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재보선이 끝났습니다. txt
게시물ID : sisa_1044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연작
추천 : 4
조회수 : 40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1/05/17 18:09:51
4.27 재보선 때문에 보류됐던 공공요금 인상이 마침내 봇물 터지기 시작됐다.

우선 재정난을 겪고 있는 지자체들이 상·하수도 요금 등을 살인적으로 올리고 나섰다.

전북 전주시는 17일 물가대책위원회를 열고 상수도 요금을 18.36%, 하수도 요금은 무려 90.9%(가정용 기준) 각각 인상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방안이 시의회에서 통과하면 오는 7월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은 t당 580원에서 720원으로, 하수도는 t당 110원에서 210원으로 오른다. 또 일반용(상업시설)은 상수도가 t당 1천180원에서 1천400원으로 11.8%, 하수도는 300원에서 670원으로 자그마치 123%나 인상된다.

전주시가 스타트를 끊으면서 그동안 눈치를 보고 있던 다른 지자체들도 경쟁적으로 상·하수도 요금과 쓰레기봉투 요금, 정화조 청소료 등을 줄줄이 올릴 전망이다.

또한 버스요금 인상 시기를 저울질해온 서울·경기·인천 등도 늦어도 오는 7월부터 버스요금을 최소한 200원이상 인상하기로 잠정 합의한 상태이며, 대구 등 지방도시들도 7월에 비슷한 폭의 버스요금 인상을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게 지하철 요금과 택시 요금도 꿈틀대는 등 전국의 대중 교통요금들도 하반기에 연쇄적으로 오를 전망이다.

급속 부실화하고 있는 서울시 산하 SH공사는 오는 7월 12만6천가구의 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과 임대료를 5%씩 올리기로 했다.

이렇게 임대료를 대폭 올린 것은 지난 2004년 이후 임대료가 동결되면서 적자가 2천770억원으로 불었기 때문이라는 게 SH공사측 주장. SH공사는 앞으로도 2년마다 최대 5%씩 임대보증금과 임대료를 올리기로 했다.

특히 SH공사는 재개발임대주택 세입자들이 임대주택을 전세로 전환할 때 내야 하는 보증금도 올려, 뉴타운 등 재개발 사업으로 사실상 강제 이주하게 된 세입자들의 전세 전환비용이 30%나 폭증하게 됐다.

정부는 공공요금의 집중적 폭등을 막기 위해 이달말까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지자체 등에 통고한다는 방침이나, 극심한 재정난에 봉착한 지자체들은 이미 공공요금 인상 릴레이를 시작한 양상이어서 국민들의 등허리는 더욱 휘어질 판이다.  (뷰스앤뉴스 펌)
===========================================================

허리띠 한 칸 더 졸라매세요. 7월부터 버스요금, 택시,지하철 요금, 상수도 하수도 요금 등등 집중적으로 인상한답니다. 당연히 그 몇 달 후부터는 다른 물가도 줄줄이 오를 것으로 사료됩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