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찾은 한국관광객 수는 한국을 찾은 일본관광객 수를 압도한다. 2017년 기준 한국을 찾은 일본관광객은 231만 명이었지만 같은 시기 일본을 찾은 환국관광객은 3배가 넘는 714만 명에 달했다. 일본 불매운동에 “가지 말자”가 들어가게 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당연히 불매운동에 ‘가지 말자’가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번 불매운동에 또 다른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상인들의 ‘팔지 말자’가 더해진 것이다.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는 4일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상품 판매중단을 선언했다. 한 마트는 매대에서 일본상품을 모두 치우기까지 했다. 중소상인들의 ‘팔지 않겠다’는 선언이 당연하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이는 대단히 어려운 결심이다.
“사지 말자”에 “팔지 말자”는 선언까지 더해진, 전에 없던 불매운동은 아직은 일부의 움직임에 불과하지만 온라인을 통한 일본불매운동이 점차 오프라인으로 번져가는 양상이다. 더군다나 수출규제는 자신들이 해놓고 책임을 우리 정부에 떠넘기는 일본 정부의 후안무치한 태도 등이 전해지면서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의 불을 지피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 일본의 무역흑자국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본이 얻어가는 흑자규모가 무려 27조 원대에 이른다. 그래서 불매운동이 일본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JTBC <뉴스룸> 팩트체크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18년 일본으로부터 수입실적에서 불매운동의 대상인 소비재의 비중은 6%에 그쳤다.
전체 교역규모로 따져볼 때 6%에 불과한 소비재 불매운동이 당장에 일본정부를 압박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는 편이다. 그렇지만 한국소비자 그리고 중소상인들의 사지 않고, 팔지 않겠다는 운동의 의미는 충분하다. 비록 일본정부를 위협하지는 못한다 할지라도 적어도 한국소비자들의 자존심을 지킨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일본에 대한 강경대응에 신중해야 할 정부를 대신한 반격이기도 하다.
아베정권의 이번 수출규제의 저변에는 7월 참의원선거를 대비한 전략이 깔려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또한 우리 내부의 균열을 노린 수라는 분석도 있다. 일본의 보복조치에도 일본이 아닌 한국정부를 비난하는 세력이 존재하니 노림수가 틀린 것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민간 단위에서 균열이나 분열은 없다.
야당과 보수언론을 중심으로 한 정부 때리기는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일본에 대해서는 정략이 통하지 않는 국민정서가 있기 때문이다. 뜨겁게 번지는 일본불매운동은 일본정부를 향한 저항인 동시에 국내 보수세력에 대한 경고이기도 할 것이다.
출처 : 미디어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6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