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Data-based]한국 부동산은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입니다
게시물ID : economy_1619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omebackTG
추천 : 5/30
조회수 : 3358회
댓글수 : 50개
등록시간 : 2015/12/21 12:42:55


반갑습니다 그간 잘들 지내셨나요? 이번 한해도 금세 지나가는군요 요즘 날씨가 쌀쌀하죠?

한 4달만인듯 싶네요 그간 가끔 눈팅을 했는데 오유 경제게분들 여전하더군요

"한국은 망할 나라다!" "한국 부동산 버블은 세계에서 제일 심하다! 폭락할거다!" "한국 빈부격차가 제일 심하다!" "이민이 답이다!"

뭐 오유의 패턴은 여전합니다만... 참으로 안타깝끼 그지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다시 한번 나섰습니다

한편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시켰고 세계 6위의 신용 등급을 가지게 됬죠 ^^

이것도 조작이다! 사기다! 하시는 분들은 근거와 무디스, s&p보다 더 공신력있는 출처를 대시기 바랍니다



선대인. ㅋ 같은 분들은 항상 주장합니다 한국만 부동산 버블이 있으며 무조건 폭락할거라 근10년째.. 주장하시더군요

그런데 정말 재밌는것은 한국의 주택 시장이 꿈틀대면 "버블이다! 조작이다!" 하시는 분이 타국 주택시장이 상승하면 "경기 호황징조다"

라는 이중 잣대.. 벌써부터 괴리감에 망연자실 하신거 아닌가 싶습니다

http://www.economist.com/blogs/dailychart/2011/11/global-house-prices

실제로 집값 버블은 한국보다 심한 나라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ex)호주, 캐나다, 영국, 북유럽 등등

아이러니하게 소위 진보라 불리는 분들이 선망하는 '복지국가'들의 집값 버블이 상당하더군요

http://www.economist.com/news/finance-and-economics/21677671-house-prices-sweden-continue-soar-regulators-despair-home-where

price wage.png


price rent.png

보십시오.. 부동산의 버블 정도를 측정한다는 임금 대비 그리고 지대 대비 한국은 완만한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타국들은 임금과 실질적인 땅의 가치 대비해 폭등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선진국들의 금융위기 이후 경제 성장률 하락 및 임금 정체와 대조되는 모습이며 한국은 경제 성장, 임금 상승이 가파랐습니다

South Korea Total Wages


지금 여러분이 앓고 있는 문제는 사실 전 세계적인 문제 입니다 왜 한국만 국한됬다고 생각하시고 헬조선을 외치시나요?

인위적 저금리와 통화 공급으로 모든 금융, 비금융 자산에 유동성 과잉이고 데이터가 말해줍니다

http://www.economist.com/news/finance-and-economics/21664152-high-valuations-should-give-investors-pause-many-unhappy-returns

전체적인 맥락도 이해하지 못한채 무조건 민주.. 진보 쪽이 당선되면 많은게 호전될거라 믿었던 오유인들..


미국 중산층 국민의 절반으로 급감..43년 만에 처음

1971년 61%→2014년 49.9%..소득 양극화 심화 추세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1210095614283

실제적인 중산층이 40% 밖에 안된다.. 충격의 충격입니다 오바마 당선되고 미국의 양극화가 해소되고 중산층이 부활했나요?

제조업 리쇼어링이 일어났나요? 오히려 제조업 비중은 금융위기보다 훨씬 더 떨어졌습니다


Buchheitgraph20130701_Ineq_OECD.jpg 출처: credit sussie

지금 소득 불평등보다 자산 불평등이 아주 심각하다고 하는데 스위스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충격적입니다

사실 이것을 보면 한국의 자산 지니계수는 별로 높은 편이 아닙니다 더 놀라운것은 우리가 복지 국가로 알고있던

나라들 그리고 서구권 국가들의 불평등 정도는 중국, 일본, 한국을 대개 능가하더군요

또한 한국의 세후 가처분소득은 캐나다보다 $10,000나 높은 OECD 6위의 기염을 토하더군요

출처: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taxation/taxing-wages-2015_tax_wages-2015-en#page67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중위 순자산은 약 1억 6천만원으로 미국 전체 백인 중위값보다 높습니다 충격이죠

출처: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HDCA10

http://www.economist.com/news/united-states/21650533-what-dead-white-man-can-teach-america-about-inner-city-decay-fire-and-fuel


사실관계가 이러한데... 무조건적으로 자국을 내리깍고 자신의 바램과 괴리가 있다며 사실을 왜곡하시던 분들..

한번 반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말 어이가 없더군요 집값이 폭락하고 경기가 급변동하면 가장 피해입는건 언제나 서민입니다

오유가 그렇게 좋아하던 어떤 대통령이 그랬다죠 "서민을 힘들게 했던건 급격한 경기 변동이였다"

당연히 디플레가 지속되 집값이 급폭락하고 주요 경제층의 자산이 줄고 소비여력이 감소하면 기업들은 더 투자를 줄이고

자신들의 일자리는 더더욱 타격을 입는것은 경제적 상식인데 이를 무시하고 무조건 당장의 눈앞 달콤함만 쫓다뇨...

다시 한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요 전 상관없습니다만 집값이 한 반토막 나고 시장에 공황이 돌면

가장 웃는자, 그 물량을 싼값에 휩쓸어 갈자들이 누구인지요? 현금을 다량 보유한 자본아닐까요? ... ^^


또 님들이 싫은 쓴소리 한건 알고 있습니다만 만약 제 근거와 논리가 틀렸다면 데이터를 기반해 조리있게 반박해 좋은 토론하길 부탁드립니다

그럼 다음 회에 또 뵙도록 하죠~

출처 economist
kosis
OECD
media daum
credit sussie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