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생들이 개교기념일을 앞두고 김활란 이화여대 초대총장의 친일행적에 문제를 제기하며 교내에 설치된 김활란 동상 철거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대생들은 5월 30일 이화여대 본관 앞에 설치된 김활란 이대 초대총장의 동상에 철거를 요구하는 포스트잇을 붙이는 플래시몹을 했는데, 3미터 높이의 동상에는 얼굴까지 300여장 이상의 포스트잇이 붙여졌습니다.
이대생들의 김활란 동상 철거 포스트잇 붙이기 행사는 2주 전 한 학생이 인터넷 게시판에 '김활란 동상 철거요구 포스트잇붙이기'라는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습니다. 학생의 제안에 많은 학생들이 호응했고, 제안을 알리는 패널을 준비하며 재학생은 물론이고, 졸업생까지 참여했습니다.
학생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에 학교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가 5월 30일 오후 6시쯤 포스트잇을 모두 철거했습니다.
왜 이화여대생들은 자신들의 초대 총장 동상, 그것도 3미터 높이까지 올라가 포스트잇을 붙였을까요? 결론은 간단합니다. 그녀가 보여준 인생이 이화여대생들에게 치욕스런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김활란의 어떤 인생이 그녀들에게 치욕적이며 부끄러우며,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고 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친일 여성의 대모,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 여성 1호 박사입니다.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이화학당 교사로 미국 유학까지 갔다 온 신여성으로 존경과 부러움을 받던 그녀의 인생은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바뀝니다. 당시 일본은 중일전쟁을 시작하면서 조선을 전쟁 기지화 하는 정책을 펼쳤는데, 이때 김활란은 조선총독부의 훌륭한 친위대였습니다.
김활란은 친일파가 아니라는 반론조차 무색할 정도로 친일증거가 너무나 많은 인물입니다. 아니 일제강점기 그녀가 보여줬던 대부분의 행동은 친일 그 자체였습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와 함께 진행한 친일단체에서 언제나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김활란입니다. 김활란은 여성이라는 명칭이 들어간 친일 어용단체에는 빠짐없이 발기인,이사,의원 등의 직함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중일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금비녀를 바치는 '애국금차회',조선여성을 계몽하여 황국 여성으로 천황께 충성을 외쳣던 '조선임전보국단',' 황군과 한몸으로 전쟁을 지원하자고 독려하는 '조선교화단체연합회 부인계몽독려반' 등 수없이 많은 단체에서 김활란은 맹활약했습니다.
김활란은 단순히 친일조직에 명목상 회원으로 등재된 것이 아니라 철저히 총독부의 지시와 명령에 따라 조선 여성들에게 전쟁을 강요하며, 그들에게 희생과 헌신을 외치고 다녔던 명강사(?)였습니다.
김활란의 적극적인 친일의 백미는 1942년 신시대 잡지에 나옵니다. '시국하 반도민중에게 필요한 일체의 국민지식과 훈련과 사상의 보급,전달을 꾀하려고 생긴 획기적인 종합잡지'라는 창간호에 나온 친일잡지에 김활란은 일본인들도 감동하는 글을 올립니다.
김활란은 1942년 12월 신시대 잡지에 태평양전쟁에 미친 일본이 동원한 '징병제'를 아주 감격스러운 일이라 찬양하며, 반도 여성(조선여성)에게 내려진 이 보은을 허둥지둥 감격만 하지 말고, 내지여성(일본 여성)처럼 쿨하게 남편과 자식을 전장에 바치라고 충고를 합니다.
'국가를 위해서는 즐겁게 생명을 바친다는 정신'으로 내 남편과 아들은 내 것이 아닌 일본 천황폐하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그녀가 과연 박사 학위까지 받은 지식인이라고 그 누가 상상조차 할 수 있겠습니까?
'황국신민으로서의 영광을 누리게 된 것이 황송한 일'이라고 주장했던 김활란에게 친일은 부역이 아닌 황국신민으로서의 성은이었습니다. 이런 그녀는 '친일파'가 아니라 그냥 '친일인' 입니다.
' 친미-친일-친미로 변신했던 김활란'
김활란의 친일보다 그녀가 한국여성으로 보여줬던 삶을 강조하며 그녀를 옹호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녀의 친일 속에는 고도의 성공과 출세 전략이 담겨 있었습니다.
원래 김활란은 미국 감리교회 선교사이자 교육자인 메리 스크랜턴이 세운 이화학당 출신입니다. 이화학당 대학부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으며, 미국 유학까지 갔다 온 그녀는 당연히 친미파에 속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그녀가 미국 유학을 갔다 오고 나서 친미를 버리고 친일을 합니다.
그 배경에는 이화여전을 두고 벌인 주도권 싸움 때문입니다. 1939년 이화보육학교(이화여대 부속유치원 전신)의 교장이자 이화여전 부교장으로 있던 김활란은 6대 교장 앨리스 아펜젤러와 이화여전 주도권을 두고 수시로 마찰을 빚었습니다. 그는 윤치호에게 도움을 청했으나 거절하자 슬슬 조선 총독부와 손을 잡습니다.
▲이화여전 6대 아펜젤러 교장과 7대 김활란. 출처:이화여대 홈페이지.
