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온 수도회의 목적은? [다빈치 코드]
게시물ID : mystery_64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포스트댓
추천 : 2
조회수 : 4691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7/20 18:38:29
옵션
  • 펌글

시온 수도회의 목적은? [다빈치 코드]
  
 시온 수도회에서 남긴 두가지 흥미로운 문서
 
 1950년대부터 시온 수도회는 아리송하고 흥미로운 정보들을 파리 국립도서관에 남겨놓기를 즐겼고 연구가들은 이 자료를 찾아냈다. 특히 배전트, 레이, 링컨은 1982년 <성혈, 성배 Holy Blood, Holy Grail>에서 메로빙거 왕조의 혈통에 대해 쓰고 있을때 두 가지 흥미로운 문서를 손에 넣는다.
하나는 수수께끼 같은 비밀문서인데 이상하게도 주기적으로 입수된 문서였다.
두번 째 문서는 <붉은 뱀 Le Serpent Rouge>이라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메로빙거 왕조의 가계도와 생 쉴피스 성당의 지하 설계도, 그리고 12궁도의 궁과 관련된 13개의 시가 있다. 이 문서들을 쓴 것으로 추정된 사람들(4명 모두)은 모두 알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숨을 거뒀다.
 
 
prieure_de_sion_by_marciopinheiro.jpg
 
시온 수도회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시온 수도회, 혹은 불어로 '프리외르 드 시옹(Prieuré de Sion)은 궁극적으로 신비학이나 그노시스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노시스파란 이집트의 현자인 오르무스가 서기 46년에 이끌었던 단체다. 오르무스는 또한 시온 수도회가 1188년에 채택한 또 하나의 이름으로 그 당시 시온 수도회는 '시온 기사단'(혹은 시온 교단이라고도 한다)에서 이름을 바꿨다.
이 당시 시온 수도회는 스스로를 '장미십자단'이라고 했는데 이는 사실 시온 수도회가 처음에는 장미십자회원으로 출발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중세 시대까지는 시온과 관련된 조직은 역사가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았다. 스테네이의 오르발 대수도원 '사타니쿰(Satanicum)'은 북부 프랑스의 아르텐에 위치해 있으며 1070년 이탈리아의 칼라브리아 출신의 수도사들이 설립했다....(중략)
 
시온 수도회는 에비온파
 
 시온 수도회의 목적은 언제나 다고베르트 2세가 암살된 이후 상속권을 잃은 메로빙거 왕조와 혈통을 유럽 왕조에 부활시키는 일인 것 같다. 결국 메로빙거 왕족은 다양한 정치 협약과 혼인을 통해 여러 귀족과 왕가를 포섭한 듯하다. 블랑슈포르, 기소르, 생클레르, 몽테스키외, 몽페자, 포에르, 뤼이지냥, 플랑타르, 합스부르크 로렌 가문이 여기에 속한다.
당시 기록을 보면 시온 수도회의 본부는 '시온 산의 노트르담 대수도원'이라고 분명히 나와 있다. 시온 산의 노트르담 대수도원은 예루살렘의 남쪽에 있다. 시온 산의 노르트담 대수도원은 비잔틴 바실리카 폐허 위헤 세워졌으며 요새를 잘 구축해놓았다. <성경 연금술(Biblical Archaeology> 잡지의 1990년도에 실린 기사 내용에 따르면 시온 산은 예루살렘의 에비온파의 본부인 듯하다.
예수를 따르던 에비온파는 사도 바울로가 아니라 예수의 형제인 야고보를 그리스도 교회의 정당한 지도자라고 생각했다.
<다빈치 코드>에서 랭던은 시온 수도회가 성스런 여성을 잘 정리해 놓은 문서를 보유하고 있고 막달라 마리아를 섬긴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은 그리 확실한 것 같지 않다. 시온 수도회는 막달라 마리아를 예수의 아내로 여겼으며 여성성의 상징으로 봤다.
 
예수의 후손은 교회에 커다란 위협적 존재
 
잡지 <다고베르트의 복수>에서 트레이시 트와이먼은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여러 성배 연구자들은 막달라 마리아를 일종의 여성 영웅으로 보며 카톨릭 교회가 막달라 마리아의 여성성이 가지는 힘을 두려워해 막달라 마리아를 '성경에서 제외시켰다' 고 말한다. 하지만 막달라 마리아나 교회 교부들 중 누구도 이런 식으로 생각을 하거나 상상해본 적이 없다. 막달라 마리아가 교회에 위협이 되었던 이유는 여성이어서가 아니라 예수 아이의 어머니, 즉 예수의 왕실 가문과 고귀한 혈통을 상속받는 아이의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이 상속자들은 모든 권리에 따라 예수의 교회뿐만 아니라 예루살렘의 왕권을 물려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몇몇 상속자들이 보기에 예루살렘에서의 왕권은 전세계를 지배하는 패권임에 틀림없었다.) 상속자들이 이런 주장을 한다면 세상을 종교적으로 그리고 세속적으로 지배하고 싶어하는 교회에게는 커다란 위협이 아닐 수 없었다. 예수의 자식들만 없다면 카톨릭 교회는 왕을 만들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었다.
 
[다빈치 코드의 진실> 中에서]
 
e0044358_06075113.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