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송곳 실제 주인공 "511일 파업 원동력은 아줌마 조합원의 분노"
게시물ID : humorbest_115901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반백백마법사
추천 : 58
조회수 : 4912회
댓글수 : 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11/29 23:30:13
원본글 작성시간 : 2015/11/29 22:57:02
"511일 파업 원동력은 아줌마 조합원의 분노"

12일 오후 2시, 김경욱 이랜드 노조위원장은 라면으로 늦은 점심을 때우고 있었다.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한쪽에 세워진 두 평 남짓한 비닐천막 안에서다. 

휴대전화에 문자가 도착했다.

"파업종결 잠정합의안 찬성 87%로 가결". 

지난해 초 사측이 비정규직법 시행을 앞두고 홈에버 매장 계산업무를 외주화하는 데 반발하며 시작된 511일간의 투쟁이 끝나는 순간이었다. 

김 위원장은 라면을 함께 먹던 동료들에게 "어제하고 오늘 (홈플러스)매장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다르더라."며 싱거운 농담을 했다. 

 ●지도부 퇴사…

2000여명 고용보장  파업이 끝날 수 있었던 데에는 노조 지도부의 희생이 컸다. 

이랜드 노조는 지난 10월부터 홈에버를 인수한 삼성테스코(홈플러스)와 네 차례에 걸친 교섭을 진행하며 김 위원장을 포함해 지도부 10여명이 자진 퇴사하는 대신 비정규직 노동자 2000여명의 고용보장을 얻어냈다고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87%라는 숫자가 보여주듯 하루빨리 파업이 끝나길 바라는 조합원들의 열망이 컸다. 다만 지도부를 걱정하느라 눈물을 흘리는 조합원들도 있었다."며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1000일이 넘은 기륭전자의 사례도 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이 500일이나 지속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년이 넘게 성공적으로 노조를 이끈 '지도력'의 비결이 뭐냐고 물었더니,"아줌마 조합원들의 분노"라는 다소 엉뚱한 대답이 돌아왔다.

"500일 파업의 원동력은 분노였다.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아무 이유도 없이 해고됐다. 아무리 하층 노동자라지만 쓰레기 취급당하면서 멀쩡할 순 없었다."

 ●"너무 힘들어 도망치고 싶은 적 많아"

 옳다고 생각해 시작했지만, 질 것이 뻔한 싸움은 역시 힘들었다. 

김 위원장은 "도망치고 싶은 적이 많았다. 평조합원이었으면 하고 바랐던 것도 수십번이었다."고 했다. 

특히 지난 1월 두 아들이 아프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김 위원장은 죄책감에 짓눌렸다.

"바쁘다는 핑계로 애들을 못돌봐줘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옆에서 라면을 오물오물 먹고 있는 아들을 보며 김 위원장은 "앞으로는 아이들 치료에 전념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제는 제발 행복하시기를... 
출처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50517103216643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