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우리가 잘 몰랐던 지하철의 비밀 20가지 7탄 (인천편)
게시물ID : humordata_16378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너도밤꽃나무
추천 : 14
조회수 : 2430회
댓글수 : 117개
등록시간 : 2015/11/19 18:51:49
안녕하세요, 너도밤꽃나무입니다.
이번엔 인천광역시 분야를 노려볼까합니다.
 
사실 경기도 전체적으로 하기에는 너무 넓기도 해서,
인천광역시의 주변인 김포, 부천 정도까지만 포함하겠습니다.
 
 
0000.jpg
#1 부평역의 북서쪽과 남동쪽에는 군사기지가 있는데, 이 곳으로 철도화물이 돌아다닌다. 언제 다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최근엔 공원화된다고 한다.
 
 
#2 7호선은 부평구청역에서 인천2호선 석남역으로 연장되는데, 이 때 인천시가 대금을 지불했었다.
 
 
#3 인천 가좌동에 생기는 역은 "인천가좌"역과 "가재울"역으로, 가좌역이 생길 수 없는 이유는 이미 서울특별시에 가좌역이 있기 때문이다. 고양시에도 가좌동이 있는데 이 곳에 역이 생기면 '고양가좌'로 넣을 것으로 보인다.
 
 
0000.jpg
#4 수도권1호선 주안역에서 남부역(숭의동)까지 화물철도가 있었다. 지금은 공원으로 완공된 상태이며, 선형 그대로 보존중에 있다. 당시 '주안역에서 인천역'까지 운행한다 하여 '주인선'이라 불렸었다.
 
 
0000.jpg
#5 인천 월미도를 도는 월미은하레일은 인천광역시의 애물단지가 되었다.  2017년 개통예정이라고는 하는데, 요금도 요금이고 가능할지가 의문이다. (1회 7,000원)
 
 
0000.jpg
#6 부평역 지하상가는, 미로라고 불려진다. 만나기 위해서는 가급적 출구에서 만나도록 하자(?)
 
 
#7 최근 부평역 크레인사고로 부천88번 시내버스가 엄청난 이득을 취했다고 한다나 그렇다나.
 
 
#8 '부천'의 유래는 과거 '부평부'와 '인천부'를 합친 단어이다.
 
 
0000.jpg
#9 논란이 되는 인천2호선 검단지구는 사실 구배가 완만하다. 오르내리는데 문제가 없는데 사진조작을 통해 언론플레이를 펼친적이 있었다. (디X인X이드 철도갤러리는 코웃음을 쳤다고 한다)
 
 
#10 인천2호선은 말도많고 탈도많은 노선이었다. 2012년 재정난, 2013년 재시공이었으나 예산 삭감에, 2014년 건설담합사건에 아시안게임엔 공사임시중단에.... 이제서야 시운전하고 개통준비를 마치고 있다.
 
 
0000.jpg
#11 인천2호선은 의정부경전철 다음으로 수도권에서 2량짜리 철도노선인데, 문제는 의정부는 11.1km정도를 운행하고 인구에 비해 적당한 수준이었으나, 2호선은 29.2km에 검단산업단지에 주안, 인천대공원을 거치는 노선인데 그만한 칸수로 가능한지가 의문이었다고 한다.
 
 
0000.jpg
#12 오이도역은 수인선과 4호선을 한 승강장에서 탈 수 있게 구조를 마련해두었다. 10시~17시 이외의 시간이 안되는 이유는 차량들이 차량기지를 왕복하기 위해 부득이한 선택이다. (특히 출퇴근시간대가 차량이 북적북적대니..)
 
 
#13 달월역은 하루 승차량이 두자리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실 인근 배곧신도시 완공이 되어야 수요가 있는데, 조기개통이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
 
 
소래선.jpg
#14 소래습지생태공원은 과거에 염전으로 쓰였으며, 과거 소래역까지 염전철도가 있었다. 지금은 흔적 자체가 없다. 당시에 건넜던 다리도 자연재해로 무너졌었다.
 
 
0000.jpg
#15 원인재역 옆의 승기천에는 과거 수인선 철교인 '승기철교'가 흔적으로 남아있다. 단순히 유적으로 남기려는지는 모르겠으나 점점 녹슬어가고 있다.
 
 
0000.png
#16 수인선 소래포구역과 월곶역 사이에는 소래철교가 2개가 있는데, 하나는 실제로 전철이 다니는 소래철교이고 나머지 하나는 인도교로 쓰이는 소래철교이다. 과거 수인선 열차가 이곳으로 지나다녔다. 자세한 이력은 소래포구역 앞의 소래역사관을 찾아가보자.
 
 
#17 인천1호선 국제업무지구역 다음역인 '인천타워역(송도랜드마크시티)'은 2014년 착공해 18년에 개통이었으나, 뜬금없이 백지화된 상태라 언제 개통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0000.jpg
#18 수도권1호선 동암역과 인천1호선 인천시청역 사이에는 열차를 집어넣을 수 있는 비밀선로가 있다. 처음 인천1호선 열차를 데려올 때 이곳으로 데려다 주었다.
 
 
#19 공항철도 계양역부터 검암역까지는 경인운하와 나란히 달리는데, 고속도로 때문에 보이지도 않는다. (봐봤자 다니지도 않는데 뭐...)
 
 
0000.jpg
#20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역 이후에는 차량기지로 들어가나, 3월부터 10월까지는 1시간마다 한대씩 비밀역인 '용유역'으로 데려다준다. 걸어서 잠진도로 가면 실미도로 여행가볼수 있다. 트래킹용으로 쓸만할 수도.. 
   맨 뒷칸에 탄사람은 앞칸까지 걸어와야된다. 1-4만 열린다.
 
 
다음 장소는 다시 수도권입니다.
여전히 수도권은 무궁무진하기 때문이죠.
 
광주광역시는 그 다음편이 아닐까 싶네요.
 
보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원래 20편 넘게 있는데 대학교 리포트 작업을 핑계(?)로... 어흠어흠.
 
 
철덕은 이만 물러나겠습니다.
출처 [1탄] http://todayhumor.com/?bestofbest_223138 (dbsgh2003님)
[2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149 (수도권 40가지)
[3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221 (부산편 25가지)
[4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229 (대구편 25가지)
[5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292 (수도권 2탄 25가지)
[6탄] http://todayhumor.com/?humordata_1637432 (대전편 20가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