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근대화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논쟁의 문제점.
게시물ID : history_233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로코모코
추천 : 1
조회수 : 378회
댓글수 : 30개
등록시간 : 2015/09/29 13:42:09
옵션
  • 창작글
  • 본인삭제금지
이 문제의 핵심은, 용어의 정의입니다.
주장하시는바, 쟁점의 핵심은 근대화에 긍정적인 개념이 포함되느냐 아니냐 입니다.

제 의견은 근대화가 뭔 난데 없이 긍정적이냐는 겁니다.
긍정적이라고 받아들이는건, 그야말로 정치 프로파겐다에
세뇌된 우리나라의 문제입니다.
조국 근대화 어쩌고 하면서 세뇌한게 박정희 시대의 정치 슬로건이지
이게 무슨 학문적 의미로서 긍정적이라고 주장하시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사학의 발전이 서양쪽에서 나온것이고,
그 근대화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에서 번역되서 사용된것을 생각해 본다면,
이 말이 긍정적이다 라고 주장하는 말은, 본말이 전도 된 주장입니다.
이건 오히려, 근대화라는 말이 우리나라에서 정치 슬로건으로 사용되었고,
그럼으로서 우리나라에서 한정적으로,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야 맞는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근대화라는 언어가 정치적 의미인지,
역사적인 의미인지 분류해서 사용해야 하는것인지.
혹은, 다른 언어로 사용해야 하는것인지의 문제가 됩니다.

막말로 말하자면, 사학계에서 moderniza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게 문제라고 
하시는건 황당하다는 겁니다. 그럼 백번 양보해서, 이 영어를 우리나라말로
다르게 해석해야 할까요? 오히려, 나라 한정으로 이 근대화라는 말에
정치적 의미를 부과해서 써먹은건 우리나라입니다. 그리고 그거 이전에
정립된 언어라는점을 생각해 보세요. 학계에선 이미 엄청 오래 쓰인말입니다.

정치적 의미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쓰이는 말이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해서
과거의 용어를 바꾸려고 해야 한다는 말이 된겁니다. 물론 고어나 사어라면 그렇겟습니다만,
그런 단어도 아니잖습니까, 세상에 사학계가 우리나라만 있는것도 아닙니다.

첨언하자면,

근대화의 기본개념은,
과거 권위와 집단에서 의거하는 통치논리가,
개인에게 돌아가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습니다.

근대적인 인물은 사회 통치의 통념이 개인에서 시작된다는것에서 나오는것이고,
공산주의나 민주주의나 전부 근대적 사상입니다.
이건 분류의 문제인데,
근대화가 긍정적이니 어쩌니 하는 말이 주장이라고 나오는게 황당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근대화가 긍정적의미라고 주장하시는분은, 역사에서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를 긍정적 부정적의미로 파악하신다는 말과 다를게 하나도 없습니다.

왕정과 공화정은 뭐 어떤게 더 좋다고 할수 있는 물건입니까?
극단적으로 말해서, 왕정과 민주정은 뭐가 더 좋습니까?
역사의 사실에 대한 기술적 용어에 대해서,
가치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말에는 같은 말이 여러가지 뜻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학계에서 사용하는 근대화 라는 용어는, 시대의 구분이 뚜렷이 되는 경계를 나타내며,
그에서 사상적, 문화적, 경제적 모든 시대적 구별이 나타나는것을 지칭하는데,

근대화가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건 오히려, 정치적인 면에서, 용어를 가져다가 선전한겁니다. 
그것도 강해지고, 잘살게 된다는 식으로, 경제적인 입장을
편향되서 말하는겁니다. 오히려 경제적 근대화는 산업혁명에 의해서,
생산성의 증대에 따른 잉여 생산력과 부의 증대가 이루어 진 상황에서 나타나는 거의
모든 상황에 대해서 논하는거지, 그게 절대 긍정적이지 않습니다.

이러면, 꼭 반응이 일반인에게 알려져 있는 인식이 그렇다고 말씀하시는데,
그게 절대적으로 알려진겁니까?
제 생각에는 오히려 반대입니다. 
정치쪽에서 이걸 열심히 써먹고, 널리 알려서 그렇게 인식된겁니다.
그럼 학계쪽에선 왜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말씀하시나요?

학계쪽에선 그 인식을 돌리기 위해서, 용어를 설명하고,
지식을 제대로 알리려고 하는 노력을 하면 안되고, 무조건 바꿔야 하는겁니까?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