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남북정상회담 관련 푸틴과 통화 그리고 반응.
게시물ID : sisa_10517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BoA*
추천 : 52
조회수 : 212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8/04/29 19:21:50
옵션
  • 펌글

문대통령 "남북회담 러 덕에 성공" 푸틴 "남북러 3각협력 필요"


http://v.media.daum.net/v/20180429191007764?rcmd=rn


푸틴 "시베리아 철도·가스 연결되면 한반도 안정·번영에 기여"
文대통령 "남북러 협력 공동연구"..푸틴, 文대통령 6월 국빈방문 요청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9일 남·북·러 3각 협력사업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오후 5시부터 35분간 통화하며 이런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은 러시아가 일관되게 보내준 적극적 지지와 성원 덕"이라며 "앞으로도 러시아와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자"면서 푸틴 대통령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의 결과가 앞으로 한반도에서 확고한 평화를 구축하는 데 튼튼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이런 남북정상회담 결과는 자주 생기는 게 아니다. 한반도라는 아주 복잡한 상황에서 이뤄내기 어려운 일을 해냈다"는 말을 했다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의 성과가 남·북·러 3각 협력사업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며 "러시아의 철도, 가스, 전력 등이 한반도를 거쳐 시베리아로 연결될 경우 한반도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공감을 표하면서 "남·북·러 3각 협력사업에 대한 공동연구를 3자가 함께 착수했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김 대변인이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두 정상이 이런 3각 협력이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구축에 도움이 되고, 다자 안보체제로까지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6월 국빈 자격으로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요청했다.

푸틴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할 경우 한국과 멕시코 월드컵 축구경기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대통령과의 만남을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외무차관 "러,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참여 않을 것"


http://v.media.daum.net/v/20180429173305255?rcmd=rn"옛 소련은 한국전 참전국 아냐"..동북아안보체제 구축 참여 의지 밝혀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 체결될 평화협정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이날 타스통신 인터뷰에서 남북 정상회담 결과 채택된 '판문점 선언'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관련 조항에서 러시아가 배제된 것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이 같은 입장을 표시했다.

한국 외교부와 회의하는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차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판문점 선언에는 "남과 북은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판문점) 선언에는 한국전 결과와 관련한 가능한 대화 형식이 언급돼 있다.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이행 문제다"라고 설명하고 "소련은 언급한 협정 체결로 끝난 한국전에 참전하지 않았으며 협정 체결 협상에도 참여하지 않았다"고 상기시켰다.

이어 "이와 관련한 러시아의 입장은 한반도 사태 해결을 위한 러-중 '로드맵'에 분명히 언급돼 있다"면서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대체 문제는 순전히 남북한 문제이며 평양과 서울 사이에 논의돼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러시아는 남북한 사이에 체결될 평화협정의 참여자가 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소련은 한국전에도 정전협정체결 협상에도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러시아는 평화협정 참여자가 될 근거나 동기가 없으며 이는 직접적 한국전 참전국들의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과거의 충돌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정열적이고 인내심 있는 작업, 즉 당사국들 모두의 이익을 고려한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 전체의 견고한 평화·안보 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에서 우리의 역할을 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목표의 달성 수단은 이미 여러 차례 밝혔다시피 러시아가 참여하는 6자회담 틀이며 이에 대한 대안은 없다"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평화협정 체결이 아니라 동북아 안보체제 구축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며 논의의 틀은 6자회담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동안 일각에선 러시아가 평화협정 체결의 보증국으로도 참여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판문점 선언 관련 조항에서 러시아가 언급되지 않은 것이 러시아가 한반도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배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는 '러시아 패싱론'과 관련, "그러한 우려는 근거가 없다"면서 "러시아는 이 과정에서 빠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한반도의 모든 문제 해결 모색에 가장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출처 http://v.media.daum.net/v/20180429173305255?rcmd=rn
http://v.media.daum.net/v/20180429191007764?rcmd=rn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