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 밤 TV 권합니다.
게시물ID : sisa_106246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제주불한당
추천 : 20
조회수 : 2076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8/05/24 21:36:54

오늘 저녁에도 좋은 TV프로 네 개를 여러분께 권합니다. 특히 국가에 의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문제를 EBS에서 야심차게 방송합니다. 이 문제 해결에 지지부진한 문재인 정부가 제발 사활을 걸 수 있도록 많은 애청과 본방사수 후 청와대 청원과 푸싱 부탁드립니다.

 

TV권함. 1. 오늘 목요일 밤 950EBS #다큐_시선 <#우리는_빨갱이가_아닙니다> :(재방송 5.27 일요일 늦은 2시반), 예고편->http://home.ebs.co.kr/view/board/5/10080684/view/10009784520?c.page=1&hmpMnuId=102&searchKeywordValue=0&bbsId=10080684&fileClsCd=ANY&searchKeyword=&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Value=0& (65)

 

개요 = 사학자 한홍구가 말하는 대한민국 민간인 학살의 진실은? "죽음을 죽였다. 죽였다는 사실조차도 죽여버렸어요. 백만 명에 가까운 국민이 죽었는데, 그 죽음을 추모해서도 안 되고, 입도 뻥끗해서도 안 되는 세상이 만들어졌잖아요." -역사학자 한홍구 교수 인터뷰 중-

 

한국 전쟁사에 따르면 해방 이후 4.3 사건, 여순 항쟁, 대구 10월 항쟁을 포함한 민간인 희생자 수는 무려 백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가해자는 다름 아닌 국가였다.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고 유족들은 빨갱이 자식이라는 손가락질을 받으며 살아왔다. '다큐시선'은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의 역사를 짚어보며 숨죽이며 살아온 유가족들의 증언을 기록한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가장 먼저 몸을 숨겼던 이승만 대통령은 형무소에 있는 재소자들을 사형시킬 수 있는 특별법을 발표했다. 정치범 척결이 그 목적이었다. 전국 18개의 형무소에서 3만 명이 형무소 사건으로 희생되었다고 한다. 빨갱이라는 오명 속에 살아온 희생자들과 그 유가족들의 삶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경상북도 경산시의 코발트 광산. 폐쇄된 광산에는 1800여명의 유해가 매장돼 있다. 분단 이후 체제안정을 위해 정부가 결성한 보도연맹원들이 이곳에서 희생당했다. 2007년부터 진실, 화해 과거사위원회는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을 진행해 400여구의 유해를 수습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발굴은 중단됐고, 지금은 유해와 발굴 장비만 뒤엉켜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설화산 폐금광.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 부역자라는 이유로 군경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있었던 곳이다. 지난 3, 한 달 동안 유해발굴을 진행했는데, 67년 만에 빛을 본 유해의 절만 이상은 놀랍게도 아녀자와 아이들. 발굴을 지휘한 충북대 박선주 명예교수는 뒤엉켜 나오는 유해들의 참혹함에 말을 잇지 못했는데, 구슬을 가지고 놀던 세 살배기 아이가 어떤 부역을 했을까?

 

한국 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추정지는 168, 발굴된 곳은 단 14곳뿐이다. 문재인 정부는 적폐청산 1호 과제로 과거사 정리를 내세웠지만 정부 차원의 발굴은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과거사 정리는 요원한 것일까?

 

2. 오늘 저녁 9시반 JTBC #스포트라이트 <정치판의 악어새? #드루킹 의 실체>

 

3. 10KBS1TV #KBS_스페셜 <우리반 15등 김유진? 지방대생 이야기>

= 한해 평균 수능 응시생 약 60만 명.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입학 정원은 약 7만 명. 일반적인 고등학교 한 반 정원 30명 중에서 '인 서울'의 영예를 누릴 수 있는 학생은 고작 3명 정도 소수의 승자만이 살아남는 학벌 경쟁에서 대한민국 평균이자 가장 평범한 삶은 살아온 '15' 정도의 아이들은 서울 바깥, 지방대로 향하게 된다. 그렇게 90년대 생 지방대 청년들이 취업시장에 뛰어들었을 때 그들을 맞이한 건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

 

90년대 생 중 가장 많은 이름으로 등록된 '유진' 2018년 지금을 살아가는 '유진이들'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가장 평범한 청년들을 이야기한다.

 

4. 1140KBS1TV 다시 보는 북한문화유산 4부작 <4편 천 년 전 국제도시 개경>

 

오늘 EBS 다큐 시선과 JTBC 스포트라이트, KBS스페셜 방송 시간이 겹치네요. 으음 저는 민간인 학살 문제를 다룬 다큐 시선 먼저 보고 아쉽지만 나머지 두 개 프로는 추후 다시보기 할 생각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