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어메이징그레이스..아메리카 한민족의 눈물과 죽음의 노래
게시물ID : mystery_62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포스트댓
추천 : 1
조회수 : 2953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7/07 18:20:28
어메이징그레이스..아메리카 한민족의 눈물과 죽음의 노래
  
지금으로부터 160여년 전인 1838~39년. 
지금의 미국 동부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앨러배마 주 일대에 살고 있던 체로키 인디언이 
백인이주민 국가 '미합중국'의 강제이주령에 의해 고향에서 5천리(2000km) 떨어진
머나먼 오클라호마 주 허허벌판으로 쫓겨났습니다. 

이들이 미국 기병대에 쫓겨 피눈물을 흘리며 떠난 사변을
미국사에서 '눈물의 길' 또는 '눈물의 행로'(the Trail of Tears)라고 하지요.
정확히 말하면 '눈물과 죽음의 길'이었습니다. 


cherokeetrailtears.gif.jpg
 화가 로버트 린드노(1871~1970)가 그린 '눈물의 길'(1942년 작)
 
 이 그림을 보면 마치 이들이 따뜻한 담요와 말, 마차를 갖고 떠난 것 같지만
사실은 몸에 걸친 옷 정도밖에는 거의 갖고 갈 수 없었답니다.그야말로 맨몸으로 쫓겨난 거지요. 

그래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거의 대부분 걸어서 이동해야 했고, 
추운 한겨울에도 맨바닥에 누워 잠을 청해야 했습니다.
  

 trailoftearsmap.jpg
체로키 인디언 강제이주로. 고향에서 5천리 너머 중부지방으로 쫓겨났다

결국 추위와 굶주림, 질병으로 얼추 4,000명이 도중에 숨졌습니다.
이 피눈물과 죽음의 강제이주는 1839년 봄에 끝났습니다.

이때 이들이 부른 노래가 Amazing Grace였습니다.
죽은 이들을 땅에 묻으며 이 노래의 영감을 빌려 그들의 명복을 빌었고
살아남은 이들의 힘을 북돋우기 위해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이 노래를 체로키어로 번역해 이들에게 전해 준 인물은 
이들과 함께 살면서 강제이주에 끝까지 반대해 법정투쟁까지 하며 이들을 도운
백인 선교사 새뮤얼 워시스터(1798~1859)였습니다.

오늘날 체로키 인디언들은 이 노래를 거의 애국가처럼 부릅니다.
여기에는 이런 가슴 아픈 사연이 있지요.
말하자면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투쟁입니다.

체로키 여성 트리오 왈렐라(Walela: 체로키어로 '벌새', '영감')가 이 노래를 부릅니다.
한번 들어 보시죠.

https://www.youtube.com/watch?v=UvYIjFtPQEk#t=271 
전세계 최고의 히트곡인 ‘어메이징 그레이스’


 
특히, 미국의 체로키 인디언 부족은 백인과의 전쟁에서 전사한 동료를 제대로 장사 지낼 수 없을 때 이 노래로 장례를 대신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체로키 부족은 이 노래를 자신들의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남북 전쟁 때 북군과 남군이 모두 '전쟁 찬송가(Battle Hymn)'로 불렀다. 요즈음은 마약이나 알코올 중독자를 치료하는 재활원이나 교도소에서도 치료와 교화 목적으로 환자와 재소자들에게 이 노래를 부르게 하고 있다.

인디언.jpg

오바마 대통령의 어메이징 그레이스  https://youtu.be/IN05jVNBs64

2015-07-07_181932.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