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자신에게 투자하라 두번째 이야기
게시물ID : humorbest_114864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컨포유닷넷
추천 : 40
조회수 : 6781회
댓글수 : 4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11/09 07:31:44
원본글 작성시간 : 2015/11/06 13:33:01
옵션
  • 창작글
[첫번째 이야기]  http://todayhumor.com/?economy_15394
 
많은 분들이 호응을 해주시어 짬을 내어 두번째 이야기를 적어봅니다. ^^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행위에 부동산 투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앞선 글에서 말씀 드렸었습니다.
 
저는 2005년경부터 2010년경 스마트폰 활성화 되기 전까지 국제전화선불 아이템을
온/오프라인 유통하여 적지 않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으며
메인잡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업을 진행한 이력이 있습니다.
 
이를 마케팅전략으로 풀어보면
 
1) PEST분석 : 피쳐폰에서 스마트폰 활성화되기 전까진 당연히 먹힌다. 
2) Insight :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면 음성은 free service에 근접할 것이니 그전까지 사이트를 매도한다
3) 3C분석 : 선불카드를 모르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
4) 5 Forces분석 : 기간통신사에 근무하는 지인을 통하여 상품을 좋은 조건에 공급받다
5) ST분석 : 해외인턴 경험을 살려 어떤 세분시장이 상품의 니즈가 있는지를 알았고 국제결혼 시장도 파고들었다.
6) Place 전략 : 유학시장은 온라인으로 접근하고, 국제결혼 시장은 오프라인 접근하다
7) Price 전략 : 통화품질은 유사하나 기존 서비스 대비 가격은 엄청 저렴하다 (서비스핀 드릴테니 한번 써보시라)
8)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다양한 프로모션(체험상품) 등을 통하여 충전으로 재구매를 유도/적립 등 다양한 이벤트 진행
9) 자금 :  최소한의 사이트 구축비용만 있으면 됨, 그 외 비용 필요 없음
등등,
 
이상 간단하게 생각나는 거만 적어 봤습니다만,
(저는 모든 전략을 저만의 canvas에서 그리면서 구상을 했었고 지금도 그렇게 합니다.)
 
망할 수 없는 그런 small business 였으며,
자산증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중요한 이벤트였습니다.
 
밥먹고 있을 때도 돈이 들어오고,자고 있을때도 돈이 들어오고 제가 한거는 초기 셋팅한다고 6~7개월 노력한거 말고는
입금 확인 후 WEB에서 충전만 해주면 되는 시스템 이었습니다. (손가락 까딱 하면 몇만원 입금이 되던 그러한 시스템)
지금은 세상이 바뀌었지요,,
 
컨텐츠와 1인미디어 그와 관련된 MCN사업 등 
speedy함, 공감, 소통,치유,친환경, 우리 농산물 등이 마케팅 키워드가 될 수 있을거란 생각을 하구요,
 
저는 사업을 함부로 하지 않습니다.

일단 작게 시작한다는 것과,,, 스피디하게 움직인다는 것, 그리고 최악의 경우를 항상 염두한다는 거
특히 작금의 물신주의와 social capital이 붕괴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겸허하고 낮은 자세로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거시적 관점에서는 물질 중심의 자본주의 3.0 (신 자유주의) 에서 사람 중심의 자본주의 4.0 (포용적 자본주의) 로의
지향이 대성적인 흐름이나, 대한민국은 아직 예외인 것 같습니다.
 
각종 통계자료 들이 있으나 굳이 들이밀지 않더라도,,
 
지금의 다양환 사회문제 (자살률, 실업률, 출생률 저하, 빈부간의 격차, 노인 빈곤률 등) 의 근본은
국가가 재정의 기능 (소득의 재분배 및 복지 관점)을 제대로 해지 못해서 야기된 문제입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는 아주 많습니다만, 논리의 방향이 틀어질까봐 생략합니다.

하여간 어설프게 창업했다가 말아먹으면 재기가 거의 불가한 상황이라,
강의나 컨설팅을 할때 내 가족이 한다고 생각한고 진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블로그나 SNS을 통하여 꽤 많은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있고,
그 사람중 대략 5%만 반응을 해도 괜찮은 아이템 팔면 왠만한 월급 수준은 수익을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으나
아직은 그렇게 하지 않고 있습니다. 
 
메인잡과 프리랜서로 바쁘기도 하거니와, 괜찮은 아이템이 보이면 앞서 했던 바와 같이
소싱하여 언제 든지 시작할 수 있는 여력은 됩니다.  그러한 경험이 있기때문이지요,,
고객에게 유의미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그런 아이템이 있다면 다음달에라도 바로 런칭시킬 수는 있습니다.
 
자신에게 투자하라 두번째 이야기를 정리하면,
 
1) 모르면 하지 마라, 그쪽의 공급사 연결망을 알때 까지 하지마라
2) 재직 중에 작게 시작하고 1차적으로 증명이 되면 전업으로 뛰어 들고, 증명되기 전까지는 JOB을 유지하라
3) 관심이 있고 남보다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접근하라 (이것 역시 모르겠다면 직장생활 꾸준히 유지하라)
4) 만약 3번항의 대답을 할 수 있다면 personal  brand 구축 작업을 개시하라!
5) 특정 분야 (ex, 갭투자, 무피투자 )에 너무 필 꽃히지 마시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만나면서 나의 경험과의 교집합을 만들어가라
6) 예측가능성  ☞ (예측가능하면 speedy하게 남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예측불가하면 조심 또 조심하라!)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