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메르스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을 사항들
게시물ID : sisa_5975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arasate-
추천 : 2
조회수 : 344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6/12 01:14:26
옵션
  • 창작글
1. 종합병원 출입 자제
메르스 바이러스는 하기도 깊숙히 존재하며 기침으로 잘 배출되지 않습니다.
메르스는 거의 모든 환자가 원내 감염으로 전염되었는데요, 병원 원내감염이 많은 이유는 호흡곤란 때문에 삽관(intubation)됐던 튜브가 나올때 메르스 바이러스가 비말(가래, 침 등)과 함께 뭍어나오기 때문입니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의 상당수가 호흡곤란을 호소하기 때문에 기도삽관이 이뤄집니다.)
삽관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은 제법 큰 규모의 병원에서 시행되므로 동네 개인병원(의원)은 비교적 안전한 곳이라 생각됩니다.
종합(대학)병원, 특히 응급실을 주의하세요.

2. 환기를 자주 시키세요.
오픈된 공간에서는 바이러스의 농도가 높아지기 힘듭니다. 그만큼 안전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에어컨이 메르스 전파의 매개체가 됐다고 하는 것은 밀폐된 환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밀폐된 환경, 바이러스를 거를 수 없는 필터, 내부공기만 계속 순환, 높아지는 바이러스 농도)
중동처럼 높은 온도에서는 바이러스가 살기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 나라에 있는 에어컨, 즉 밀폐된 환경이 메르스라는 변종을 만들어 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여담이지만 비행기에서는 전염병이 전파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실내 공기가 계속 배출되면서 새로운 공기가 들어오는 비행기의 특수한 구조 때문인데요. 비행기와 병원은 공기순환에 있어 대조적 위치에 있습니다.
병실에서 환기를 얼마나 자주 시키는지는 병문안갔을 때 기억을 더듬어 보시면 정확할 겁니다.

3. 좋은 마스크보다는 정확한 마스크 사용
N95마스크가 동났다고 하네요. 싼 마스크도 아닌데... 1회용 마스크는 아직도 제법 구할 수 있고 가격도 "100-500원/개" 로 저렴합니다.
N95 마스크가 황사나 미세먼지를 걸러준다는 얘기는 들었어도 바이러스를 걸러준다는 말은 못들었습니다.
더군다나 메르스는 비말로 전파된다고 말씀드렸죠? 저렴한 1회용 마스크도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사용한 마스크의 외부를 손으로 만지지 말고, 더러워지거나 습기가 차면 버리고 새걸로 쓰세요. 저렴한 마스크도 충분히 효과 있습니다.

4. 손을 자주 씻으세요.
손을 자주 씻는 것 만큼 좋은 위생은 없는 것 같습니다. 손소독제를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개인적으로는 비누로 깨끗히 닦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비누가 없다면 흐르는 물에 1분간 박박 문질러 닦으세요. (데톨 따위 안쓰셔도 됩니다. 비누로 충분합니다.)

5. 물을 자주 마시세요.
물을 자주 마시면 순간적으로 체액이 증가하고, 체액이 증가하면 우리 몸은 면역력이 증가하고 컨디션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체액이 충분하면 백혈구의 작용도 왕성해 집니다.
체액이 늘면 체내 노폐물의 총량은 같아도 농도는 낮아지기에 일시적으로 컨디션이 좋아지는 느낌도 받게 될 것입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물을 많이 마셔주는 것은 수분 보충으로 가래 배출을 도와주는 것도 이유겠지만 이러한 볼륨효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높은 면역수준을 유지해 주기 위함)

6. 너무 두려워 마세요.
1900년대 초, 스페인 독감으로 약 2,000만명이 사망했습니다. 인간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대한 적응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어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도 천적은 있습니다.
그때 그렇게 많은 사람이 사망한 이유는 인간의 몸이 그 바이러스에 대해 적응력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너무 빠른 전파력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이건 의견이 다를 수 있겠네요)
사실 메르스의 전파속도는 늦고 인간은 곧 메르스에 대해 적응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7. 메르스에 대해 공부하세요.
인터넷만 찾아봐도 메르스에 대한 많은 지식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메르스가 이렇게 공포심을 유발할 만큼 엄청난 바이러스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바이러스로 따지면 에볼라 바이러스나 사스바이러스(이게 메르스 사촌쯤 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종입니다.)가 훨씬 무서운 바이러스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독감으로도 메르스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죽어나갑니다.(최소 수십-수백배)
바이러스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무지(無知)가 무섭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렇게도 기다리던 비가 옵니다.
건조한 곳에서 활개치던 메르스도 이제 한층 잦아들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미 아시는 내용 주절거린거면 죄송하구요,
이번 메르스로 운명을 달리하신 분들께는 조의를 표합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출처 머리숱 적은 제 머리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