1939년 조선총독부는 외국인 기독교선교사들이 자유주의를 부추긴다는 이유로 이들을 추방하는데, 앨리스 아펜젤러가 추방당하자 그는 곧바로 이화여전 7대 교장이 됩니다.
중일전쟁 이후 김활란이 조선총독부의 각종 강연회와 행사, 조선인 대표로 끈끈하게 일본인들과 함께 손을 잡은 성과가 드러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 흑노(黑奴)해방의 싸움을 성전(聖戰)이라 했고 십자군의 싸움도 성전이라고 했다. …제일선 장병과 보조를 같이 하여 도의를 무시한 물질제일주의의 서양문명을 박차버리고 동아(東亞)의 천지로부터 미영(美英)을 격퇴하여 버리자”. (김활란,조선임전보국단 주최 '결전부인대회 결성식, 강연 중)
미국과 영국을 격퇴하자고 주장했던 김활란이 해방되자 '미군정청 한국교육위원회'에 임명됐고, 이승만 정권에서는 '한미재단' 이사 등을 역임하기도 했습니다.
친미에서 친일, 다시 친미로 변신하며 살았던 그녀의 인생을 보면서 그녀가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유지하며 살았던 인생이라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변신의 귀재는 어느 친일파에서나 볼 수 있는 당연한 성공과 출세의 정석이었습니다.
'학생은 자신의 출세를 위해 존재하는 부속물'
김활란을 옹호하는 사람 중에는 그녀가 군정하에서 이화여대 건물을 내놓지 않았던 사실을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녀가 건물은 내놓지 않았던 적은 있었지만, 학생들을 일본에 충성하는 도구로 사용했던 역사는 말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이화학당 학생들 모습.
1938년 김활란은 이화여전과 이화보육(유치원)의 400여 학생들을 동원하여 '애국자녀단'을 조직합니다. '애국자녀단'은 말 그대로 일본과 천황에 충성을 다하고 전쟁을 후원하고 지원하기 위해 어린아이들까지 동원한 친일조직입니다.
1939년 조선총독부의 명령도 아니었는데 김활란은 먼저 이화여전 학생들에게 교복을 입히는 것에 앞장섰고, 1941년 '야마기 카쓰란(天城活蘭)'으로 창씨개명을 합니다. 교장이 창씨개명을 하니 당연히 학생과 교사들도 앞다퉈 일본이름으로 바꿨습니다.
1943년 태평양전쟁 막바지 이화여전은 전시비상조치로 폐교당하고 농촌지도원 연성소가 됩니다. 학교가 폐교당하는 상황을 김활란은 오히려 특전이라고 감격하기도 했습니다.
군대에 가는 일이 여성으로 좌절됐지만, 전쟁은 일선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제 '여자특별연성소 지도원 양성기관'으로 변신하는 것이 '황국 여성'으로 다시 없는 특전이라 감격했던 그녀는 신입생을 모집하는데 동분서주하기도 했습니다.
학교는 교육하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그 교육을 하는 기관의 수장이 잘못된 가치관과 출세에 눈이 멀면, 그 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나라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들의 나라를 강탈한 나라에 충성을 맹세하고 목숨을 바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성은'이라는 교육을 받게 됩니다.
1944년 이화여전(여자특별연성소)은 150명의 학생을 모집하지만, 40명만 지원하고 그나마 있던 재학생들도 대다수 학교를 떠납니다. 김활란을 따랐던 후배와 학생들조차 그녀가 일제의 광기 어린 전쟁에 적극 동조하자 그녀를 외면합니다.
친일파를 제대로 알아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변신을 거듭하며 성공과 출세의 가도를 달렸던 그들이 다시 대한민국이 위기에 처했을 때 주장할 애국이 대한민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친일파들을 무조건 숙청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그들에게 반성과 회개를 할 기회를 주고, 그것을 통해 무엇이 잘못된 일인지 후대에 가르쳐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은 항상 친일파에게 면죄부를 주면서 잘한 일이 있기 때문에라는 단서를 붙입니다. 만약, 친일을 해도 다른 일을 잘해 모든 것이 용서된다면 우리가 어떻게 일본에 '역사 왜곡'과 '일제강점기 만행'을 규탄할 수 있겠습니까?
▲이화여대 교육이념. 출처:이화여대 홈페이지
'잘못된 것은 자정하는 이화인이 됩시다'라는 포스트잇을 여대생들이 위험을 무릎쓰고 3미터 높이 동상에 올라가 붙였습니다. 친일은 부끄러운 역사입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이화여대 홈페이지에는 일제강점기 친일의 역사는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자신의 모교가 나라를 잃고 암흑의 시기에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보여주는 일은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부끄럽지만 그것을 통해 깨달음과 가르침을 주지 못한다면 그것은 올바른 교육이 아닙니다.
'이대 나온 여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엘리트 여성이라는 자랑스러움과 존경이 담긴 말입니다.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다면 그저 외모와 학벌을 무기로 성공과 출세를 위해 다른 사람위에 군림하는 여왕벌에 불과합니다.
학교가 아무리 포스트잇을 철거해도 재학생들이 시작한 김활란 동상 철거 운동을 이제 '이대 나온 여자'들이 앞장서서 도와줘야 합니다. 그것은 이대의 부끄러운 치부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지식인들이 감내해야 할 아픔이자 '이대 나온 여자'들이 진정한 엘리트 여성으로 이땅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의로운 행동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