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재 학교의 문제점
게시물ID : humorstory_19425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제르비
추천 : 3
조회수 : 551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0/08/10 17:00:11
학교만이 아니라 교육 전체에 대한 문제점이 될수있겠네요

일단 교육의 문제 하면
첫번째로 과도한 경쟁과 서열화
두번째로 사교육비 부담 과중
세번째로 학업에 대한 지나친 부담감(학생들에게)

정도로 나열할수 있겠네요.

이런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이 너무나 중요합니다.
일본을 제외한 여타 선진국에서는
왜 이러한 너무나도 과도한 학업열기가 없을까요?
(일부 학교는 있겠지만요...전체적인 차원에서 말씀드리는거임)

정말 중요한 문제가 
우리나라는 직업이 생계와 직결된다는 겁니다.
좋은 직업=좋은 집=좋은 차= 좋은 배우자= 질높은 생활

직업하나 잘가지면 뒤에 따라오는 부가적인 결과들이
너무나도 화려하다는 겁니다.

그럼 선진국에서는 이런 현상이 없을까요??
당연히 있기야 하겠지만 심하진 않겠죠 . 왜!!!
이게 중요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어떤일을 해도 먹고 살 걱정이 없다면
굳이 좋은 직장을 가지려고 안해도 괜찮겠죠?

먹고살 걱정이 없으려면 
첫째로 소득에 비해 생활물가가 낮으면 되겠고
둘째로 생활물가에 비해 소득이 높으면 되겠죠
셋째로 국가의 사회복지시스템이 좋다면 이거도 역시 되겠죠.

우리나라는 이거 세개가 모두 불충족됩니다.
일부 소득많은 사람들은 반발하겠지만..(빈부의 격차가 매우 크니..)
일반인들의 평균소득과 요새 늘고 있는 비정규직의 소득을 계산에 넣는다면
우리나라는 확실히 평균소득이 물가에 비해 낮다고 봅니다.
(솔직히 비교 분석자료는 없는데.....추측성이예요 ㅠ)

즉 좋은직장은 돈많이 버는 직장이고 이는 후에 풍요로운 삶을 보장합니다.
(물직적으로만 봤을때..)
즉 "직장 = 인생" 이것이 대한민국이 교육에 미쳐있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해결책을 몇가지 찾아보자면

최저임금의 상승을 통한 빈부 격차의 완화(빈곤층의 소득 증대+부자들 과세 증대)
직업들 간의 소득 격차 완화(이건 뭐..국가적으로 할수없을테니 힘들듯?)
생활물가 안정(국가에서 가능하지만 별로 안하는거 .. 요새 아이스크림 가격도 없드만..)
빈곤층이나 일반인들을 위한 사회복지시스템 확립 등이 있겠구요

즉 학교의 문제는 사회적 문제의 귀결이라고 봅니다.

교육에 종사하는 입장으로서 요새 어린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보고있자면
정말 불쌍하고 안타깝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