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김대중센터가 밝힌 ‘연평해전’ 당시 우리 정부의 대처법
게시물ID : sisa_60137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네스티
추천 : 4
조회수 : 787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5/07/06 15:04:54

김대중편화센터가 지난 2002년 6월29일 발생한 제2연평해전에 대해 “북한이 남한의 통일부장관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공개 사과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사과하지 않았다는 보수 진영 일각의 주장에 대해 반박한 셈이다. 뿐만 아니다. 해전 발생 당시 우리 정부와 북한의 대처에 설명했다. 5일 배포된 보도자료를 통해서다.

김대중센터는 “당일 김대중 대통령은 즉각 NSC를 소집하고, ‘강력한 대북 비난 성명’과 ‘확전방지’ 및 ‘냉정한 대응’을 지시”한데 이어 “이 사건을 다룰 판문점 장성급 회담 소집을 북한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북한은 다음날 핫라인을 통해 “계획적이거나 고의성을 띈 것이 아니라 순전히 아랫사람끼리 우발적으로 발생시킨 사고였다”고 설명하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자”는 전통문을 보냈다는 게 김대중센터의 주장이다.

이어 김대중센터는 “그해 7월20일 북한이 남북 대화를 제의하자, 김대중 정부는 서해도발 사건의 공개적인 사과, 재발 방지 약속,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했고, 북한은 7월 25일 남한의 통일부장관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공개 사과했다”면서 “북한이 우리 정부에 공개적으로 사과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대중센터는 일각에선 제기된 ‘홀대론’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다. 김대중센터는 “김대중 대통령은 연평해전 사망 장병들에게 훈장을 추서했고, 부상자를 위로하기 위해 병원을 찾았다. 또한 유가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하여 위로했다”면서 “북한과의 전투 과정에서 숨진 전사자들의 영결식이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관례에 따라 영결식에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당시 총리들(이한동 총리, 장상 총리서리, 장대환 총리서리, 김석수 총리)을 전사자들의 영결식장에 참석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김대중센터는 “대통령이 영결식에 참석하지 않은 관례는 당포함 사건(1967년 1월)이 발생했던 박정희 정부 때와 강릉무장공비 사건(1996년 9월)이 발생한 김영삼 정부 시절에도 마찬가지였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평해전은 2002년 6월29일 오전 10시경 서해 연평도 근처에서 북한 해군 경비정의 기습적인 함포사격으로 우리 해군고속정이 침몰한 사건이다. 이로 인해 우리 해군은 전사 6명, 부상 18명의 손실을 입었다. 북한군은 13명이 사망, 25명이 부상당하고 경비정의 함교와 함포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됐다.


출처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4711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