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자식 춘추필법 진(晋)나라 문공의 희맹식경우...
게시물ID : history_2296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ckk
추천 : 1/13
조회수 : 890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5/09/16 06:40:51
옵션
  • 펌글
이런식의 기준이라면 훗날 중화족의 역사책에선 

높은분들이

동이에게 당한 치욕이나 수치는 

적당히 넘어갔을거같은 생각드네요,,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50908154615395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난신적자' 처벌법의 공소시효

경향신문 | 경향신문 논설위원 http://leekihwan.khan.kr/ | 입력 2015.09.08. 15:46 | 수정 2015.09.08. 16:01

기원전 621년 춘추시대 진(晋)나라 문공은 천토(踐土)라는 곳에서 천자(주나라 양왕)을 위해 회맹식을 열었다.

제후 가운데 최고 실력자인 문공이 다른 제후들을 거느리고 천자(양왕)를 위해 베푼 충성맹세의 장이었다. 역사는 이 사건을 ‘천토지맹(賤土之盟)’이라 일컫는다. 이로써 진 문공은 춘추시대 제후국을 대표한 첫번째 ‘춘추5패’가 됐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있다. 

공자가 쓴 역사책인 <춘추>가 이 역사적인 팩트를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대신 “천자가 하양(河陽)이라는 곳으로 사냥을 나갔다”고만 기록했다.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역사’가 아닌 명백한 왜곡이었다. 공자는 과연 왜 그랬을까.


■공자, 역사왜곡 불사하다

그것은 바로 문공의 행위가 대의에서 벗어난 짓이라 봤기 때문이다.

이미 천자국인 주나라의 세력이 위축됐던 때였다. 반면 제후국 중 하나인 진나라는 문공의 치세에 천자국을 위협하고 있었다. 그 때 진 문공이 제후국을 대표한다는 명목으로 천자(주 양왕)를 초청해서 회맹, 즉 충성맹세의 의식을 펼친 것이다. 하지만 말이 초청이고, 충성맹세였지 천자를 ‘소환’해서 자신의 위세를 떨친 것이었다.

공자는 아무리 천자를 위한 충성맹세의 장이라 해도 제후(진 문공)가 감히 천자(주 양왕)를 소환, 즉 ‘부를 수는 없다’고 포폄을 가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춘추필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공자가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전하고자 한 뜻은 분명했다....



출처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50908154615395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