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5·18, 유네스코 첫 세계인권교과서에 실린다.gisa
게시물ID : bestofbest_11072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나라짱
추천 : 310
조회수 : 12777회
댓글수 : 2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3/05/20 14:48:33
원본글 작성시간 : 2013/05/20 08:26:54

검증 거쳐 “북한군 개입설 허위” 확인

佛 인권선언 등 10여가지 사례에 포함

[동아일보]

2010년 11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한국에서 온 A 변호사가 유네스코 측에 청원서를 냈다. 국내 일부 강경 보수단체 명의로 작성된 이 청원서는 “5·18은 북한군 특수 부대원 600명이 일으킨 폭동이다. 광주 시민들을 학살한 것은 계엄군이 아니라 북한군이다. 5·18은 민주화운동이 아닌 만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해선 안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앞서 2010년 1월 5·18기념재단과 구속부상자회·유족회·부상자회, 광주시 등은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등재추진위원회를 만들고 등재 신청을 했다.

이처럼 국내 일부 단체가 ‘5·18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하자 유네스코는 등재추진위원회에 주한 미국대사관, 국방부, 국회도서관 등 5·18기록물을 보관하는 기관으로부터 ‘보존관리 동의서’를 받아달라고 요구했다. 해당 기관이 보유한 5·18기록물을 잘 보존 관리하겠다는 약속을 해달라는 것이다. 이는 이 기관들이 5·18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는지 의견을 물은 것이다.

주한 미대사관은 2011년 1월 28일 “미국 정부는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의 가치를 인정하며 앞으로 잘 보존·관리하겠다”는 내용의 동의서를 유네스코에 보냈다. 미대사관이 유네스코에 이런 동의서를 보낸 것은 미국 정부가 5·18을 인류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는 민주화운동으로 보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유네스코는 국내외 검증 절차를 거쳐 ‘북한군 개입설’이나 ‘폭동설’ 등은 허위라고 결론짓고 2011년 5월 25일 심사위원 14명의 만장일치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 

유네스코는 16, 17일 광주에서 열린 세계기록유산 인권기록물 소장기관 대표자회의에서 최근 발행된 세계기록유산 책자를 5·18아카이브(박물관)설립추진위원회에 건넸다. 

유네스코는 이번 회의에서 프랑스 인권선언서, 독일 베를린 장벽 붕괴 사진과 영상, 1980년 폴란드 자유노조의 그단스크 21개 요구안,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등 10여 개를 골라 세계인권교과서를 처음 펴내기로 합의했다.

광주=이형주 기자 [email protected]




일베1충들 미쿡도 종북으로 몰 기세 ㄷㄷㄷ

동아일보 이생퀴들도 

채널A에서는 극우들 지원받는 탈북자 데려다 북한국 개입했다고 인터뷰하고

신문에서는 북한개입설 같은건 터무니 없고 이렇게 국내외적으로 민주화운동으로 확인된 사실이라고 기사쓰고


정신분열증임 ㅋㅋㅋ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0&aid=0002434504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