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내일로, 어떻게 가야 잘 갈까.》Tip Ch.03. 연계-1
게시물ID : travel_1334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너도밤꽃나무
추천 : 9
조회수 : 199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7/13 22:32:24
옵션
  • 창작글
  • 펌글
[이전 내용(클릭 시 볼 수 있습니다.)]
Ch.01. 내일로의 시작.
Ch.02. 철도노선

─ ─ ─ ─ ─ ─

 안녕하세요, 너도밤꽃나무입니다.
 이번 팁은 예전에 설명해드린 대로 "연계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설명해드리기 전에 내일로 여행에서의 '연계'는 어떠한 지점으로 가기 위해 이용해야하는 교통수단을 시간낭비 없이 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들이 부산에서 경복궁 여행을 위해 움직이신다면, 서울역까지는 KTX를 타고, 서울역에서 버스로 바로 환승해 경복궁을 들러서 가겠지요. 만일 배차간격이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라 대기시간이 있다면, 그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도 하나의 연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연계방법이 많습니다. 특히 연계성이 가장 좋은 곳들은 버스터미널이 근처에 있는 역들인데요. 특별시, 광역시는 시내버스나 전철들이 구석구석을 다녀주기 때문에, 교통카드 환승할인의 혜택도 볼 수 있지요. 특별, 광역시의 주변도 또한 환승연계가 가능합니다-만 일부 지역은 그렇진 않습니다. 이 이외의 지역들, 특히 전라도 지방이나 경상북도, 강원도 지방은 버스들이 있다 하더라도 배차간격들이 평균적으로 30~70분인 것들이 꽤나 많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어떤 철도역에 도착하더라도 "머엉하니"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버스↔역 뿐만이 아니고 역 자체에서의 환승소요시간도 문제가 되지요. 강원도↔전라도의 경우는 그냥 중간 경유지에서 관광코스를 짜시는게 더욱 유용할 수 있습니다.

 연계방법으로는 내일로 철도여행에서는 "철도↔철도", "철도↔버스" 정도입니다.

 노선별로 운행횟수가 다른 것은 2장인 철도노선에서 설명해드렸고, 지역별로 철도노선과 관광지 연계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관광지나 버스번호는 작성하지 않습니다. 직접 지도의 길찾기를 하시면서 익히시는 것이 더더욱 좋습니다.

 *철도지식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만 잠시 설명드리자면, 선로가 2개인 것을 복선, 1개인 것을 단선이라고 합니다. 단선의 단점은 반대편으로 오는 열차를 교차해서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역에서 기다려줘야 하며, 시간소요가 되는 점입니다. 복선은 이 점을 커버하고, 만일 한쪽 선로가 문제가 생기더라도 하나의 선로로도 커버를 해 줄 수 있습니다.
  *선로가 4개면 복복(2x2)선이라고 부릅니다.


[1]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하철(전철)과 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세요. 대부분의 장소는 이들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고, 시내배차간격은 우수합니다.

[2] 충청북도
 충북선 연선(조치원, 충주시, 증평군, 음성군, 청주시, 제천시)의 연계를 이용하셔야합니다.
 청주시의 경우는 시내와 역에서부터 일단 거리가 장난이 아닙니다. "청주시면 청주역에서 내리면 되겠지" 하시다가 눈물흘리실 수 있습니다. 만일 관광지가 역에서 가깝다면 상관이 없지만, 애초에 머무실려고 시내가실려면 청주는 가지마세요. 만일 청주시내를 여행하실 예정이시라면 "오송역","오근장역"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음성군은 역에서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있는 상태입니다. 군내 연계는 버스를 무조건 이용하셔야 하며. 걷게 되신다면 1시간은 잡으셔야합니다.
 충주시는 터미널과의 거리가 30분 이내의 도보수준입니다. 그렇게 먼 수준도 아니므로 충주시 인근 연계는 충주역에서 하차 후 시외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제천시는 제천역으로 충북선, 중앙선, 태백선의 교차지점입니다. 물론 충북선/태백선 열차의 시작지이기도 합니다. 열차배차간격은 방향별로 좀 차이가 있지만, 중앙선(청량리↔안동/영주)이 좀 있는 편이고 충북선(제천↔대전)과 태백선(청량리↔정동진)이 비슷하게 있는 편입니다. 터미널과의 거리는 걸어서 30분 걸립니다.

