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역사를 끌어들이는 수준과 품격이 떨어진다”는 박현모. 인용하는 좃선
게시물ID : sisa_11567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인력거꾼김첨지
추천 : 1
조회수 : 751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20/05/17 19:19:25
김기철 : 대통령을 왜 태종,세종에 비유 했을까?
            현모야 너는 아니?
박현모: 정치인들은 대중에게 친숙한 역사인물을
           끌어들여서 메세지를 전달해.
           앞으로 남은 임기동안은 세종처럼 안정된
           시대를 열겠다는 거지.
김기철: 현 대통령을 태종에 견주는 게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니?
박현모: 태종은 후계자의 안정된 통치기반을 위해서
           외척과 간신을 제걸 하였지
           현 대통령이 친문세력을 어떻게 대했니?
           태종이 하는 일과는 전혀 다르지.
김기철: 그럼 태종의 정치 리더쉽은 뭐야?
박현모: 태종이 가장 잘한일은 출신 따지지 않고
            인재를 발탁해 적재적소 배치한 것이지.
          코드만 따지고 자기 편을 쓰는 현 대통령이
          어떻게 태종과 비교를 해?
김기철: 국가를 위해서라고는 하지만, 태종의 숙청
           작업은 지나치게 냉혹하다고 생각해.
박현모: 공을 위해 사를 버리는 것이 공직자,정치인의
           출발점이지. 정부 산하기관까지 문재인 코드
           인사로 박아버렸는데 이 정부 사람들이 태종을
           제대로 알겠어?
김기철: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엔 세종의
            모습으로 기억되길 바란다고 했는데?
박현모: 그야 대통령을 보좌하는 입장에선 손에 피묻힌
           태종보단 성군 세종으로 남길 바라는 거지.
           나는 현 정부 임기 2년동안 코로나 이후 국가
           전략을 세우고 제대로 방향을 잡았으면 좋겠어.
김기철: 그런데 준만이는 ‘분열과 갈등의 정치를 끝내겠다’는
           현 대통령의 발언에 ‘문재인은 최소한 상도덕이 없다’
           라고 비판을 하고 있어.
박현모: 진보 쪽 사람들은 이슈를 잘 던지고 권력을 잡는 건
            귀신이야. 그런데 국정을 잘 이끌어 가는 건
           다른 문제야.
김기철: 사람들은 역사를 배우기 보단 목적을 동원해
박현모: 정치인들은 역사를 일회용 소모품으로 여겨.
            역사를 제멋대로 도구화하면 품격을 잃고
           웃음거리가 될 걸?
김기철: 요즘 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 지도자를 
           군주에 비교하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란 
           지적이 끊이질 않아.
박현모: 그건 동의하지 않아. 시대는 바뀌어도 역할은
           남아있으니까.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