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TSMC vs SAMSUNG 자체 종결 (내용 추가)
게시물ID : iphone_4804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oir
추천 : 10
조회수 : 1555회
댓글수 : 47개
등록시간 : 2015/10/14 05:51:16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신뢰할만한 벤치 결과는 언제쯤 나오나 기다렸는데
아난드텍에서 사는 족족 TSMC만 걸리는.. (좋아해야되나 말아야되나 ㅋㅋ) 재밌는 일이 있었다네요.
결국 아난드텍은 비교실험을 못했습니다. ㅋㅋㅋㅋㅋ

ars technica 벤치가 나왔습니다.
기종은 6s이고 변인 통제를 위해 액정 밝기 200nit로 고정. 유심제거. 배터리는 풀타임으로 사용. 각 테스트는 2번 이상 수행.
Samsung-vs-TSMC-iPhone-6S.001-640x470.png
긱벤치를 제외하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애플의 주장대로 별 차이가 없습니다.


아난드텍은 (뽑기운 덕분에 비교 실험을 못한 대신) 재밌는 주장+자료를 제시했습니다.

1. 긱벤치는 실사용 배터리 시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지금까지 긱벤치, 안투투 등의 "성능 벤치"를 뺑뺑이 돌려서 배터리 테스트를 하는 곳은 (제가 알기로는) 없었습니다.
이런 "성능 벤치"의 경우 실제 사용 환경에서 굉장히 먼 행동이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테스트 하지 않습니다.

77669.png
이처럼 아난드텍에서는 주로 와이파이 웹브라우징 테스트로 배터리 사용시간을 체크하며,
플웨즈에서는 와이파이 웹브라우징, 동영상 플레이, 3D 구동 시간을 체크합니다.
(아난드텍은 뽑는 족족 TSMC만 걸려서 비교 실험을 못한다고 했으니 위의 그래프는 TSMC일겁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6s에서만 긱벤치와 안투투로 배터리 비교를 하게 되었나?
이런 의문이 생기죠.
애플에서 공정이 다른 두 제조사의 AP를 섞어서 사용했다는 기사가 떴고
어디꺼가 좋나? 하는 생각에 "성능 벤치"를 돌리다가 배터리 차이를 발견한거죠.
라고 예상해봅니다.

일반적인 배터리 벤치에서는 '일반적인' 사용패턴을 사용해야 하니 "성능 벤치 앱"으로 테스트 하지 않습니다.

2. 같은 공정에서도 뽑기운은 존재한다.
오버 클럭 좀 해보신 분은 알겁니다.
같은 공정에서 생산된 cpu가 기본 전압이 다르고 그에 따른 소비 전력, 온도가 다르죠.
심한 경우엔 같은 주차(week)에서도 다른 특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CPUDistribution3_575px.png
A completely fictitious processor quality distribution example. Chips in the white area are used, outlying chips in red areas are rejected
이렇게 같은 공정에서도 칩 간에 차이는 존재하며, 아난드텍에서는 이런 현상을 "silicon lottery"라고 표현했습니다. 로또라는 소리죠.

3. 결국 TSMC와 삼성의 차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건 애플 밖에 없다.
기기 2~4개 가지고 비교 실험을 해봤자 
애플의 멘트 처럼 2~3%차이의 결과가 나타난다면 
"silicon lottery"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아니면 공정 차이에 따른 결과인지 알수가 없다고 합니다.

결국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아주 많은 샘플이 필요한데, 
수백수천대의 아이폰을 구입해서 테스트 할 리뷰어는 사실상 없다고 생각되니
애플의 '2~3%만 차이난다는 주장'을 믿을수 밖에 없...


정리.
전에 올라왔던 각종 "성능 벤치 앱"을 이용한 배터리 비교 테스트 결과에서는 꽤 큰 차이를 보였지만,
실 사용에서 그정도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을거라고 예상됩니다.
(차이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차이가 있긴 있습니다.)

이 기사들을 보고 납득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큰 차이는 없다고 믿는걸로~ 자체 종결 할랍니다.

심심하시면 출처 기사 읽어보세요 재밌어요.


내용추가.
탐스 하드웨어에서 비교 리뷰가 나왔네요.

1. 성능
3.JPG

2. 배터리
1.JPG

3. 온도
2.JPG

출처는 위에 출처란에 추가 했구요.

주목할 점은
ars technica는 GFXBench 3.1로 테스트 했는데, 탐스 하드웨어는 GFXBench 3.0으로 테스트 했네요.

또하나는 쓰로틀링 입니다.
Basemark나 GFXBench는 긱벤치보다 복합적으로 더 높은 로드를 걸기 때문에 쓰로틀링에 걸릴 확률이 높고
쓰로틀링에 먼저 걸린 기기가 배터리 타임이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변수를 참고해서 보셔야됩니다.

지금까지와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는게 재밌네요.
이정도면 별 걱정 안해도 될거 같은데? 라고 생각됩니다.

배터리 테스트에서 
cpu만 죽어라 갈구는 벤치가
cpu와 gpu 모두 갈구는 벤치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죠.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 참조 하세요.

출처 http://arstechnica.com/apple/2015/10/samsung-vs-tsmc-comparing-the-battery-life-of-two-apple-a9s/
http://www.anandtech.com/show/9708/analyzing-apple-statement-for-tsmc-and-samsung-a9

http://www.wired.com/2015/10/iphone-6s-a9-battery-life/

http://www.tomshardware.com/news/iphone-6s-a9-samsung-vs-tsmc,30306.html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