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괜히 나서는거 같은데.. 혹시 영상처리 업계에대해 궁금하신분들
게시물ID : programmer_102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절대수훈
추천 : 4
조회수 : 7446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5/05/20 10:58:58




/////////////////네이버 카페 에서 제가 있는 커뮤니티에 썻던글을 재탕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처리 업계에서 많이 일한건 아니지만 경력으로 치면 이제 3년차 됩니다.

우선 저는 머신비전을 대학원때 전공을 햇구요 현재 검사 장비 업체에서 일을 하고 잇습니다.

보면은 제 주위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거 같아서 주제넘을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아는한도 내에서 말씀드리겟습니다.

우선 저의 지식의 범위내에서 영상처리는 크게 4분야로 구분되어 집니다.

1. 컴퓨터 비전.

2. 의료비전

3. 국방비전

4. 머신비전

요렇게 구분되어 집니다. 요즘은 핸드폰 카메라로 하는 모바일 비전이라고 하는데 큰틀에서는 컴퓨터 비전에 속합니다.

우선 첫번째 컴퓨터 비전입니다.

컴퓨터 비전이란 실생활과 연관되어 있는 분류에서 구분하는것이 보통입니다.

그래서 세부분야로 나누게 된다면은 보안(지문,생체 인식등)/ 증강현실 / 모바일등 직접 사람의 생활과 연관되어 있는분야를

컴퓨터 비전으로 통칭하게 됩니다.

보안쪽에 기업으로는 슈프리마(지문인식)/기산전자(위페감정)/SBM(위폐감정) 등이 있습니다.

모바일이나 증강현실쪽은 제가 관심이 없어서 잘은 모르겟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의료비전 입니다.

CT / MRI의 영상 개선 및 3D 모델링등이 주력입니다.

보통 치과CT/CT 3D, MRI의 고속화관련, 등이 이슈입니다.

이쪽업계의 경우 영상 개선( 전처리) 관련쪽이 깊게 연관되어 있으며, 고속화 관련된 CUDA / 병렬처리가 주요 스킬로 되어있습니다.

더욱이 영상처리의 기본지식 + 고속화등의 스킬이 필요 합니다.

알려진 기업으로는 오스템임플란드/바텍(치과CT) / Ray(치과CT 주력이었는데 삼성에서 자회사편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업체명은 변경됫는지를 모르겠군요) / 삼성메디슨(MRI를 CUDA로 고속화 하는 장비를 개발중으로 알고 잇습니다. CUDA 학회에서 만난 관계자 이야기입니다.)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국방비전.

뭐 영화에서 한번쯤 보셧을 만한 장면들잇실겁니다. 미사일이 날라가면서 장애물을 피하면서 날라가는장면들...

그게 바로 국방비전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죠.

GPS와 연계해서 미사일 앞에 달린 카메라로 현재 위치 및 장애물을 판단하고 피해서 경로를 이탈하지않고 목표물에 도착하면 ~ 끝!

보통 초당 3~4만 Frame 카메라를 사용하며, GPS와 연계해서 2D 영상을 3D로 판단하는 ... 그런 복잡한 수학이 들어가면서~~~

처리속도는 어마무시하게 빠른!! 그런게 바로 국방비전입니다. 석사는 쳐주지도 않고 박사~Ph.D 로 알고잇습니다.

국내에는 KDA가 있으나 대부분은 LIG넥스원등이 국방비전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가 있는 머신비전입니다.

머신비저는 산업에 사용되는 비전으로서 공장자동화가 목표입니다.

외국에서 OEM방식으로 생산하는 김치, 깍두기나 국내 생산하는 과자 제품등과 같이 식료품도 비전 검사로 진행되고

주화 검사, 디스플레이, 반도체, 차량엔진검사, 철강검사등 사용되는 비전분야는 무궁무궁진합니다.

아시다시피 검사기는 신규냐 재생산이냐가 문제입니다.

신규장비의 경우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까지 있어야 하는건 맞습니다.

하지만 기존장비의 재생산의 경우 길어야 6개월이면 안정화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힘들다고들 많이 합니다.

또한 요즘은 장비 + 비전이 아닌 비전전문 회사가 많이 생겨나는데 개인적으로는 비추천 합니다.

보통 업계의 예를 들자면

1. 갑( 보통 삼성과 LG, BOE등이 되겟지요) 검사장비 업체를 섭외해서 발주를 냅니다.

2. 근데 을(검사장비업체)가 능력이 안되거나 혹은 인력이 부족해서 검사관련 부분 일체를 외주(비전전문회사)를 불러다 씁니다.

3. 그래서 병(비전전문회사)가 비전만 하게 되는데 장비는 안정화 되었으니 병임에도 불구하고 갑이랑 맨날 회의하고 깨지고 그래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머신비전을 전공하는 친구들이나 이직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는 비전전문 회사는 비추천을 합니다.

그냥 장비+비전을 같이하는곳이 연봉도 그렇고 환경도 그렇고 더 낫습니다.

병이기에 을에게 기구 개조나 기타등등에 어려움을 말하기 힘들고 갑에게는 더더욱 힘들게 되고 그렇게 되는거죠

어쨋든!!

좋은 도움 되셧으면 하구요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정보를 드리자면

대졸은 비전으로 오셧다고 햇도 편균적인 신입으로 받구요 3~5년차가 되었을때부터 본격적인 연봉이 뜁니다.

석사졸은 회사마다 틀리지만 석사 초임이 3.3 ~ 3.6까지 알고 잇습니다.

그리고 박사졸은 최소 3.6~3.8 이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4.5에서 시작하는거로 알고있습니다. 이상입니다.

물론 틀린것도 있고 그러겟지만 제가아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자세히 쓰려 노력햇구요!



출처 내가 썻던글 퍼온거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