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당원 분노"…친文·추미애, 정발위 혁신안 놓고 충돌 양상
게시물ID : sisa_102706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백파를넘어
추천 : 30
조회수 : 2471회
댓글수 : 14개
등록시간 : 2018/03/05 19:15:39
기레기가 민주당 분란을 위해 갈라치기 하는 공작이 아니라

각 의원들의 발언이 정확한 팩트라고 한다면

난 아래 김경수의원이 했다는 발언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정발위원을 지낸 친문 핵심 김경수 의원 역시 지난달 6일 열린 ‘정당발전혁신안 토론회’에서 “정발위가 대단히 혁신적인 안을 만들었는데 당내 숙의·토론 과정의 미숙과 부족으로 유보·좌초된 부분이 있다”며 “이 혁신안을 어떻게 논의하고 통과시켜 나가느냐가 민주당 혁신을 가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당발전위원회가 제안한 혁신안을 놓고 친문(친문재인)계 일부와 추미애 대표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당 혁신기구인 정발위 위원을 지낸 당내 친문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혁신안 좌초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추 대표 측 역시 이에 반박하면서다. 또 이런 분위기와 맞물려 문재인 대통령 지지층이 모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혁신안 누더기 사태’라며 추 대표에 대한 성토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재성·박광온·김경수 “혁신안 훼손” 비판

정발위원장을 지낸 최재성 전(前) 의원은 5일까지 연일 추 대표를 겨냥한 글을 트위터에 올리고 “정발위 혁신안이 훼손됐다”며 강력 비판하고 있다. 최 전 의원은 20대 총선부터 19대 대선까지 문 대통령의 외부 인재영입을 담당하고, 추 대표 등 현재 당 지도부를 선출한 2016년 8월 전당대회에서는 ‘전체적인 선거판 구도를 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친문계 핵심이다.

최 전 의원은 2일에는 “뒤로하는 협의보다 공개협의가 낫고, (그것이) 가능한 정당이니 당 대표께 그것도 제안 하겠다”고 했고, 3일에는 ‘혁신안 훼손과정’을 올리고 당직 겸직 최소화·권역별 최고위원제 폐지·현역 선출직 공직자의 경선 의무화 등 최고위에서 의결된 정발위 혁신안이 지난 1월 16일 고위전략회의에서 대폭 수정됐다고 주장했다.

정발위 부위원장을 지낸 박광온 의원도 4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혁신안의 철학과 방향은 반드시 지켜야 할 가치임에 틀림없다. 지금 시점에서 중요한 건 당과 당원의 소통”이라며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당원이 주인인 민주당을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이 당원의 판단”이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지난 19대 대선 경선에서 ‘문재인 캠프’ 수석대변인을 지내고 본선에서는 공보단장을 맡았다. 

정발위원을 지낸 친문 핵심 김경수 의원 역시 지난달 6일 열린 ‘정당발전혁신안 토론회’에서 “정발위가 대단히 혁신적인 안을 만들었는데 당내 숙의·토론 과정의 미숙과 부족으로 유보·좌초된 부분이 있다”며 “이 혁신안을 어떻게 논의하고 통과시켜 나가느냐가 민주당 혁신을 가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문 대통령 지지층 역시 이런 흐름에 동조하면서 민주당에 ‘혁신안 훼손 배경’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秋 “문제 없다…민주정당, 원안 통과 없어”

반면 추 대표 측은 “절차상 문제가 없다”며 논란에 선을 긋는 모습이다.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정당발전방안의 중앙위 상정을 앞두고 당원 여러분께 드리는 경과 보고’를 통해 “당 대표는 최고위로부터 위임받은 ‘체계 및 자구 수정 등 조정 권한’ 안에서 당무위에 상정될 정당발전방안에 대해 다른 당헌 및 당규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정당발전방안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구체화·단순화·명료화할 책무를 이행한 것”이라며 “고위전략회의는 당 대표의 정당한 권한 행사를 보좌하는 기구에 불과하며 그 자체로 안건 수정의 주체가 아니므로 ‘고위전략회의에서 임의로 수정됐다’는 주장은 성립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추 대표 역시 정발위 혁신안 논란에 대한 당 지지자의 답변 요청에 직접 메시지를 보내 “어떤 안이든 민주정당에서 원안 통과란 있을 수가 없다”며 “토론을 거쳐 다듬어지고 발전하는 것으로 수정의결을 훼손이라거나 누더기라는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이런 추 대표 측 반박에 최 전 의원이 다시 반발하면서 양측의 공방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 전 의원은 김 대변인 발표에 대한 글을 트위터에 올리고 “고위전략회의든 당 대표든 최고위 등 각급 단위 의결결과를 조정할 수 없다”며 “안건을 만질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당시 고위전략회의에서 내용을 만져서 황당했지만, 꼭 최고위 재의결을 거쳐서 당무위에 올리라고 한 것”이라며 “대표 눈·귀를 막지 말라”고 했다.

정발위에서 핵심 역할을 한 관계자도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당원들에게 권한을 주는 것이 우리당을 더욱더 강하게 만든다는 나름의 믿음이 있다”며 “대단히 원론적인 얘기지만 소통을 좀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발위원을 지낸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통화에서 “당 대표의 ‘체계 및 자구 수정 등 조정 권한’은 표현상 ‘은’이나 ‘는’ 등 체계를 바꾸는 것”이라며 “당원들이 분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추 대표가 제대로 절차를 밟고 설명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문했다.

유태환 (pok2032@edaily.co.kr)


출처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3509606619140368&mediaCodeNo=257&OutLnkChk=Y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