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2015.11.30. [경향신문] 이철희 : 당원대회로 문안을 강제해야
게시물ID : sisa_6295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문빠아닌안까
추천 : 3
조회수 : 864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5/12/01 20:10:44
★ 12월 5일 안철수와 토크콘서트를 한다는 이철희가 어제 기사 썼군요. <썰전>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안철수가 문대표 사퇴를 역제한 할 거라면서, 문대표 사퇴 요구를 정치 핑퐁 게임 정도로 치부하시더니, 갑자기 급해지셨네요. 문대표 리더쉽에 치명타인 사퇴는 핑퐁 게임, 안철수가 전당대회 요구해서 야권에서 버려진 건 총선 패배?


2015.11.30. [경향신문] 이철희 : 당원대회로 문안을 강제해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302050525

1979년 5월30일, 당시 야당이던 신민당의 전당대회가 있었다. 지금은 잊힌 이름이지만 당시에는 총재로 불리던 당의 리더를 뽑는 자리였다. 2차 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김영삼(YS)이 이철승을 물리치고 선출됐다. YS의 승리에는 김대중(DJ)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양김 간의 경쟁을 고려할 때 그들의 연대는 의외의 일이었다. 그 담대함이 결국 그해 10월 유신체제의 붕괴를 이끌어낸 셈이다.

1970년 9월에 있었던 당의 대선후보 선출에서 격돌한 이후 YS와 DJ는 필생의 라이벌이자 파트너로 한국 정치를 주도했다. 그들이 손을 잡고, 힘을 합칠 때는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전두환 군사정권에 깊은 균열을 낸 1984년의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결성도 양김이 협력해서 만들었고, 이 민추협이 주축이 돼서 만들어진 신한민주당은 이듬해 총선에서 관제야당체제를 혁파하는 성과를 일궈냈다. 1987년에 있었던 6월 항쟁도 두 사람이 단일대오를 형성했기에 가능했다.

양김의 갈등과 분열은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 1979~80년 이른바 서울의 봄, 양김은 서로 대통령이 되겠다고 대립하다 결국 군부에 틈을 열어주고 말았다. 그들이 그때 협력했더라면 전두환 정권과 노태우 정권은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1987년엔 또 어떤가. 직선제 개헌을 쟁취한 이후 그들은 또다시 분열로 나아갔다. 둘 다 선거에 출마했고, 결과는 노태우의 당선이었다. YS의 28.0%, DJ의 27.0%를 합치면 당선자인 노태우 후보의 36.6%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었다.

정치인이라면 당연히 권력의지를 가져야 한다. 그 권력의지 때문에 누군가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기치를 들고, 세를 키워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쟁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혜택이 아니라 피해를 가져다주게 될 때에는 자제돼야 한다. 

경쟁 당사자들에겐 이기고 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 경쟁을 지켜보는 유권자들로선 승자가 누구냐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진영의 승리다. 무릇 경쟁의 때와 협력의 때를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정치력이다. 따라서 정치인이라면, 그 중에서도 대선주자라면 마땅히 이 정치력을 가져야 한다.

문재인 대표의 해법은 문·안·박 연대이고, 안철수 의원의 그것은 전당대회를 통해 두 사람 간에 승부를 가리자는 것이다. 따지자면, 문·안·박 연대를 치밀하게 풀어내지 못하는 문 대표의 잘못도 적지 않다. 어쨌든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리더십 아니던가. 안철수 의원도 정치력 부재에 대한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그의 요구는 문 대표 사퇴인데, 그가 직전 대표인 데다 경쟁자인 점을 감안하면 오해받기 십상이다. 자신도 보궐선거 패배에 책임지고 사퇴했다고 말할지 모르나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작은 선거에서의 패배 때문에 물러나는 건 옳지 않다. 역설적이게도 당해 본 입장이니 더 더욱 그렇게 하면 안 된다.
▶ 안철수 대표 할 때 문대표가 지금 안철수처럼 지저분하게 군 적 있나? 어디서 양비론을..
이 문단 전체가 주옥 같은데 하이라이트는 저 "오해".

이대로 가면 새정치민주연합이 총선에서 크게 패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오만과 독주도 새정치민주연합이 만만하기 때문이라는 것도 중론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을 지지하지 않는 국민들은 새정치민주연합이 총선에서 본때를 보여주기를 바란다. 이런 열망으로 인해 대선주자들끼리 반목하고 분열하기보다는 힘을 합치고, 함께 혁신하기를 바란다. 전당대회 해법은 이 열망에 배치된다.

