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보수단체 어버이 연합의 실체
게시물ID : sisa_61747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카리브해
추천 : 10
조회수 : 2036회
댓글수 : 12개
등록시간 : 2015/10/16 16:34:18
 
▲ <뉴시스>

野 13명 전현직 정치인 고발-세월호 참사 ‘주목’

[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보수정권이 들어선 지 8년이 지나면서 보수성향의 시민단체 활동이 왕성하다. 그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단체가 바로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이다. 60대 이상 노인으로 구성된 어버이연합은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13명의 현역 국회의원들이 치과의 사협회로부터 입법로비 의혹이 있다며 검찰에 고발하면서 야권에겐 ‘경계대상 1호 시민단체’로 꼽히고 있다. 야당에서는 어용단체, 관변 단체로 몰아세우며 ‘공작정치’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손톱 밑 가시같은 존재다. 또한 이들은 현안마다 집권 여당을 대신해 야당을 공격하고 수시로 고소고발을 남발하기 때문이다. 야권 일각에서는 어버이연합이 박근혜 정권 탄생에 일조한 측근 그룹에 의해 배후 조종 당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까지 보내고 있다. 대한민국 보수우익을 대표한다는 ‘어버이연합’의 실체를 알아봤다.

지난 11월11일 동아일보사옥 앞에서는 4~50명 되는 노인들이 모여 피켓 시위를 벌였다. 세월호 특별법이 통과된 이후 광화문 광장에 세월호 유가족들이 설치한 천막에 대해 철거를 요구하는 시위였다.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을 비롯해 한겨레 청년단, 뉴코리아여성연합 등 보수시민단체 회원들은 서울 시청에 세월호 천막 철거를 요구하는 민원을 넣기 위한 시도가 서울시 직원들에 의해 저지되자 자리를 이동해 ‘광화문 불법 천막 즉각 철거’를 재차 요구했다.

2006년 결성 세월호 참사로 ‘주목’

무엇보다 회원 다수가 60대 이상 노인들로 구성된 어버이연합이 가장 앞장서 시위를 벌이고 있어 이를 막는 경찰뿐만 아니라 서울시 직원들 도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했다. 자칫 격렬한 몸싸움으로 번져 나이 드신 노인들이 다칠 경우 물질적 정신적 피해보상으로 인해 상당한 후유증을 겪어봤기 때문이다.

이미 어버이연합(총장 추선희)은 서울 시민들 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유명한 보수 우익단체다. 세월호 참사 이후 대표적인 관변단체로 집권 여당이 직접 나서기 힘든 민감한 사안에 대해 발벗고 나서면서 보수 진영의 여론몰이를 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4월16일 터진 세월호 참사 이후 왕성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세월호 관련 대표적인 성명서를 보면 “세월호 참사 초래한 국회 즉각 해산하라”(2014.04.28), “악마 청해진 해운에게 특혜를 제공한 인천시 강력 규탄한다”(2014.05.01.), “세월호 참사 정치선동에 이용하는 전교조 강력 규탄한다”(2014.05.15.), “재난관리 업무 소홀로 세월호 참사 막지 못한 송영길 전 인천시장 고발 기자회견”(2014.05.18.), “세월호 참사 돈벌이 이용하는 거짓 영화다이빙벨’ 즉각 상영 중단하라!”(2014.10.24.), “세월호 유족들은 지금 당장 광화문 광장을 시민들에게 돌려줘라!”(2014.11.07.) 등이 있다.

또한 어버이연합은 보수단체와 연대해 관변단체로서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사건 당시에는 “내란음모 이석기 RO조직 강력 처벌하라”(2014.05.08.), 그리고 문창극 총리 후보의 ‘일본식민 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는 동영상을 최초 공개한 KBS에 대해 “왜곡보도 문창극 후보자 명예훼손시킨 KBS 강력 규탄한다”(2014.06.12.), “국정운영 방해하는 왜곡보도 일삼는 KBS 강력 규탄한다”(2014.06.13.) 성명서를 발표했다.

