같은 행동을 하며 물의를 일으키는 현상의 뿌리라고 생각했었음. 이런 진상은 '마트에서 왕 대접하니까 그런줄 아는 사람들'이라는 거죠.



2.위 이야기는 서양의 다른 나라에서도 벌어지는 우리사회와 공통된 이야기고...

한국에서는 이번 사건을 통해 '뻔히 보이는 주인' 을 연출했다고 생각함. 

기업과, 그리고 기업에 대한 특정인의 지배를 지지하는 사법부.

그리고 기업이 있어야 먹고산다고 생각하는 이 체제의 지지자들 (대체로 생각없는 사람들이죠) 

물론 몇몇 퇴임한 극 소수는 임원급으로 고용해서 월급도 많이 주니까....

돈.jpg




1.의 내용은 대중이 그저 받아들이고 있던 무의식 차원. 하지만 2.에 나온 한국에서의 재판 결과는 현재 눈 앞에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후자의 구체적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전자인 무의식 영역이 좌우하고 있다는 겁니다.   

법앞에 모두가 평등하다와 같은 사회적 원리가 그냥 좋은 말일 뿐인지, 현실 앞에서는 어떻게 되는지를.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