[3] 충청남도
 장항선 연선(천안시, 아산시, 예산군, 홍성군, 보령시, 서천군, 군산시, 익산시)과 호남선 연선(계룡시, 논산시) 쪽이 대표적입니다.
 장항선은 아산시내까진 복선이나 이후 익산시까지는 단선입니다. 호남선은 복선입니다. 역들 중 일부만 알려드리기에, 관광지 연계는 다음지도 등으로 통해서 이동수단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천안시와 아산시까지는 수도권통합환승제도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라, 수도권과 같은 취급을 해도 됩니다만 일부 버스의 배차간격은 고려해두셔야 합니다. 1호선이 아산시까지 가니 열차의 배차간격이 어느 정도 있더라도 전철을 이용하셔도 될 듯 합니다(하지만 얘도 1시간 배차니 누리로연계를 노리셔도 됩니다)
 예산군은 예산역에서 터미널까지의 거리는 다음지도 기준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신례원역과 삽교역도 예산군에 포함되나 신례원의 경우 작은 마을이고 삽교역의 경우는 마을과의 거리가 많이 멀어졌습니다. 예산역을 기준삼아서 서산/당진군을 연계해 다니실 수 있습니다.
 홍성군은 홍성역과 광천역만 있으며 홍성역에서 터미널까지는 약 500m 떨어져 있습니다. 홍성군에서 서해안으로 연계되는 시외버스들이 있으니 이 점을 염두해두시면 좋습니다. 태안반도(안면도)도 홍성역에서 연계해서 가시면 됩니다. 광천역의 경우는 젓갈이 유명해 젓갈축제가 있긴 하다더군요.
 보령시에는 대표적으로 청소역, 대천역, 웅천역이 있는데, 보령머드축제는 대천역에서 연계해서 가시기 바랍니다. 보령터미널이 대천역에서 약 300m 떨어져 있습니다. 물론 대천역에서 정거장을 이용해 해수욕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역을 써드린 이유는 문화재 등록이 되어있어서 단순 방문을 하셔도 되셔서 그렇습니다 ㅎㅎ;
 서천군에는 서천역과 장항역이 대표적입니다. 서천역과 터미널과의 거리는 2km 정도이고, 이 둘 사이의 시내버스는 자주 운행되는 편입니다. 장항역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당시 여행때 택시기사분 曰 "장항 갈 바에야 서천이 훨 낫다"면서 저를 서천으로 보내버리셨…
 군산시에서는 군산역과 대야역이 있습니다. 군산역에서 군산시내까지는 버스나 택시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걸어서 갈 수준은 아니거든요;; 군산시내의 관광같은 경우는 1박2일이나 런닝맨 등의 프로그램에서 자주 나왔으니, 단순검색으로만 해서도 가는 방법들이 자세히 나올 것입니다. 대야역은 인근 관광지가 있다면;;
 계룡시에는 호남선의 계룡역이 대표적입니다. 계룡산, 계룡대 연계는 이곳에서 하시기 바랍니다.
 논산시에는 연산역, 논산역, 강경역이 있습니다. 논산역과 강경역에서 논산훈련소(연무대) 연계가 가능하며, 연산역은 역 내에서 일일역장 체험 등의 작은 이벤트 또는 인근 관광지 연계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4]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에서의 대표적인 역은 대전역과 서대전역입니다. 일전에 소개해드렸다시피 두 역은 차이점이 있는데, 대전역의 경우 충청북도와 경상남도 라인을, 서대전역의 경우 충청남도 계룡, 논산과 전라도 연선입니다. 이렇게 되는 원리가 대전역과 서대전역 북쪽인 대전조차장에서부터 나뉘어지기 때문입니다.
 대전광역시 내에서는 버스 등급이 일부 나뉘어져있습니다. 가격 차이는 100~200원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하철의 경우 서대전역과 연계성이 떨어지며, 인근 관광지 중 엑스포같은 경우는 버스로 이동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전라북도
 전라북도의 연선으로는 익산시와 호남선(김제시, 정읍시), 전라선(전주시, 임실군, 남원시)이 있습니다.
 익산시는 대표적인 익산역이며, 장항선의 기종점 역할과 호남선과 전라선의 분기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익산시내의 버스는 나쁜 편은 아닙니다. 익산시내나 배차간격으로 인한 군산시내 연계를 하고 싶으시다면 이 곳의 터미널(1km)에서 가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김제시는 김제역의 터미널(1.5km)에서 부안군의 변산반도 연계가 가능합니다. 부안 자체가 배차간격이 꽤 좋은 편(15분)이라 이용하시기에 무리는 없어보입니다.
 정읍시는 신태인역과 정읍역이 있는데, 정읍역에서 터미널과의 거리는 400m 정도입니다. 변산반도 연계가 이쪽에서도 가능하긴 하지만, 도로 현황이 좋지 않습니다. 변산반도는, 김제시에서.
 전주시는 전주시내에서는 거리가 있습니다. 물론 한옥마을과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유의바랍니다. 완주군의 삼례역은 따로 정차하곤 있습니다. 터미널과의 거리도 있기 때문에 전주시내 관광은 버스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임실군은 제가 다녀본적은 없습니다만, 임실역에서 치즈테마파크와는 택시로 이동가능합니다.
 남원시는 남원역에서 버스로 시내로 이동가능합니다. 버스는 많이 이동하고 있으니 관광지인 광한루나 먹거리인 추어탕은 쉽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다른 지역은 4장(연계 2편)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키보드에서 손을 떼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히계세요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