정치적 현안에도 어버이연합은 충실하게 정권을 옹호하는 성명서를 발포했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 사생활 의혹 기사를 적은 산케이 신문에 대해서 어버이 연합은 서울지사에 직접 항의방문해 “증권가 찌라시로 허위 사실 보도한 산케이 즉각 사과! 정정보도하라!”(2014.10.07.) 성명서를 발표했다.

특히 어버이연합이 정치권에 적잖은 영향력을 준 것은 지난 7월 야당 의원 13명에 대해 입법로비 의혹으로 검찰에 고발한 사건이다. 어버이연합은 의료법 개정과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 전현직 의원 13명이 치과의사협회로부터 후원금 명목으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의혹이 있다고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에 검찰은 10월31일 서울 성동구 치협 사무실과 간부 자택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4일에는 의료법 개정안 통과를 위한 실무를 담당했던 치협 담당국장을 소환조사했다.

어용단체로 몰아세워 ‘손톱 밑 가시같은 존재’

야당은 과거 청목회 사건처럼 유야무야될 것으로 안심했다가 검찰에 일격을 받은 셈이다. 이에 이종걸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야당탄압저지대책위원회’를 꾸려 대응에 나섰다. 또한 그동안 관심도 주지 않던 어버이연합에 대한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

입법 로비 의혹 고발 사건이던 같은 달 새정치연합은 어버이 연합이 광고를 통해 7.30 재보궐 선거 직전 세월호 특별법 관련 새정치민주연합을 ‘선동세력’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어버이연합은 일간지 광고를 통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새정치민주연합을 비방했다”며 “이는 명백한 공직선거법 93조 위반”이라고 말했다.

또한 새정치연합은 한발 더 나아가 집권 여당과 연계 의혹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은 “어버이연합의 광고와 지하철 전단지, 문자 메시지들은 새누리당의 대외비 문건과 일치한다”며 “이것이 과연 우연인지 밝혀야 할 대목”이라며 ‘공작정치’라고 비판했다.

나아가 10월24일에는 정부 지원을 받는 (이하, 자총)어버이연합 간 ‘금전적 돈 거래가 있었다’는 내용도 폭로했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은 자총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토대로 자총이 지난 2012년 3월 어버이연합 고문 조모씨의 100세 잔치(상수연)에 1400만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중 급식비로만 934만원이 지출돼 상수연에 참석한 어버이연합 회원 300여 명에게 식비를 내준 셈이 됐다. 이 예산은 ‘선진국민의식선도활동’명목으로 진행하는 자유수호활동 지원사업 중 특별계기사업에서 지출했다. 자총은 자유수호활동 지원사업으로 2011년 18억2000만원, 2012년 18억8000만원, 2013년 15억5000만원을 지출했다.

어버이연합 직계 자식격 ‘한겨레청년단’결성

어버이연합이 이처럼 집권 여당을 대신해 민감한 현안에 대해 대신 목소리를 내고 야당의원에 대해 검찰 고발까지 하면서 보수 우익단체 중 가장 주목받는 시민단체가 됐다. 어버이연합은 2006년 5월8일 출범했다. 친북 좌파를 척결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결성했다. 회원들 다수는 60대 이상 노인들로 구성돼 있고 ‘한국 전쟁 참전용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어버이연합 측에 따르면 현재 회비를 납부하는 정식회원이 1,700명이라고 밝히고 있다.

지난 10월7일에는 어버이연합의 자식격인 ‘한겨레 청년단’(이하, 한청)이 결성돼 집회를 함께 하고 있다. 한청은 자칭 대한민국 애국청년들과 북한 이탈주민 출신 청년들이 안보 중심의 체제수호운동과 북한인권 개선, 통일운동을 핵심 과제로 삼고 만들었지만 사실상 어버이연합의 직계 시민단체인 셈이다. 한청 3인 공동 대표중 박완석씨는 어버이연합 사무부총장을 역임했기 때문이다. 이밖에 최초의 탈북자 출신 국회의원인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의 보좌관을 지낸 북한인권운동가 정남씨와 뉴코리아여성연합 대표 이소연씨가 공동대표로 있다.
 [email protected]

-----------------------------------------------------------------------------------------------------------------------------------

활동비(알바비)는 대충 어디서 나오는지 아시겠죠???






출처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8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