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中 이번엔 ‘선사시대 동북공정’
게시물ID : history_2270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ckk
추천 : 2/5
조회수 : 1145회
댓글수 : 24개
등록시간 : 2015/08/27 07:00:04
옵션
  • 펌글
  • 본인삭제금지
15억중국인들이 믿고 사실로 알고있다면 세계에서도 그렇게 알게될듯..ㅠ



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20150827030929904

[단독]中 이번엔 '선사시대 동북공정'

韓민족과도 관련있는 요하문명을"중원문명의 원류" 자국史로 편입.. 박물관-연구시설 세워 역사왜곡동아일보 | 입력 2015.08.27. 03:09 | 수정 2015.08.27. 05:16
중국이 우리 민족과 무관하지 않은 요하(遼河)문명을 자국 역사로 편입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고구려, 발해사를 중국사에 편입하는 ‘동북공정’을 2007년 완료한 데 이어 2003년부터는 요하문명을 자국 역사에 흡수하려는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을 진행 중이다. 최근 관광 수익을 노리는 중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 참여하면서 역사왜곡이 심화되는 등 ‘선사시대 동북공정’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

앞서 지난해 4월에는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가 ‘아오한치 선사 고고 연구기지’를 세워 홍산문화 유적에 대한 발굴을 주도하고 있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북방 고고학)는 “중원 문명의 원류로 요하문명을 규정하려는 중국 정부의 시도는 명백한 역사왜곡”이라며 “이대로 가면 고조선을 포함한 한반도 상고사에 대한 해석마저 축소, 왜곡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 요하문명(遼河文明)요하(遼河·랴오허) 강은 중국 동북지방 남부를 통과해 보하이(渤海) 해로 흘러든다. 기원전 7000년까지 거슬러가는 이 문명은 요하 주변의 다양한 신석기문명을 통칭한다. 기원전 4500년경 발생한 홍산(紅山) 문화가 대표적이다. 우리 학계는 이 문명의 주체가 동이족(東夷族)이며 중원과 한반도에 각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15일 찾은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츠펑 시 얼다오징쯔 유적. 하가점 하층문화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주거지 등 거대한 촌락 유구를
철골 구조물로 감쌌다. 이 유적의 발견 이후 건설 중인 고속도로 방향이 바뀌었다. 츠펑=김상운 기자 [email protected]
中 박물관, 요하문명-한반도 교류증거 빗살무늬토기 외면 ▼본보-경희대 인문학연구원, 中선사시대 동북공정 현장 답사
《 중국 정부의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은 동북공정보다 시기적으로 훨씬 넓은 신석기∼청동기 시대를 아우른다. 우리 학계는 요하문명이 한반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동이족(東夷族) 문화권으로 보고 있다. 중국 측 주장대로 중원 문명의 원류로만 규정지을 수 없다는 얘기다...........
..........

박물관 내부는 홍산문화 유적지에서 출토된 옥(玉)과 채문토기(彩陶·채색 안료로 무늬를 그린 토기)들이 집중적으로 전시돼 있었다.

옥과 채문토기는 홍산문화에서 발견된 수많은 유물 가운데 그나마 중원 문명과 가까운 요소로 간주되는 출토품들이다. 홍산문화 유적에서는 한반도와 교류 흔적을 보여주는 빗살무늬토기가 다수 발견됐지만 아오한치를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 박물관은 채문토기만 보여주고 있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북방고고학)는 “홍산문화가 중원 문명의 원류로 부각되면서 예외적으로 출토되는 채문토기가 요하 지역을 대표하는 유물로 둔갑했다”고 지적했다.

........

○ 요하문명의 진정한 실체는?

중원 중심의 역사 해석은 요하문명의 주축인 요서뿐만 아니라 요동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3일 중국 랴오닝 성 랴오양(遼陽) 시 박물관. 신석기시대 첫 전시실에 고조선을 대표하는 유물인 비파형 동검과 미송리식 토기들이 사방을 둘러싸고 있었다. 흡사 한국 박물관의 선사시대 전시실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고조선과 고구려 등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요동지역 역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랴오양은 예부터 한반도와 밀접했던 요동지방의 중심지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였다. 60m² 남짓한 아담한 전시실을 돌아 나가자마자 투구를 쓴 채 긴 창을 쥐고 선 연나라 장수 진개(秦開)의 거대한 동상이 막아섰다. 동상 뒤로 모든 전시실에서 비파형 동검이나 미송리식 토기들은 자취를 감췄다. 연(燕), 진(秦), 한나라 등 중원 문명 위주의 유물들만 빼곡히 전시돼 있을 뿐이었다.

.............


출처 http://media.daum.net/breakingnews/newsview?newsid=20150827030929904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