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병도 vs 사마천 만리장성 ...실증사학관점으로 보면???
게시물ID : history_243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0/5
조회수 : 788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12/01 09:43:16

사마천의 <사기> 하본기
- “낙랑군 수성현에 는 갈석산이 있는데 (만리)장성의 기점이다”는 ‘태강지리지’ 얘기를 적어놓았고

이병도
- 낙랑 수성현이 황해도 수안이라고 비정(比定)(비교(比較)하여 정(定)함)
일본인 연구자 이나바 이와기치가 <사학잡지>에 실은 ‘진장성동단고(진 만리장성 동쪽 끝에 대한 논고)’라는 글참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황해도 수안군 산천조의 “요동산. 고을 동북쪽 4리에 있는 진산”이라는 구절의 요동산을 별다른 근거없이 갈석산이라며, 그곳 석성이 바로 만리장성의 일부라 주장
 황해도 수안(遂安)을 낙랑군 수성(遂城)현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오직 “수(遂)자가 같다는 것뿐

실증사학관점으로 이병도가 주장하는게 맞다라고 하기엔 많이 부족해 보이는...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75033.html

식민사학 ‘만리장성’ 요동 밖으로 물렀거라

만리장성, 한반도까지 뻗었다”는 주장 
일제 식민사관·동북공정 주장과 상통
“만리장성, 한반도까지 뻗었다”는 주장 
일제 식민사관·동북공정 주장과 상통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공식 간행한 <중국역사지도집>에 만리장성을 표시해 놓은 지도가 실려 있다. 거기 표시된 현재의 만리장성 동쪽 끝은 알려진 대로 요동반도 건너편 발해만 연안 산해관이다. 그런데 거기에 또 하나의 굵은 점선, 곧 중국인들이 오늘날 주장하고 있는 옛 진나라 축조 만리장성 원형이라는 게 그려져 있다. 그 동쪽 끝은 요동 북부를 포함하고 압록강 하류를 지나 한반도 북부 내륙 깊숙이까지 들어와 있다.

사마천의 <사기> 하본기는 “낙랑군 수성현에 는 갈석산이 있는데 (만리)장성의 기점이다”는 ‘태강지리지’ 얘기를 전하는데, 그 낙랑 수성현이 황해도 수안이라고 비정(比定)한 사람은 실증사학을 내건 이병도였고 그것이 한국 주류 사학계의 정설이 돼 있다. 그런데 그건 이병도의 독창적인 학설이 아니다. 그 전에 일제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 소속 일본인 연구자 이나바 이와기치가 <사학잡지>에 실은 ‘진장성동단고(진 만리장성 동쪽 끝에 대한 논고)’라는 글에서 그렇게 주장했고 이병도는 그대로 따랐을 뿐이다.

이병도는 나름대로 근거를 대려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황해도 수안군 산천조의 “요동산. 고을 동북쪽 4리에 있는 진산”이라는 구절의 요동산을 별다른 근거없이 갈석산이라며, 그곳 석성이 바로 만리장성의 일부라 주장했다. ‘재야’사학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에 따르면, 이병도가 황해도 수안(遂安)을 낙랑군 수성(遂城)현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오직 “수(遂)자가 같다는 것뿐”이다.

<사기> ‘조선열전’에는 한나라가 “패수(浿水)에 이르러 (고조선과) 경계를 삼았다”는 대목이 등장하는데, 이 패수가 압록강이라고 한 사람은 일본고대사 연구의 제일인자요 일제 식민사학의 비조 쓰다 소키치(1873~1961)였다. 쓰다의 충실한 사도 이병도는 한술 더 떠 패수가 청천강이라고 했다. 

이병도는 한나라가 고조선 멸망 뒤 설치한 군현, 곧 한4군 중 대방군이 한반도 황해도였다며 기상천외한 입증방법을 동원한다. 예컨대 <한서> 지리지에 낙랑군 속현으로 기록된 ‘둔유(屯有)현’이 황해도 봉산군 대방군 북쪽에 있는 황주라 단정하면서, 그 근거로 <고려사> 지리지 황주목조에 나오는 황주의 옛 고구려적 이름 동홀(冬忽), 또는 우동어홀(于冬於忽) 중 우동어홀의 중간 두 글자 ‘동어’와 ‘둔유’의 “음이 서로 근사”하다는 황당한 증거를 댔다.

이런 비정인지 억지인지로 횡재한 쪽은 중국이다. 그것은 결국 한4군이 오늘날 경기도 북부까지 포함하는 한반도 안에 있었다는 얘기고, 그것은 진의 만리장성이 한반도 내륙까지 뻗쳐 있었다는, 한반도 상당 부분이 옛 중국땅이었다는 그들의 주장, 동북공정 사관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




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75033.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