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펌] 신에 대하여 당신은..
게시물ID : phil_1028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요올
추천 : 3
조회수 : 1863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11/30 22:18:41



신에 대하여 (bgm) 당신은.. (640×800)

유신론 Theism

"신은 존재한다'

유신론(有神論)은 신이 있음을 시인하는 입장으로,

인격신론(人格神論)이라고도 한다.

이 입장에서는 최소 하나 이상의 신이 존재하고,

그 신(들)은 세계를 창조하고 유지하며 인도하고 다스리며,

세계의 외부에 살고 있는 인격적 존재라고 믿는다.

 

일신교

오직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믿음이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가 대표적이다.

다신교

 신이나 초월자(신앙, 의례, 경외의 대상)가 다수 존재하는 종교로,

하나의 신만을 신앙하는 일신교와의 대비를 위해서 사용되는 말이다.

 

 


범신론 Pantheism

"세계가 곧 신이다"

범신론(汎神論, pantheism)은 세계밖에 별개로 존재하는 인격신이 아닌

우주, 세계, 자연의 모든 것과 자연법칙을 신이라 하거나,

또는 그 세계안(신과 세계는 하나)에 하나의 신이 내재되어 있다는

 철학,종교관이자 예술적 세계관이다. 만유신교, 만유신론(萬有神論)이라고도 한다.

 

유명인 범신론자들

노자
알버트 아인슈타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빌헬름 헤겔
바뤼흐 스피노자

 


불가지론 Agnosticism

"신이 존재하는지 안하는지에 관해 결정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

불가지론(不可知論, Agnosticism)은 몇몇 명제(대부분 신의 존재에 대한 신학적 명제)의

진위 여부를 알 수 없다고 보는 철학적 관점,

또는 사물의 본질은 인간에게 있어서 인식 불가능하다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 관점은 철학적 의심이 바탕이 되어 성립되었다.

절대적 진실은 부정확하다는 관점을 취한다.

불가지론의 원래의 의미는 절대적이며 완벽한 진실이 존재한다는 관점을 갖고 있는

교조주의(敎條主義)의 반대 개념이다.

 

유명인 불가지론자들

 

찰스 다윈
에밀 뒤르켐
토머스 에디슨
스티븐호킹(최근 무신론적 입장으로 바꿈)

 

 

무신론 Atheism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의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정하거나, 신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사상이다.

신을 비롯한 모든 영적인 존재를 부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무신론자들은 경험주의적 실증이 부족한 초자연주의에 대한 회의주의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보편적인 이론적 해석으로 악의 문제, 계시의 불일치 논증 그리고 무신앙 논증 등을 통하여

그 어떤 신과 귀신도 믿지 않는다.
무신론은 대부분 비종교적이고 세속주의적이나,

신을 믿지 않는 종교인 자이나교나 불교와 같이 일종의 종교적 믿음의 형태 또한 가지고 있다.

 

유명인 무신론자들

리처드 도킨스
버트런드 러셀

 

이신론 Deism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우리 곁에는 없다"

세계를 창조한 하나의 신을 인정하되,

그 신은 세계와 별도로 존재하며

세상을 창조한 뒤에는 세상, 물리법칙을 바꾸거나

 인간에게 접촉하는 인격적 주재자로 보지 않는다.

그에 따라 계시, 기적등이 없다고 보는 철학,종교관이다.

 

유명인 이신론자들

나폴레옹
벤저민 프랭클린
장 자크 루소
드니 디드로


비신론 (비유신론)Nontheism

"'신'이라는 개념은 없다"

무신론의 주장은 “신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비춰질 수 있는데,

이땐 허구의 존재든 그렇지 않든 우선 신을 가정한다고 볼 수 있다.

비신론은 애초에 신이라는 존재를 가정하는 것에서도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우선 무신론을 공산주의나 전체주의 등과 함께

부정적으로 분류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기도 하고,

불가지론과 무신론, 반신론을 모두 묶기 위해서 쓰기도 하며,

 심지어는 몇몇 진보주의 종교의 반교조주의적인 성격을 나타내는데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서양의 관점에선 불교가 비신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반신론(반유신론) Antitheism

"신은 존재해서는 안 된다"

반신론은 무신론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신론이 “신이 없다고 여기는 것”인에 비해,

반신론은 “신이 존재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여러 종교에서 말하는 신의 모습을 지적하며 신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며,

신이 있어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모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3%가 무신론자, 11.9%가 불가지론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일본에서 64%에서 80%에 달하는 인구가 무신론자이거나 불가지론자, 무교자라고 응하였고,

독일인 중 45%만이 신의 존재를 믿고 있다고 답했으며, 4분의 1만이 기독교를 믿는다고 조사되었다.

유럽 연합에서 무신론자의 수는

스웨덴 (85%)과 덴마크 (80%), 노르웨이 (60%), 핀란드 (60%) 등의 나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몰타와 폴란드, 루마니아, 키프로스 등지에서는 유신론자의 비율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약 30%에서 52%가 무신론자이거나 불가지론자라고 대답하였다



출처 http://cafe.daum.net/ssaumjil/LnOm/1384209

후 출처는 엽혹진 입니다.





개인적으로 저 위의 절반 정도에 가능성을 둔 생각을 평소에 갖고 있었습니다.

신은 없을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으며 어떠한 형태의 존재라도 될 수 있다고 말이에요.

하지만 역시 신이라는 개념은 인간이 만들었다는 생각이 더 강하네요.

신이라는 게 존재한다고 해서 세상을 창조했다는 개념으로 존재하라는 법은 없다 라는 생각도 있습니다. 소설가가 그의 세상을 창조하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모든 캐릭터들에게 애정을 갖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그러한형태의 신 또한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