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방문횟수 1973회 기념 1973년에는 무슨 일이 있었나
게시물ID : history_2472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여섯시내고막
추천 : 10
조회수 : 1815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6/01/01 04:41:32
안녕하세요 가입한지는 한참 됐는데 방문횟수는 1973회밖에 안되는 눈팅러입니다.
방문횟수 2000기념으로 추천받고 싶은데 그러려면 그전에 이런거라도 하나 해야지 않을까 싶어서 시작해보았습니다..ㅎ
재밌게 봐주세요!
자유게시판에 쓰다가 역사게시판이 더 어울릴 것 같아서 여기에 글 남깁니다 ㅎ

Bruce Lee Picture
1973년 7월 20일 당시 소년들의 영원한 우상이었던 이소룡이 하늘로 떠나갔습니다.
[용쟁호투]

그는 용쟁호투, 맹룡과강 등의 작품을 남겼습니다. 이전과는 다른 실제로 타격하는 것 같은 무술영화를 찍었고 크게 흥행하며 전 세계 영화사에 큰 족적을 남겼죠.
'사망유희'라는 영화를 끝내 마치지 못하고 사망하게 됩니다.
그의 사인은 아직도 수수께끼인데요. 그 당시 여러가지 설들이 엄청~~나게 많았습니다.(삼합회 암살설, 마약중독사 등등)
그 중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는 약물 부작용에 의한 뇌부종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1973년은 새로운 판타지 세계의 창시자인 J.R.R 톨킨, 세기의 천재화가 파블로 피카소 등이 하늘로 떠난 해입니다.

1973년 7월 28일, 이소룡이 하늘로 떠나고 1주일 하고도 하루 후
IMF 당시 국민들의 스트레스 해소제였던 박찬호 선수가 태어납니다.
[1993년 LA다저스 입단당시의 박찬호]

1997년 14승 8패 ERA 3.38
1998년 15승 9패 ERA 3.71
1999년 13승 11패 ERA 5.23
2000년 18승 10패 ERA 3.27
메이저리그에서 그야말로 엄청난 활약을 하면서 국민들의 속을 후련하게 하는 투수였죠
그 후 2001년 텍사스 레인저스 입단으로 5년 6,500만 달러라는 엄청난 FA 대박을 터뜨렸습니다(역대급 먹튀가 되었죠....)

1973년은 이치로가 태어난 해기도 합니다. (둘이 동갑인 걸 이제 알았네요)
그 외에도 베테랑의 류승완 감독, 게임 해설자 김태형 씨도 1973년 생입니다.

1973년은 우리나라 정치사에 있어서 엄청나게 큰 일이 벌어졌던 해인데요
(사실 그 당시엔 한 해, 한 해가 모두 스펙타클 했습니다)
8월 8일 일본에서 김대중이 납치되어 수장될 뻔한 '김대중 납치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1972년 10월, 박정희 정권의 10월 유신이 시작됐습니다.(어제 글을 썼다면 더 자세히 썼을 텐데 죄송합니다..)
박정희는 1961년 쿠데타 이후, 1963~67년 5대, 67~71년 6대 대통령 임기 이후 치러진
1971년 4월 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 김대중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이 됩니다.
'투표에서 이기고 개표에서 졌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투표가 박빙이었습니다.
또한 같은 해 5월, 8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야당이 개헌저지선을 확보하며 
민심이 자신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는 위기감을 느낀 박정희는 1972년 10월 17일 대통령에게 초법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10월 유신을 선포합니다.
메이지 유신에서 따온 이름인 유신 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대통령 직선제의 폐지 및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 선거.
2.국회의원의 1/3을 대통령 추천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3.대통령에게 헌법 효력까지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 부여.
4.국회 해산권 및 모든 법관 임명권을 대통령이 갖도록 하여 대통령이 3권 위에 군림할 수 있도록 보장.
5.대통령의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고, 연임 제한을 철폐하여 종신 집권을 가능케 함.

그야말로 제왕인거죠..
10월 11일, 일본 정계 순방을 이유로 일본을 방문중이던 김대중은 17일 유신이 선포되자 미국으로 망명을 떠나게 됩니다.
[사진으로 본 김대중]1차 망명과 해외 민주화 운동
[미국 망명 당시 강연 포스터]

김대중은 미국에서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한민통)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반정부 투쟁을 벌이게 되는데요.
이 조직의 일본지부를 설립하기 위해 일본으로 가게 됩니다.
도쿄의 히비야 공원에서의 반(反)박정희 집회 참가를 앞두고 호텔에서 습격을 받은 김대중은 이 후 바닷가로 끌려가 중앙정보부 공작선인 용금호로 옮겨지게 됩니다. 이 때, 김대중 본인의 다리에 무게추가 달려있었다고 하며, 바다에 수장될 위기에 빠져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때, 비행기가 나타났고 서로 쫓고 쫓기고를 30분이상 지속하였습니다.
이 비행기는 아마도 미국 CIA의 비행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납치에서 풀려난 직후 기자회견 모습]

미국의 압박에 의해 김대중은 납치 129시간 후인 8월 13일 김대중을 동교동 자택근처에서 풀려나게 됩니다.
김대중은 이 후, 전두환 신군부 시절 내란음모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또 한번 죽을 위기를 넘기게 됩니다(이전, 그리고 그 사이 무수한 암살시도 이외에)

이 외에 박정희 대통령이 해병대를 해체하고 해군으로 편입시킨 해이기도 합니다.

또한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철수하게 된 파리평화협정이 체결된 해입니다. (1973년 1월 27일)
[파리협정 체결 후, 키신저(우)와 르덕토(좌)가 악수하는 모습]
이후 1975년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고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무력으로 흡수통일 하며 길고 긴 베트남 전쟁이 종결됩니다.
베트남 전쟁은 아무리 좋은 무기와 강한 군사력을 가지더라도
민심을 얻지 못하면 실패하게 된다는 진리를 깨우쳐준 전쟁이기도 하죠

내일은 1974년으로 뵙겠습니다
저도 어떤 일들이 74년에 벌어졌을지 두근두근 하네요

이상으로 1973년 무교동 모습을 남기며 물러갑니다
출처 www.konas.net
http://blog.hani.co.kr/tlsskfk21/
https://namu.wiki/w/%EA%B9%80%EB%8C%80%EC%A4%91%20%EB%82%A9%EC%B9%98%EC%82%AC%EA%B1%B4?from=%EA%B9%80%EB%8C%80%EC%A4%91%20%EB%82%A9%EC%B9%98%20%EC%82%AC%EA%B1%B4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B%A6%AC_%ED%98%91%EC%A0%95_(1973%EB%85%84)
http://kym007.tistory.com/415
https://ko.wikipedia.org/wiki/1973%EB%85%84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C%80%EC%A4%91_%EB%82%A9%EC%B9%98_%EC%82%AC%EA%B1%B4
http://www.imdb.com/name/nm0000045/
https://namu.wiki/w/%EC%9D%B4%EC%86%8C%EB%A3%A1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6%8C%EB%A3%A1
https://namu.wiki/w/10%EC%9B%94%20%EC%9C%A0%EC%8B%A0
http://lifelog.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5we&logNo=150125789224&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