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부라는말을들으면 어떤마음이드세요?
게시물ID : freeboard_108331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별내리는밤
추천 : 0
조회수 : 16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10/02 21:39:49
공부라는 단어의 원래의미는
한자그대로에도나타나듯 
자신이 더나은사람이되도록 수련하는거죠
중국의 쿵푸도 우리식으로발음하면 공부인데 그뜻도같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학교가서 공부를한다는건,
원래는 지식을습득하고 지혜를얻는활동인거죠.
실제로 그렇게하는게 올바른공부자세죠.
학교가서 교과과정배우는것만이아니라
오유에서 경제게시판보는것도 공부라할수있고,
댓글궁리하는것도 공부라할수있어요.
자신을갈고닦는모든행위가 공부의 참뜻이라고생각합니다,

그렇게 자기자신의연마인 공부인데,
언젠가부터 개개인의 몇몇분야의 공부수준을 측정하려하게됐고
시험점수를얻기위한 암기와 훈련으로 전달되기시작했어요.
어른들이 공부해라하는말은 번역하면 "시험대비해라"죠 사실..
그래서청소년들이 더 공부를하기힘들어하는것같아요

원래는 공부는 청소년들의 속성이라고볼수도 있지않나싶을정도에요.
그 공자가그랬었나요 15살은 학문에뜻을둘나이라고요
아이들보면 뭔가와닿는가르침에는 굉장히열의를보이곤해요.
그게 어른이 아이에게 공부란단어를 어떻게쓰느냐에달린거같아요.
보면 아이들이좋아하는선생님들은 공통적으로 아이를더나은사람이되게하려애쓰시더라구요.
같이얘기도많이하고 제대로혼도내고 세상을조금씩가르쳐주고.. 전인교육이죠
반면 안좋아하는선생님들은 공통적으로 시험대비만시키시구요.

제동생이 입에달고사는소리가 공부왜해야돼ㅠㅠ에요..
자다가비몽사몽할때말걸면 반사적으로나오기도해요..
그래서고민이들었어요

음.. 공부가 원래의미를되찾으려면
시험으로 아이들을줄세우는일이 많이사라져야할거같아요.
공부가 원래 사람을 더나은사람으로만들기위한과정이고
사회는 더나은사람이필요하니까요.
그리고 그건 절대 암기,문제풀이훈련으로 가려낼수없다고 생각해요.
그럼 수학문제잘푸는아이들은 수학적재능이있는걸까요?
아뇨 시험으로는 그것도판단할수없다고생각해요.
수학적재능이란게 정말있는지도불확실하죠
시험문제풀이는 적절한훈련으로얼마든지 나아지구요
다떠나서 사회는 사람으로구성되어야하니까요.

뭐랄까.. 지금학교시스템은 명백한 직업훈련소죠.
직업훈련소에선 기술의숙련및이해가중요하고
선행기술을습득해야 다음기술을배울수있으니까요.
기술숙련도는 점수화하기도 합리적이고..


어.. 횡설수설했는데 제가하고싶은말은 이거였어요

공부의핵심은 사람인데,
지금 학교공부엔 사람이없어요.
사람없는공부는 공부가아닙니다.
공부가아닌것을 공부라하니 진짜공부와 혼돈이오고
진짜공부들조차 아이들이거부하게됩니다.
학교공부를 더이상 공부라고부르면안될거같아요
시험준비라고하면어떨까요?
공부해야지보다 수능준비해야지 이나라에선 점수순이 월급순이다
그러면 차라리 더 피부에와닿을거같아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