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민영환의 자결과 솟아오른 혈죽 미스테리
게시물ID : mystery_63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포스트댓
추천 : 15
조회수 : 4438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15/07/12 22:56:31
민영환의 자결과 솟아오른 혈죽 미스테리
 
%B9Ο%~2.PNG
 
1905년 11월 17일 마침내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니 이로써 대한의 외교권은 박탈당하고 일본의 보호아래 놓인다.조약의 무효와 매국노의 규탄을 부르짖는 상소문이 전국 각지에서 쇄도하였으나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이미 기울어진 나라를 일으켜 세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상소운동에 적극 개입했던 민영환은 울분을 머금은채 이천만 동포와 해외 공관장,그리고 ​고종 황제께 드리는 유서를 남기고 할복 자결한다. 때는 1905년 11월 30일 오전6시, 선생의 나이 45세였다.
 
​이후 선생의 순국 소식이 세상에 알려지자 선생의 뒤를 따라 조병세,​홍만식등 뜻있는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끊음으로써 일본에 항거한다.또한 전국 각지에서 의병운동이 전개되어 민종식,최익현,신돌석등이 각각 의병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을사오적을 암살하기 위한 개별적인 거사도 일어난다.
이러한 시국에 선생의 부인 박씨는 남편을 잃은 슬픔에 잠겨 무료한 세월을 보낸다.이듬해  7월 어느날, 부인은 선생의 유품을 보관해
두었던 방에 환기라도 시킬까 하고 문을 여는데, 깜짝 놀랄 사건이 벌어진다.

남편이 죽을때 입었던 피 묻은 옷과 칼을 모셔둔 마루방의 틈새에서 난데없이'푸른 대나무'가 솟아 있는게 아닌가!
 
%B9Ο%~1.PNG
일본인 가쿠다가 촬영한 혈죽사진​
 
​이 청죽으로 인해 조선 사회를 술렁이기 시작한다.소문을 듣고 전국 각지의 사람들이  하루에도 수천명씩 선생의 집으로 몰려왔다.

사람들은 "대나무가 선생이 순절할때 흘린 피의대가로 얻어진 것이라"하여 "혈죽"​이라 부르며용기를 갖기 시작한다. 4줄기 9가지에서 45장의 잎이 피어난 대나무는 선생이 순국할 당시 나이와 같아 더욱 신기하게 여겨졌다.
 
​이른바 '민영환의 혈죽사건'은 당시 언론에도 보도되어 화제가 되었다. (대한매일신보)​

'​민충정공혈죽' - 충정공의 부인 박수영씨는 일제가 뽑아버린 대나무를 고이 수습하여 자줏빛 보자기로 싸고 폭 8cm,길이50cm 정도의 나무상자 속에 넣어 보관해오다가 1962년 고려대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9411_43966e29.jpg
고려대 박물관의 혈죽
 

도화서의 화원이었던 석연 양기훈이 당시에 직접 그린 혈죽도. 현재 고려대박물관 소장.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