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근대성의 역설 이란 책의 서문에서 자이니치에 대한 서술
게시물ID : history_2446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맥스웰방정식
추천 : 0
조회수 : 630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5/12/11 16:20:16

5단기어님 보라고 올린겁니다.


1장 "오인, 부정 인정 : '자이니치의 사례에서처럼 1945 일본이 미국에 항복을 선언한 후 재일조선인은 오인과 부인으로 인해 그들의 존재적 정당성을 박탈강해 왔다. 일본 제국하에서 조선인은 일본인에 비해 열등한 존재로 여겨지긴 했지만 일본 사회 내부의 한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친숙한' 집단이었다. 그러나 일본 식민 제국이 붕괴된 1945년 이후, '단일민족으로서의 일본'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면서 재일 조선인은 그들이 일본 내에서 누릴 수 있는 '정당한' 지위를 몰수당하게 되었다. 자신들의 존재 자체가 보인 되면서, 조선적인 것은 재일 조선인이 갖는 수치의 원천이 된 것이다.


-----------------------------------------

민족주의의 전형적인 폐해 중 하나죠. 배타성. 우리나라의 민족주의 역시 이들을 온전히 품지 못함은 말 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_20151211_161214.jpg

그냥 모르면 아는 척을 안 하는게 답입니다. 괜히 아는 척 했다가 이렇게 망신만 살 뿐이죠. 극우와 수구꼴통 역시 민족주의 중 하나의 카테고리긴 하지만 자이니치가 피해를 입은 일본의 민족주의의 유형은 우리가 식민지 시절 발현되었던 저항적/반발적 민족주의에 가깝습니다. 왜 단일민족화 하겠어요. 그들이 무슨짓을 했던 간에 외부에 의해 피해(원폭 등)를 입고 그들의 식민지와 영토일부를 상실했기 때문이죠. 민족주의의 발흥으로 인해 최대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민족주의로 껴앉네 하는 말도 안 되는 소리 마시죠. 질병을 질병으로 고친다는 소리일 뿐.


그리고

1장 본문 中

가장 중요한 사건은 1970년 박천석이 자신의 민족적 배경을 알게 된 후 자신을 해고한 회사 히타치를 고소했고, 1974년 계속된 소송에서 승리한 사건이다. 되돌아볼 때 놀라운 점은 박천석의 분투에 대한 조총련의 적대감이다. 조총련은 왜 [송환을 원해야 하는] 거류 조선인이 일본에서의 고용 차별에 대해 고민하는지 의아하다는 반응이었다.


같은 민족협회은 아무런 도움도 안 되었죠 ㅋㅋㅋㅋ 뭐 조총련은 북한계열이긴 하지만 민족주의가 결국 이렇게 편협한 겁니다. 이미 고유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자이니치에게 민족주의를 들먹이며 연대를 구축하는 것은 암치료 하는데 암세포 쓰겠다는 거죠. 위의 표현과 중첩되지만 ㅋㅋ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