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내수차와 수출용차를 왜 차별하는가?
게시물ID : car_7000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폭포수커~브
추천 : 12
조회수 : 1445회
댓글수 : 26개
등록시간 : 2015/08/25 14:30:11
저는 국산차의 내수용차와 수출용차가 만약 가격 측면에서 내수용차와 수출용차를 차별한다면 그것이 왜 가능하고 과연 합리적 선택인지를 얘기 하고 싶어 글을 씁니다.(현기차의 입장에서는 차별이 아니라고 항변하고 있습니다. 무엇이 차별인지에 대해서 관점이 다른 것일 수도 있겠죠)
 
전제 : 국산차 현기차 의 내수용차와 수출용차의 가격차이가 존재한다.(부품 등의 품질차이는 결국 가격차이로 환산할 수 있음, 현지생산차는 가격결정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가격차이가 당연히 발생하므로 논외로 함)
 
1) 국산차 생산기업은 대부분 내수용차와 수출용차의 가격을 달리 책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이를 독(과)점기업의 가격차별화 정책이라고 함.
 
3) 독(과)점기업의 가격차별화 정책을 선택하는 데 필요한 조건
   1. 판매자가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어야 함 (판매자가 최소 1시장에서 시장지배하고 있는냐?)
   2. 서로 다른 고객 또는 시장이 쉽게 구분되어야 함(한국시장과 미국시장은 구분되느냐?)
   3. 상이한 시장 사이에 상품의 재판매가 불가능해야 함(역수입이 가능하냐?)
   4. 상이한 시장간에 수요의 가격탄력도가 달라야 한다.(한국시장과 미국시장의 수요의 가격탄력도가 다르냐?)

4) 국산차 생산기업 중는 현기차가 독과점기업입니다. 따라서 현기차는 위의 4조건이 만족한다면 국산차와 수출용차의 가격차별화 정책을 쓸 수 있음.
 
5)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합니다. 현기차는 한국의 시장을 지배하였고(현재는 점유율이 많이 떨어지긴 했지만), 한국시장과 미국시장은 지역적으로 다른 시장이고, 차는 역수입(직구가)이 매우 어렵고 불편하며(법률적 장애가 있다면 완벽한 조건), 가격탄력도도 다릅니다.
 
6) 현기차는 가격차별화 정책을 쓰기 위한 모든 조건을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차별화 정책을 쓸 수 있고 합리적 선택입니다.(이윤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합리적 인간에 부합한다면 그렇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윤리, 도덕적이냐는 문제는 다른 문제임)
 
7) 그렇다면 어떻게 가격차별화 정책을 포기하게 만드느냐?(수출용차와 비슷하게 또는 더 싸게 살 수 있을까요?)
 
8) 독과점기업의 점유율을 떨어뜨려서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국내시장가격을 낮추게 하여야 한다.(참고로 현기차는 점유율이 떨어지면서 소비자 반응을 신경쓰기 시작했습니다. 전에는 전혀 신경안썼죠. '그냥 이대로'를 외쳤습니다. 가격을 낮추거나 소비자 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할 유인과 동인이 거의 없었다고 해도 좋습니다.)
 
9) 소비자인 저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활발해지기를 바라며 그래야 좀 더 질좋고 싼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10) 국민경제 전체의 입장에서 보면 국내기업이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 승승장구해서 이익도 많이 내고 그래서 국내에 재투자한다면 좋겠지만(그래서 나와 내주변 사람의 일자리 늘어난다면)
 
11) 국내기업은 이익이 나도 국내 재투자안하고 있으므로 패스
 
12) 그냥 소비자의 입장에서만 생각할렵니다. 그래서 현기차가 미워서가 아니라 시장의 경쟁의 활성화와 가격인하(소비자 후생 증가)를 위해서 가격차별화 정책을 쓰는 기업의 차는 사지 않겠습니다.
 
쓰고 보니 다 아는 사실이군요.
 
2만....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