전당대회, 특히 대선주자들이 격돌하는 전당대회는 경쟁이 워낙 치열하기 때문에 당이 거당적 갈등에 휩싸이기 마련이다. 게다가 총선 공천을 앞둔 전당대회이니 편 가르기와 사생결단의 난투극은 불가피하다. 전당대회에선 현역 의원을 포함해 지역위원장들의 영향력이 크다. 당권 후보들은 이들에게 손 내밀 수밖에 없다. 이 거래 때문에 물갈이는 불가능해진다. 패자 쪽의 의원이나 지역위원장 중에서 솎아내고자 해도 정치보복으로 비쳐져 쉽지 않다.

문 대표와 안 의원은 서로 해법이 다르고, 양김만큼의 정치력도 없다. 총선 전 분당, 총선 뒤 붕괴를 막으려면 두 사람의 선택만 계속 쳐다봐선 안 된다. 

이제는 당의 총의를 모으고, 두 사람이 따르도록 강제해야 한다. 이 역할을 국회의원들에게 맡길 수도 없다. 어떻게 해서든 물갈이되지 않으려는 이해 때문에 객관적일 수 없는 탓이다. 당 소속의 각급 선출직 공직자들, 전·현직 당직자 등이 모이는 ‘당원대회’를 개최하고, 여기서 각종 해법에 대한 끝장 토론 끝에 최종 결론을 내는 게 좋다.


[썰전] 143 이철희 :  : 안철수가 문대표 사퇴하라고 역제안 할 것이다
녹취록 : http://todayhumor.com/?sisa_628786

이철희 : 도로 문재인 대표에게 역으로 하는 거죠. 그게 핑퐁으로 왔다 갔다 할 거예요, 계속. 이게 어느 날 갑자기 제안하고 OK. 이렇게 잘 안 되거든요. 서로 핑퐁게임을 좀 하다가 손을 잡는 그림이 될 텐데.. 두 사람이 그런 정치를 통해서 같이 성장할 수도 있고, 잘못하다가 둘 다 망할 수도 있고.. 그런 기로에 저는 서 있다고 봅니다.
▶ 일단은 망한 듯;;

김구라 : 역제안을 뭘 할 거라고 보세요?

이철희 : 지금 핵심적인 거는 문재인 대표의 선 사퇴 여부일 거예요. 공동지도부를 만들든 통합선대위를 만들든 문재인 대표가 선 사퇴하고 기득권을 완전히 내려놓고 백지 상태에서 새롭게 논의하자는 주장을 할 가능성이 있죠. 이렇게 되면 일부에서 걱정하는 거는 대표가 내려놓고 아무 대책이 없으면 우왕좌왕하다 엉망이 된다라는 우려를 또 하기 때문에, 내려놓는 걸 전제하더라도 질서 있는 재편을 해야 되는 거니까 방안을 정해놓고 사퇴를 해야 되는 거 아니냐? 요 차이는 있는 거거든요. 그거 가지고 티격태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데..
▶ 첫 줄을 보시면 안철수가 기자회견에서 한 문구 그대로 나오죠. "문대표 사퇴" 언급만 안했을 뿐이지 사퇴를 전제로 하는 전당대회 요구, 제로 베이스부터 시작하자 운운. 이게 다 어느 머리에서 나왔는지 잘 보여주는 거고.. 김한길인가 아니면 이철희인가?
질서있는 재편, 창조적 파괴 등은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비주류들이 야당 망칠 때 늘 나오던 말.
안철수의 요구대로 문대표 사퇴한다 해도 현재 당내 상황 상 절대 안철수 요구대로 되지 않을 게 뻔하다고 다들 예측하는데, 문대표 사퇴를 너무 쉽게 말하는 센스.
부하인 서양호가 <장윤선의 팟짱> 나와서 안철수가 문안박 연대 받는 조건으로 사퇴 운운하는 게 최악의 수고 문대표 리더쉽에 치명상 받는다고 했는데.. 서양호도 아는 걸 이철희가 몰랐을 리는 없고, 늘쌍 하는 대로 안철수한테 유리하도록 침묵했을 뿐.
출처 [이철희의 정치시평] 이제는 ‘당원대회’로 문·안을 강제해야
이철희 |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
입력 : 2015-11-30 20:50:52ㅣ수정 : 2015-11-30 20:59:5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302050525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