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어듣기를 잘 하기 위한 3가지 참고사항
게시물ID : english_112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민돌킴
추천 : 0
조회수 : 80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9/22 11:07:03

영어를 잘 듣기 위해서는 무조건 많이 들어라? 뭐 틀린 말은 아닙니다.

많이 듣다 보면 귀가 트일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면서 아직도 영어 듣기를 어려워하는 분들을 만나면

위의 말이 항상 성립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민킴이 오늘 여러분들께 영어를 잘 듣는 비결 3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소리에 익숙해져라 

영어를 잘 못듣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발음이 좋지 않습니다.

잘 듣기 위해서는 본인의 발음 또한 필수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소리에 익숙해 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손이 아닌 입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지금분터 소리에 익숙해 진다는 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a. 소리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각 알파벳(또는 알파벳의 조합)이 가진 정확한 소리를 캐치하는 것 입니다.

한국인들이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소리가 몇몇 있는데 많은 경우 이 부분을 듣기에서 놓치게 됩니다.

F/P, B/V, F/V, S/Z, ʃ /s, Ʒ /z , 이 외에도 한국인들이 구분하기 어려운 구간이 여럿 존재합니다.

이들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은 잘 듣기위해 필수로 해야 할 기본 준비입니다.


b. 소리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각 단어 그리고 단어들이 조합되어 만드는 연음들을 정확히 캐치하는 것 입니다.


*and가 '엔'이 아닌 '은'처럼 발음될 수 있습니다.



Grab some duct tape and cover about half the lid. 테입을 잡고 뚜껑의 반을 덮으세요.

tape과 and가 만날 때 '테입 엔'이 아닌 '테이쁜'비슷하게 발음이 되었습니다.

여기서의 '은'을 발음할 때 입이 아닌 소리가 코로 나갑니다.



Well, I'm next, and I would like to give her my turn. 음... 내가 다음 차례인데 그녀에게 양보하고 싶어.

next와 and이 만나서 '넥ㅅ텐'이 아닌 '넥슨'비슷하게 발음이 되었습니다.

next와 같은 발음에서 t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t가 빠진 nex와 and이 조합이 되었습니다.


*z와 th가 만나면 th발음이 먹혀 그냥 z처럼 발음될 수도 있습니다.


Coz this house is gonna sell like that. 왜냐하면 이 집이 한번에 팔릴 것이기 때문이야

Coz와 this가 만나는 부분을 잘 들어 보세요. '커z 디s'가 아닌 '커zis'처럼 발음이 됩니다.


 

Is that who you wanna be? 그게 너가 되고 싶은 사람이니?

마찬가지로 is that부분이 '이z 댓'과 같이 발음하는 대신 '이zat'처럼 발음됩니다.

이렇게 s th가 만나 z처럼 발음이 되면 우린 잘 못듣습니다.


*끝이 ed로 끝나는 경우 발음이 생략될 수 있습니다.

 (대신 마무리 시 d발음 혀 위치는 지켜 주셔야 합니다. 소리만 안낼 뿐 입니다.)



(Do you) Need to get that jar opened? 그 병 뚜껑을 열어야 하나요?

'오쁜ㄷ'가 아닌 '오쁜'에서 발음이 끝나는 것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After a massive explosion leveled two 5 story buildings…거대한 폭발이 5층짜리 건물을 완전 붕괴시킨 이후에...

여기서 역시 leveled의 ed발음이 생략되는 것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이는 뒤에 t발음에 먹혔을 수도 있지만 그냥 생략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ed가 생략되는 경우 우리는 잘 못듣습니다.


시간 상 모든 법칙들을 설명드릴 수는 없지만 

위의 법칙을 알고 관련 문장을 많이 듣다보면 자연스레 듣기 실력이 향상됩니다.

