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무궁화가 왜 국화가 되었을까요?
게시물ID : history_246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0
조회수 : 1613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15/12/21 13:41:56
무궁화가 왜 국화지? 물어보는 글에 답변을 못했네요..ㅋ

찾다보니

------------------------------------------------------------------
우리는 무궁화가 국화라는 데 의문을 가져본 적 없다. '애국가'는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고 한다. 무궁화가 한반도 전역에 다 피어 있다는 소리다. 그런데 실제 우리 강산에 무궁화가 많이 보이나? 봄에는 개나리가 피고, 가을에는 코스모스가 핀다. 

무궁화는 하와이의 꽃이다. 한반도와 관계없다. 미국을 좋아하던 이승만이 그냥 국화로 정한 것 같다. 
비슷하게, 북한의 국화가 모란인 이유도 김일성이 단지 좋아했기 때문이다.
------------------------------------------------------------

라는 글을 읽었는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1378332&code=11131100

무궁화,나라꽃 선정 유래… 고려 無窮花 명칭 첫 등장 구한말 우리나라 상징 꽃 부각

입력 2009-08-06 21:35
.....
태극기나 애국가와 달리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규정한 법령 근거는 아직 없다. 다만 여러 문헌과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 민족의 상징적인 꽃으로서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무궁화의 역사적 연원은 고조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 상고사를 재조명하는 '단기고사(檀奇古史)'에는'근수(槿樹)'로, '환단고기(桓檀古記)'에는'환화(桓花)'나'천지화(天指花)'로 표현돼 있다. 중국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에는 "군자의 나라에 무궁화가 많은데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지더라"는 구절이 나온다. 

897년 신라 효공왕 때 최치원이 작성해 당나라 광종에게 보낸 국서에서는 우리나라를 '근화향(槿花鄕)'이라 지칭했다. 고려시대에는 '무궁화(無窮花)' 명칭이 처음으로 나온다. 구한말에는 국학운동에 의해 무궁화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꽃으로 부각돼 한반도를 가리키는 '근역(槿域)'이라는 말이 자주 쓰였다. 

1893년에는 남궁억이 윤치호와 의논해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정했으며 그로부터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란 가사를 넣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상해 임시정부가 발행한 대한독립선언서 상단에 태극기와 무궁화가 도안되는 등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지사들에 의해 민족혼을 일깨우고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표상으로 고양됐다.  
.....

관련기사를 찾아봐도 이정도밖에없네요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흠..근거를 들어 말하기가 힘든것 첨이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