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우리 사회는 파시즘의 형태로 급격하게 기울 탄력을 내재하고 있는지 모름.
왜냐면...사람들이 사회에서 어떤 갈등에 부딪힐 때 관청과 같은 권력에 쉽게 의지하려는 습관이 있기 때문임.
웃기는게 이게 다수의 여론으로 형성 되어버리면 관청은 이 문제를 여론에 따라 해결하려든다는 거임. 그래서 갈등이 생기는 직역 단체들은 언론을 통한 여론전을 벌임.
사람들은 소수에 대한 강제를 정말 아무렇지도 않게 관청을 통해 요구함.
선거 때가 되면 해괴한 공약이 마구 남발 됨. 예산 심의 시즌에는 소위 쪽지 예산이 나가고, 경남 경북 지역의 새마을 운동본부니 자유총연맹과 같은 관변단체에 감사없는 예산이 마구 나감-올해부터 이거 예산 구청에서 감사하는데 제대로 될 턱이 없지....
이 권력이 통제가 되지 않으면 말 그대로 '국가 사회주의' (딱 나치)가 되는 거임. (실제로는 국가 자본주의)
그리고 나머지는 침묵의 동조자가 됨. "나는 ~가 아니었으므로 침묵하였다." 인 셈.
유럽의 파시즘 보다는 북한과 같은 '가부장적 전체주의 국가'가 우리에게 자연스러울 거임. 자원외교든 4대강 사업이든 방통법이든 kdi를 포함한 공무원들 일사불란하게 알아서 기다가는 삭 다 빠져나간거 좀 봐. 그러던 게 표지만 바뀌어서 지금은 창조경제의 시즌임. 민간영역에서는 일베든 어버이 연합이든 관에 밉보이는 짓은 절대 하지않고 눈치껏 알아서 김.
민주주의 혁명을 치루었다고는 하지만 대중들의 권력구조에 대한 관점 만큼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거.
사람들 사고방식은 '나도 같은 불편부당함을 겪을 수 있으니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개입해서 합의를 보자'는 방식이 아님.
철저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봄. ('세월호 희생자들이 보상금으로 팔자 고치려한다' 같은 관점 역시 철저히 개인적인 관점. 이 관점은 결국 같은 종류의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함. 뭐 눈에 뭐 보이는 격인 셈-규모가 커지면 나의 원을 권력자가 들어주길 바라는 방식이 선거의 본질이 됨)
가령, 알바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 이러면 중장년들은 '알아서 잘해라'는 이야기가 나옴.
문제 해결을 하려해도 법에 의지해서 관청의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지만, 관청(고용노동부)이란 게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음.
그냥 법이 있으니 그에 따르는 수준이지.
사회가 운영되는 근저가 달라진 건 아님.
이점에서는 여당이든 야당이든. 누구도 다르지 않은 거 같음.
교육부 같은 관청의 태생적인 문제점은 아이들을 대상화 하고 있다는 점임.
여지껏 관청은 이들, 학생이 이 사회의 주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슴.
최근에 좀 달라지는 관점을 보이긴했슴. 경기교육청만.
하지만 다른 부처가 사람을 대하는 관점은 모두 마찬가지.
국민은 철저히 객체로서 대상화 됨(애초 '민원'이라는 말부터...)
국민들도 마찬가지. 관청을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대상화 된 개인의 위치에서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