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선 잊혀진 백제 곤지왕.. 日서 1500년간 조상신 추모
게시물ID : history_2223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ckk
추천 : 1/7
조회수 : 1674회
댓글수 : 20개
등록시간 : 2015/07/28 11:23:55
옵션
  • 펌글
  • 본인삭제금지
많이 안알려진 이유가
한국내에서는 이런거 알고싶지도 않고
관심도 없어서 많이 안알려진거같고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자기네가 식민지배한
곳의 왕족을 추모한다는게 감추고싶어서인듯..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50722030420928

한국에선 잊혀진 백제 왕족.. 日서 1500년간 조상신 추모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18>한일평화대사 곤지왕동아일보 | 입력 2015.07.22. 03:00 | 수정 2015.07.23. 10:58
오사카에 있는 아스카베(飛鳥戶)신사에서는 매년 새해가 되면 막걸리 사과 대추 등을 놓고 술을 한 잔씩 따른 뒤 큰절을 올리는 한국식 제사가 치러진다. 그런데 이들이 모시는 조상신은 일본인이 아니라 한국인 백제 곤지왕이다.

한국에서 그의 무덤은 확인할 길도 없고 사당조차 없어서 이름조차 낯선 인물이지만 일본인들은 곤지왕을 모신 신사를 짓고 무려 1500여 년 동안 제사를 이어오고 있다....

① 역사소설 ‘곤지대왕’을 쓴 정재수 작가의 현몽(現夢·죽은 사람이나 신령이 꿈에 나타남)을 바탕으로 김영화 화가가 그린 곤지왕의 상상 초상화. ② 일본 오사카 근교 아스카 촌 주택가에 있는 아스카베신사의 도리이(鳥居·두 개의 기둥을 세우고 윗부분을 가로대로 연결한 문). 859년 지어진 신사의 원래 위치에 세워졌다. ③ 교토 근교의 한적한 시골마을 히노 정에 있는 귀실신사 전경. 곤지왕 국제네트워크 제공·아스카=권재현 기자 [email protected]·히노 정=하정민 기자 



....그를 조상신으로 모신 아스카베신사가 있는 아스카 일대는 곤지왕이 왜에 있을 때 머물던 곳으로 고대 사료를 분석한 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이 일대 주민의 36%가 한국계였고 그중에서도 백제계가 64%나 되었다고 한다.

이곳 주민들은 한때 없어졌던 신사를 다시 만든 주역이다. 1908년 메이지 정부는 신사 통폐합을 한다며 이 신사를 다른 신사와 합쳐 버렸다. 주민들은 전쟁이 끝나고 조금씩 안정을 찾아가던 1950년대 신사부활운동을 시작한다.

마침내 1952년 신사의 문을 다시 열게 되자 정부로부터 일체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 주민 헌금으로만 운영하기로 결정한다. 신사 관리도 순번을 정해 돌아가며 맡고 있었다.

운영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6인회의 멤버 중 한 명인 나카무라 요지(仲村要司·69) 씨는 기자에게 “내 부친은 내 이름을 신사부활운동을 주도했던 사람(일본인)의 이름을 그대로 따 지을 정도로 곤지왕에게 매료되어 있었다. 나 역시 곤지왕을 생각할수록 1500여 년 세월로 맺어진 한일 인연의 신비함을 느끼게 된다”며 “매년 10월 17, 18일 이곳 신사에서는 곤지왕을 추모하는 마쓰리(축제)를 열고 있는데 소식을 듣고 찾아온 한국인들이 ‘우리도 잊고 있던 백제 왕자를 이렇게 정성스럽게 모셔주고 있다니 정말 고맙다’고 눈물을 흘리며 말할 때 큰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5072203042092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