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루 한 번 스킨케어 지식]_알부틴
게시물ID : beauty_3267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그나화남
추천 : 13
조회수 : 2047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5/12/16 00:22:11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알부틴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백 기능성 고시 성분으로

2%이상 함유될 때 미백기능성 화장품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부틴은 전에 말씀드린 하이드로퀴논에 글루코오스가 결합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알부틴은 일본의 화장품 기업인 '시세이도'에서 처음 개발하였으며

이후 일본의 화장품 원료회사 '에자키 글리코'에서 

알부틴의 글루코오스 작용기를 치환시켜서 개발한

알파-알부틴이라는 성분을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의 알부틴인 베타-알부틴'에 비해서 강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원료의 취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알부틴의 작용 매커니즘>>>

5.png

알부틴의 작용 매커니즘은 위에서 보시다 싶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티로시나아제가 산화되어 티로신을 자극하는 것을

막게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알부틴의 특성>>>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과 글루코오스의 결합구조라는 특성상

고온이나 자외선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결합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료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소홀함이 있을 경우

이 결합이 끊어지면서 하이드로퀴논과 글루코오스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하이드로퀴논 역시 미백성분이긴 하지만 화장품에 들어가서는 안 될 성분이며

자극을 유발하거나 접촉성 피부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알부틴의 효능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들이 있습니다.

알부틴이 다른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들 처럼

알부틴이 세포내에서 하이드로퀴논으로 분해되어 미백효과를

내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 또한 있습니다.


알부틴의 경우 세포 내에 침투할 경우

세포 내의 글루코시다아제(당분해효소)에 의해서

역시 하이드로퀴논과 글루코오스로 쪼개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부틴에 결합된 글루코오스는 친수성이며

하이드로퀴논에 비해서 분자량이 커졌기 때문에

흡수는 상당히 더딘 편입니다.




<<<알부틴의 효과>>>

이런저런 논란도 있지만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에 비해 

상당히 자극이 적은 미백성분으로 이미 임상실험에서도

확실한 효과가 밝혀진 바가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54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부틴 2% 농도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매일 15분간

8주동안 착용한 실험군에서 미백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 알부틴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기미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한태영 외, 2011)


이외에도 과거부터의 신뢰할 수 있는 자료는

알부틴이 미백기능성 성분으로 충분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물론 하이드로퀴논에 비해서는 상당히 약한 미백성분이지만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볼올, 비타민C와 그 유도체 등과

더불어 유효한 미백기능성 성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알부틴을 사용한 제품>>>

시드물-알파 화이트닝 파워 앰플 12ml 13,000원

알파-알부틴 2% + 나이아신아마이드 3% + 알파-비사볼올 + 마그네슘아스코필포스페이트(비타민C 유도체)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