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답이 없는 우주 문제?
게시물ID : science_113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순수쟁이
추천 : 0
조회수 : 827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2/05/05 12:16:06
마지막으로 문제를 풀다가 답이 없는거같은 문제를 발견해서 질문드립니다.

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수소핵융합 반응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고르면?
① 4개의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여 1개의 헬륨 원
자핵을 만드는 반응이다.
②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소핵융합 반응이 더 격
렬하게 일어난다.
③ 별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K이상일 때 일어
난다.
④ 반응 전·후에 질량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
⑤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의 원리에 의해
손실된 질량은 에너지로 변환된다.

1번은 원래 별내부에서 일어나는 수소핵융합 반응에 대한 정의구요
2번은 맞구요
3번도 천만K가 되야 수소핵융합이 일어나구요
4번도 질량이 에너지를 가지고있기 때문에 E=mc^2 이라는 식으로 계산하면 질량보존의법칙(=질량-에너지 보존의 법칙)은 성립되니깐 맞고
5번은 4번에 설명한거처럼 E=mc^2 이라는 식 때문에 성립되니깐  결국 답은   아무것도 없다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태클좀 걸어주세욧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2-05-05 14:49:19추천 0
이건 뭐 당연히 4번.

질량 보존의 법칙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이 같다는 뜻입니다.
반응물 수소 4개 질량보다 헬륨 한개 질량이 작고

5번 보기처럼 그 부족분만큼은 에너지가 되어 나오는거죠.
댓글 0개 ▲
2012-05-05 13:13:36추천 0
질량이 큰별이라기보단 밀도가 높은별아닌가요? 부피가 10인 10짜리 질량의 별보단, 부피가 1인 10짜리 질량의 별이 핵융합잘되는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댓글 0개 ▲
2012-05-05 13:35:47추천 1
질량 보존의 법칙에 관해서는, 확대해석하면 에너지보존이랑 묶어생각해야 맞겠지만 이 문제에서는 질량만 생각해서 낸게 아닐까 하네요
댓글 0개 ▲
2012-05-05 12:53:13추천 0
4번 같은데요. 질량 보존의 법칙에서 E=mc^2 까지 고려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한마디로 틀린 법칙)
댓글 0개 ▲
[본인삭제]太白山脈
2012-05-06 14:22:18추천 0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