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일본 "잃어버린 10년"과의 평행이론...
게시물ID : economy_138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3인칭시점
추천 : 0
조회수 : 111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7/28 02:08:02
밑에 달러/금 썰좀 풀다가... 예전 일본관련 다큐본게 생각이 나서요... ㅋㅋ 재미로 봐주세요!

1.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이란?
- 경기 추락 후 표면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특히 초저금리) 실행하였으나 오히려 경제 성장을 악화시킴.
- 1990년 니케이 붕괴, 1991년 부동산 버블 붕괴 등으로 실물자산의 붕괴를 일으킴
- 1997년 산요증권 도산을 시작으로 은행도 줄줄이 폐업... 기업/개인이 저금리 시대에 빌린 부채를 은행이 회수 못함
- 결국 장기적인 경기 침체를 막을 수 없었음.

2. 초저금리와 보험사
- 일본에서 장기 경제 침체기를 겪으며 제 1정책으로 내세운 것은 초저금리임. (실제로 금리가 0%인 적도 있음)
- 경제 성장기때 확정고금리로 고객유치 했었던 보험사들 줄줄이 도산함. 
- 오히려 초저금리 때도 보험사끼리 경쟁 치열해져서 수익성 악화시킴. (제살 까먹으면서 영업함)

3. 대한민국은 다른가?
- 전 세계적인 저금리 시대. (낮은 경제 성장률을 유동성확대와 금리인하를 통하여 극복하려는 정부의 노력)
- 보험사 수익구조에 관심가질 필요 있음. 이미 국내 보험사 이익 구조도 위기에 봉착한 사례 많음. 2000년 초반에는 7%대 확정금리 상품 많았음.. 지금 금리는 1.5%대임... 엄청난 역마진률을 그대로 맞으며 버티고 있을 것임. 사업 구조 다각화 필요.
- 부동산 버블 붕괴 조짐은 몇년전 부터 계속 보이고 있음. 위태위태하게 정부 정책빨로 버티는중임.

4. 일본과 닮은 모습 3가지
- 인구고령화. 생산가능 인구 비율 감소로 출생률 감소 등으로 인하여 이미 막을 수 없는 상태임. 
- 부동산버블. 위에 간단히 쓴 대로.. 부동산 버블 붕괴 조짐이 많이 보임. (허나 사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부동산 버블 상승이 엄청 심하진 않았음..)
- 저금리정책. 워낙 세계적인 추세였죠.. 

최근 보험사가 허덕인다는 기사 보고 생각나서 옛날에 봤던 노트 뒤져봤네요..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정부가 표면적인 경제 부양 정책을 내 놓을때 큰 일이 생기고는 하는데 요즘 한국을 보면 딱히 경쟁력 있는 정책이 나오질 않더라고요.. 번뜩이는 정책이 나왔으면.. ㅠㅠ 

위기론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요즘 경제 상황보면 아.. 이게 진짜로 일어날 수도 있겠구나 하는 느낌을 너무 많이 받아요. 최선의 시나리오로 대응했으면 좋겠으나.. 최악이 찾아올까봐 두렵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