(민킴의 영어 청취 수업에서 집중 훈련하는 내용 중 일부입니다.)


c. 소리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장음과 단음을 정확히 캐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에서 ee/ea와 i발음의 경우 한국인들은 차이를 구분하지 못해 못듣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ea나 ee는 긴 '이'발음이고 i는 '이'에서 약간 '에'와 '으'사이의 애매한 발음 입니다.



You are the new Miss Teen USA!" 당신이 새로운 미인대회 당선자 입니다!

miss의 짧은 i와 teen의 긴 i발음에 분명한 차이 느껴지시나요?

i의 단음과 장음을 구분하기 시작할 때 당신의 듣기 실력은 향상됩니다.

beach발음을 잘못해서 bitch라고 말을 하는 불상사가 없기 위해서는 이를 꼭 마스터해야 합니다.


d. 소리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인들은 영어의 무성음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한국말을 할 때는 성대를 떨면서 모든 발음을 시원시원하게 하는 반면에 

영어에는 공기로만 발음하는 t, p, k, s, sh와 같은 무성음 발음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위의 예를 각자 각자는 발음하고 듣기란 쉽지만 문장속에 이들이 녹아 들어가 있으면 듣기 쉽지 않습니다.



 2. 단어와 표현은 많이 알수록 좋다 

듣기를 잘 할 수 있는 두번째 비결은 단어와 표현을 많이 아는 것 입니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우리가 모르는 표현을 너무 많이 쓰기 때문에 많이 놓치게 됩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들을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어민들은 서로 흐릿한 발음으로 한 마디만 해도 '이 문맥상 당연히 이거겠거니'하면서 이해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데이터가 머릿속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잘 못듣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주 쓰이는 단어와 표현들을 예문의 형태로 외워야 합니다. (민킴의 단어 공부법 클릭)


딱 들었을 때 0.1초만에 그 의미를 떠올려야 합니다. 

'아 이거 아는단어인데... 뭐지?'하고 생각하는 순간 다음 문장을 놓치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어와 표현을 반복해서 공부해서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단어 공부시 되도록이면 한국말로 외우지 맙시다.

듣기를 잘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자꾸 한국말로 생각하는 버릇 때문에 그렇습니다.

원어민들이 술술 말을 하는 동안 그 말을 한국말로 번역하고 앉아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자꾸 단어를 한국말로 외워 버릇하면 불필요한 해석의 과정이 습관이 되어 듣기에 방해가 됩니다.

가령 flower이라는 단어를 예로 들었을 때 

flower → 꽃  머릿속에 아름다운 꽃 연상

이러한 과정보다는 

flower → 머릿속에 아름다운 꽃 연상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 더 잘 들을 수 있는 비결입니다.



 3. 덩어리로 생각하라 

만약 누군가 영어 문장을 단어 하나 하나로 끊어 듣고 이해하려고 한다면

그 사람의 머리는 금새 포화상태가 되어 버릴 것 입니다.

영어 문장은 수많은 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많은 단어가 '구'나 '절'을 이루고 이들이 모여 문장이 되는 것이죠.

이 문장들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덩어리로 생각하는 법을 반드시 익혀야 합니다.


I believe that / the startup organization / is one of the greatest forms /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위의 TED 문장은 19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각각 어떻게 생각하나요?

위와 같이 덩어리를 만들면 단 4개의 구와 절만으로도 전체 문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덩어리를 만드는 법은 조금씩 다를 순 있습니다.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왜 많은 사람들은 chunk(덩어리)로 듣지 못하는 것일까요?

과도한 문법 공부때문에 그렇습니다.

문법이란 문장을 분해하고 설명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자꾸 이를 습관화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듣는 동시에 문장을 분해하고 분석하게 됩니다.

I believe that the startup organization is one of the greatest form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that은 관계대명사고 starup은 형용사고... 어 최상급도 있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정작 중요한 말의 내용은 놓치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스페인어 듣기 비결과 겹치는 부분도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copyright ⓒ 2015 by Min Kim, All rights reserved

출처 http://blog.daum.net/mh_kin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