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https관련 제가 이해한게 맞아요? 아니면 태클좀요.
게시물ID : sisa_112677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아이사타
추천 : 5
조회수 : 1087회
댓글수 : 14개
등록시간 : 2019/02/13 08:34:16
1. http와 https는 다르며, https가 보안상에서 좀더 발전한 인터넷정보전달방법이다.

2. http에선 차단방법으로 warning.or.kr나 성인정보검색어차단이 있었는데, 이 방식은 통신사가 [정부가 지정한 유해사이트/검색어]로 지정한 특정문구가 추가된 주소나 검색어가 있을시 접속을 warning.or.kr로 돌려버리거나 성인인증을 시키는 방법이었다.

3. https는 보안에 있어서 좀더 발전된 방법이라서, http에서 적용되던 저 방법들을 쓸수가 없었고, 이제껏 http에서 차단되어 warning으로 연결되던 사이트들이 https에서는 들어갈수 있었다.

4. 어떠한 계기가 있는지는 몰라도 방심위인지 문체부인지 정부부처가 https에서도 이제 사이트 차단을 시행한다고 한다. 이미 KT통신사유저들은 차단이 시작된것 같다고들 한다. 차단된 다음 나타난 현상은 warning.or.kr접속이 아니라 블랙아웃이라고 한다.

5. https가 SNL패킷으로 암호화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나 접속기록(행선지? )은 보이기때문에 정부가 이를 악용할수 있다고 우려한다.

6. 제가 이해하기론 이번 https차단도 서버관리는 통신사가 하고, 정부는 그냥 차단리스트를 통신사로 송부하는 방식이다. 정부가 정말로 사용자의 접속기록이나 네임데이터를 보려면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반드시 발부받아야한다.

7. http에서도 그랬듯, https에서도 통신사들은 당연히 당신의 인터넷사용자명과 행선지를 알고있다. 다만, 정부는 여전히 모르고, 영장없이는 알수도 없다.

8. 의문 : 정부가 서버를 관리하는것도 아니고, 문제제기하시는 분들의
말대로라면 '정부의, 정부에 의한 감시'라면 정부가 위법인 '영장없이 IP를 까서'보고 일괄적으로 통제한다는 건가?

9. 의문2 : 왜 하필 KT는 선제조치되는것이고 SKT와 U+는 아직인가? 정부가 하는것은 통신사로 차단리스트송부방식이고, 직접차단은 통신사들이 하는거라 그런것 아닌가?

10. 의문3 : 3대 통신사들이 하는방식도 차단인가? 검열인가? 그냥 http에서 쓰던 방식그대로 키워드차단 혹은 IP차단방식아닌가? 3대통신사들이 그 많은 사용자들의 접속기록을 일일히 보면서 판단하는것보다 키워드나 IP주소에 해당되면 서버가 기계적으로 차단하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은가?

11. 동의1 : 정부권력이 명백한 불법인 아청한 컨텐츠나 IS테러사이트같은 데에 대해 제제하는것 외에 사용자들이 사이트에 들어가는데에대해 통제하는 방식은 적절하지않다는 지적에 대해선 동의한다.

12. 동의2 : 나도 포르노보던 입장에서 짜증나긴 한다.

13. 동의3 : 어차피 쓸데없는 짓이라는데에서도 동의는 한다. 벌써 하루도 안되서 우회접속방법이 나와버렸다.....

14. 경악 : 여자도 야동봐.?!?!?!?!?!?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