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임은 재밌는데 공부는 재미가 없는 이유.
게시물ID : bestofbest_1043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Path
추천 : 417
조회수 : 45873회
댓글수 : 0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3/03/31 10:53:50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3/30 23:10:15

 의무감이죠 뭐.

 게임이 아무리 재밌어도 3일 안에 만렙 못 찍으면 벌점을 준다거나 1주일 안에 특정 아이템을 얻어오지 못하면 성적에 반영을 한다거나 게임을 3달 내내 꾸준히 하지 않으면 결석 처리를 한다거나 하면 재미가 있을까요?


 한 가지 여쭤볼게요.

 솔직히 오유 들어오면 베오베 다음으로 과학 게시판부터 켜시는 분들 중에 공부 좋아하시는 분들 꽤 있을 겁니다. 저 역시도 물리 공부 굉장히 좋아하고 온갖 지식을 습득하는 게 취미예요. 어렸을 때 호기심 천국 애청자였고 스펀지가 유행일 때(지금처럼 요상한 포맷으로 시청자 우롱하지 않았을 때)는 매일 본방 사수했었고 점심 시간에 다른 아이들이 축구하러 나갈 때 도서관 가서 책 읽었어요.

 그런데 그런 분들이, 저를 포함해서, 과제와 레포트는 하기 싫어하죠. (간혹 재미있고 흥미로운 과제가 나와서 의욕이 불타오를 때도 있긴 합니다만 ㅋ)


 그건 바로 의무감 때문이에요.

 아이들에게 올림피아드 문제를 하루 안에 다 풀지 못하면 매타작을 하겠다 하면 풀기 싫어하지만, 풀어내는 사람에게 보상을 주면 당연히 하고 싶어하게 돼요. 그러다 보면 재미도 붙는 거고.

 저 역시 물리 공부는 스스로 시작한 것이지 어른들이 의무감을 조성해서 한 게 아니거든요...


 반론이 있을 수 있어요.

 엄마들이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면 당연히 칭찬을 하고 보상을 주지 않느냐. 대다수가 그렇지 않느냐...

 보상은 분명 큰 힘이예요. 의지를 불태우고 장애물을 뛰어넘게 하는 원동력이죠.


 그런데 그 보상이 잘못된 길로 흐르는 딱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악의의 경쟁'.


 선의의 경쟁과 반대되는 느낌을 주고 싶어서 단어 선택을 저렇게 했습니다.

 아이가 잘하면 그만인데 더 잘하라고 경쟁을 부추기고 채찍질을 해요. 보상으로 끝나지 않고 뒤끝을 남겨요. 아이가 기계도 아니고 늘 1등을 할 수가 있겠습니까? 그건 김연아나 장미란과 같은 불세출의 천재들도 불가능해요. 김연아 선수 늘 1위한 거 아니예요. 컨디션 안 좋을 때, 편파 판정이 심할 때는 2위도 하고 3위도 해요.

 근데 우리 사회가 그래요. 늘 1등만 바라요. 그러다 보니 아이들은 늘 피곤하고 공부라면 학을 떼고 맙니다. 오죽하면 물리 무척 좋아하는 저도 수능 물리라면 지긋지긋하다며 손사레를 치겠습니까?

 제가 강사하던 시절에 어머니들이 아주 잘하던 말이 있어요.


 "아이가 잘하면 칭찬을 해주세요." 라는 말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못하면 야단을 쳐주세요." "우리 아이는 야단 안 맞으면 공부를 안 해요."

 한심했어요. 저게 부모인가? 싶을 때도 많고.


 아이에게 공부가 길이 아닐 수도 있고, 아이가 부모나 학교의 잘못된 교육 때문에 공부를 싫어하게 됐을 수도 있어요.

 그걸 자식이 안 한 탓이라고 돌리는 거죠.


 또 반론이 있을 수 있어요. 애들은 오냐오냐하면 말을 안 듣지 않느냐고.

 오냐오냐하니 말을 안 듣는 게 아니라 보상의 방향이 잘못된 것이죠, 그건. 정서적 성취감을 아이들에게 줘야 해요. 칭찬의 방법이 잘못됐죠. 아주 크게.


 "우리 아들 1등했네! 정말 잘했다!"


 가 아니라


 "우리 아들 이번엔 공부 열심히 했구나! 정말 잘했어!"


 가 된다면


 아이들은 자신의 역량 그 이상을 해낼 겁니다.

 반드시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