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장
1-1. 문장의 구성요소는 "주어", "어휘", "부호", "명령어"가 된다.
1-2. "주어"는 반드시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여야 되며 "은","는","이","가","을","를"의 조사 또는 "와","과"의 연결어가 붙어야 된다.
1-3. 문장의 마지막에는 명령어가 위치하고 "다. "로 끝나야된다.
1-4. "되다"의 변형 어휘는 값의 부호로 쓰인다.
2. 주어.
2-1. 문장의 주어는 변수명이 된다.
2-3. 변수의 초기값은 0이다.
2-4. "와", "과"로 한번에 여러 변수명을 할당할 수 있다.
2-5. 조사 "은", "는" 은 변수명에 값을 할당하는 명령이다.
2-6. 조사 "이", "가" 는 변수명에 값을 더하는 명령이다.
2-7. 조사 "을", "를" 은 변수명에 값을 빼는 명령이다.
2-8. 할당, 가산, 감산 명령어가 나온 이후의 주어는 변수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2-9. "그것"이 주어일 경우 이전 문장의 주어를 그대로 변수로 사용한다.
3. 어휘.
3-1. 각 어휘는 띄어쓰기로 분리된다.
3-2. 주어와 명령어 연산자를 제외한 어휘는 모두 변수값이 된다.
3-3. 첫 어휘는 1의 값을 가지고 어휘가 붙을때마다 값은 2배가 된다.
예제)아름다운 우리 나라 멋진 한국 => 1*2*2*2*2 => 16
4. 부호.
4-1. 부호는 "되다"의 변형어휘가 사용된다.
4-2. 문장 마지막 위치에 존재하는 명령어의 경우 "되다"의 변형어미는 부호로 처리하지 않는다.
4-3. 각 부호는 앞의 어휘들의 값의 부호가 된다.
4-3. "되다"의 현재형/미래형인 "되고", "되어", "되면", "될" 같은 경우에는 +부호가 된다.
예제)아름다운 우리 나라 멋진 한국이 되고 => (+)1*2*2*2*2 => 16
4-4. "되다"의 과거형인 "되었으며", "되었고" 같은 경우에는 -부호가 된다.
예제)아름다운 우리 나라 멋진 한국이 되었고 => (-)1*2*2*2*2 => -16
5. 명령어.
5-1. 명령어는 문장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다. "로 끝나야 된다.
5-2. "알겠다"의 변형은 현재 문장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숫자값을 출력한다.
예제)이 언어는 사용하기가 복잡하다는 것은 이제 알겠다. => 이 언어 = 1*2*2*2 = 8 && "이 언어" 숫자 출력 => 8 출력
예제)이 언어와 문장은 사용하기가 복잡하다는 것은 이제 알겠다. => 이 언어 = 문장 = 8 && "이 언어", "문장" 숫자 출력 => 88 출력
5-3. "생각하다"의 변형은 현재 문장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값의 아스키코드를 출력한다.
예제)이 언어는 사용하기 복잡하고 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어려움을 생각한다. => 이 언어 = 1*2*2*2*2*2*2 = 64 && "이 언어" 아스키 코드 출력 => d출력
5-4. 그 외의 명령어는 무시한다. (단순 값 연산 및 대입의 기능만 한다.)
이 언어는 행정부 수장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것을 알게 되고 그 마음을 알고 이제는 무엇을 해야 되는지 그 말을 다시 여기서 생각하였다.
그것이 사용하게 되었고, 더 배우게 되었고, 또 자연스럽게 사용함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언어와 그 익숙함은 우리의 발전에 더 큰 도움과 지혜로 다가오게 되고 이제는 그 언어를 이용함에 있어 이해하게 되고 좀 더 알게 되고 무언가를 다시 느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언어가 언제 어떻게 되고 누가 사용될 지는 이제 생각된다.
새로운 것은 여러 사람에게 발전되어 가고 넓어질 거라 생각한다.
이 언어를 사용함도 아직 익숙하게 사용 못하게 되어도 앞으로는 익숙하게 누군가가 알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언제라도 가능 할 것을 믿게 되고 그 것이 우리의 목표라 생각된다.
그것이 생각하게 되었고, 우주가 나서서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언어를 이제 알게 되었고 매우 기쁘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사용하여 국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프로그래머라 생각한다.
그래서 인터프린터와 코드는 해체하게 되고 그 과정에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