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표준시의 변천 과정 및 논란거리..
게시물ID : history_2239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ckk
추천 : 3
조회수 : 1131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8/08 07:44:59
옵션
  • 펌글
  • 본인삭제금지


우리나라의 경도는 127.5도, 따라서 영국보다 8시간 30분이 빨라야 맞습니다.

조선에서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꾼 뒤 1908년 4월 1일부터 동경 127도 30분 기준의 표준시를 사용했었죠

하지만, 9시간 차이가 나는 일본의 표준시를 사용하는 이유가

경술국치 이후 일본은 1912년 1월 1일을 기해 강제로 우리나라 표준시를 

일본의 표준시인 동경 135도 기준으로 바꾸죠. 

아마 식민지배의 편리성때문에 그런듯..

암튼 그렇게 

일제 강점기 때 동경 135도로 바뀐 표준 자오선은 

해방 이후 이승만 정부 때  

 1954년 3월 21일부터 표준시를 동경 127도 30분으로 환원해서 원래대로 돌아오지만,

 1961년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면서  1961년 8월 10일부터 다시 일본 표준시로 바꿔 지금까지 쓰고있습니다.


보통 1시간 단위로 표준시를 끊는 국제적인 관례를 따른 면도 있지만, 다른 방송을 들어보니

실제론 우리나라와 일본에 주둔한 미군의 작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안보적인 목적이 더 컸다고 합니다.


암튼 정부공식발표로 봐선 대한민국은 표준시를 동경 127도 30분으로 바꿀일은 없어보이네요.


 http://media.daum.net/editorial/opinion/newsview?newsid=20150808013443259

[씨줄날줄] 한국 표준시 논란/김성수 논설위원

http://media.daum.net/editorial/opinion/newsview?newsid=20150808013443259

일제의 침략 이래 사용돼 온 현 표준시간은 오는 3월 21일(춘분) 상오 0시 30분을 기하여 구 한국시간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동일(同日) 상오 0시 30분이 새로운 한국시간으로 상오 0시 정각이 된다.”

‘다시 찾은 우리 표준시간’이라는 제목의 1954년 3월 14일자 신문기사는 30분을 늦추는 표준시(標準時) 변경을 예고하고 있다. 

일본에 맞춰 동경(東經) 135도를 기준으로 했던 표준시간이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동경 127도 30분 선으로 바뀐다는 내용이다. 

국립중앙관상대장 이원철 박사는 일본과의 감정에서 비롯된 게 아니며 한반도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표준시를 정하는 게 타당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동경 120도가 베이징 표준시이고 동경 135도가 일본의 표준시다. 우리나라는 함흥-원산-가평-양주-이천-청주-대전-순천으로 이어지는 동경 127도 30분을 표준시로 삼는 게 지리적으로 보면 맞다. 이 경우 우리는 중국보다는 30분이 빠르고, 일본보다는 30분 느린 시간을 쓰게 된다.

우리나라만큼 표준시가 많이 바뀐 나라도 드물다. 정치적 산물이다.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꾼 뒤 1908년 4월 1일부터 동경 127도 30분 기준의 표준시를 사용했다. 

경술국치 이후 일본은 1912년 1월 1일을 기해 강제로 우리나라 표준시를 일본의 표준시인 동경 135도 기준으로 바꾼다. 해

방 후 유지됐지만 이승만 정권은 1954년 3월 21일부터 표준시를 동경 127도 30분으로 환원한다.

 그러나 1961년 8월 10일부터 다시 일본 표준시로 바꿔 지금까지 쓰고 있다.

2013년 11월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이 표준시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는 등 표준시를 재조정하자는 주장은 그간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국제 관례상 30분 차이가 나는 표준시가 없으며, 북한도 동경 135도를 쓰기 때문에 통일 후에나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북한이 어제 이번 광복절부터 동경 127도 30분을 기준으로 표준시를 바꿔 지금보다 시간을 30분 늦춘다고 발표했다. ‘평양시간’이 생겨나는 셈이다. 외국인 일본과는 같은 시간을 쓰면서 같은 한반도에 있는 북한과는 30분 시차가 나는 기묘한 상황이 됐다. 

개성공단 입출경 때 30분의 시차를 조율해야 하는 등 혼란도 예상된다. 비용이 만만치 않겠지만 ‘시간주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리는 있다. 표준시 변경을 다시 논의해 볼 때가 됐다



http://nvp.co.kr/gn_bbs/board.php?bo_table=bgroup1_1&wr_id=3860

정부 “북 표준시 변경, 남북동질성 회복에 지장”   [정치일반]

        

정부는 북한이 8월 15일을 기준으로 현재 시간보다 30분이 늦은 평양시를 사용하겠다는 것과 관련해 “장기적으로 볼 때는 남북통합, 표준통합, 그리고 남북동질성 회복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7일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이번에 남북이 공통으로 사용하던 표준시를 자체적으로 변경해서 남북 간에 30분간의 시간차가 발생하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당면해서는 개성공단 출입경이라든지 이런 남북교류 등에 약간의 지장이 초래될 것 같다”고 우려했다.

정 대변인은 “원래 표준시라는 것은 국제적으로 인접한 국가의 자오선을 쓰게 되어 있다”며 “우리로 볼 때는 중국 쪽에 있는 120°와 동경 쪽을 기준으로 하는 135°를 쓰게 되어 있는데 우리나라 국토가 그 중간에 위치하다 보니까 동쪽을 쓰는 것이 보통 일반적인 국제적인 관례이고, 그것이 통상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일광 절약이라든지 또는 낮 시간을 활용하는 측면에서는 대개는 오른쪽을 쓰는 게 맞는다고 본다” 며 “그런 측면에서 지금 우리가 얘기했던 것은 일제 잔재라든지 그런 측면이 아니고 국제적인 관례와 실용적인 측면이 보다 기준이 됐기 때문에 135°를 기준으로 해서 표준시를 썼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대변인은 이어 “시간을 바꾸는 문제는 금융이라든지 항공이라든지 여러 가지 경우에 있어서 부대비용과 추가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며 “그것 말고도 또 여러 가지 기회비용을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손해가 좀 있겠다라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editorial/opinion/newsview?newsid=20150808013443259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