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서울시장님의 죽음과 문상에 대하여 정치덕후 글쟁이로서 내 스스로 정한 원칙 몇 가지
1. 사람의 생이란, 일시적인 과오만을 놓고 평가될 문제가 아니라 전 일생을 통털어 공과가 평가되어져야 할 문제이다. 고인은 서울시장 재직이라는 정치인으로서보다 시민사회 창의자로서, 여성 인권 변호사로서 헌신과 족적은 존중될 바다. 따라서 문상을 갈 자유 또한 존중되어져야 한다.
2. 반면에, 문상을 안 가겠다고 선언하는 것 또한 자유의 영역이므로 비난 대상이 아니다.
3. 고인의 극단적 선택을 무책임으로 보기도, 얼마나 스스로가 용서가 안 됐으면 그리 했겠는가 하는 양 측면으로 다 볼 수 있지 않겠나 열린 시각을 가졌으면 한다. 정답은 고인만이 아는 것 아닐까?
4. 생의 막판 성추행 피소 건과 관련해 무죄 추정의 원칙과 피해자 중심주의가 대립되는 바, 양 측 입장 다 일리가 있어 보이니 서로에게 험한 상처를 낼 문제는 아니다.
5. 지금 고소 여성을 나는, 피해자라기보다는 ‘피해 추정 여성’이라고 특정 짓고자 한다. 그녀에 대한 신상털이와 ‘아무개를 잡아먹은 년’ 따위의 공격을 절대 반대하는 바이다.
6. 지금 고인을 비판하는 흐름에는 크게 두 가지가 혼재돼 있는 듯하다. 하나는, 전통적인 일베 같은 치들의 ‘좌파(?!)가 또 성추행 했고 잘 죽었다.’는 류와 피해 추정 여성의 편에 선 시각. 그런데 집권 민주당은 이 둘을 분리 짓지 못하고 모두를 ‘후레자식’이라 칭하거나 ‘모든 게 가짜뉴스’라는 식으로 극도의 거친 반응과 단정적 반응을 내 놓는 바, 이것은 젠더감수성의 측면에서 옳은 태도가 아니라고 본다. 오버를 자중할 필요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7. 쟁점이 추모와 문상을 해야 하느냐 마느냐는 이분법, 일도양단식으로 보거나 갈리는 것은 바람직한 소통 방식이 아니라고 본다. 추모와 문상은 상실감에 대한 ‘보편적 민중의 마음’이라는 측면에서 사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고인의 이름이 거명되면 될수록 너도나도 추모의 말을 보태면 보탤수록 피해 추정 여성의 마음이 무너질 것임을 고려하여, 그 피해 추정 여성을 배려하는 추모 분위기가 되었으면 한다.
8. 서울시와 집권 민주당을 포함한 모든 정치&시민사회 성원과 뭇 누리꾼들은 피해 추정 여성의 말에 귀 기울이고 돕는 것으로 진실 여부가 묻히지 않고 규명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9. 거듭 말하지만 추모가 선이거나 악이 아니다. 한국 사회는 1994년 김일성 주석 서거 시 그이에 대한 추모와 조문 문제가 대두됐을 때 그이의 모든 생에 대하여 다 동의하진 않더라도 추모하자고 찬성한 국민들도 있었으나 당시 김영삼 정권은 추모와 조문을 적대시하고 탄압했던 사례가 있다. 그게 과연 고인에 대한 공과를 제대로 본 행동각이었다고 이제는 그 누구도 생각하지 않는 것을 볼 때 시간이 흐르면 지금의 날선 논쟁이 얼마나 부질 있는 것일지 긴 호흡으로 보았으면 한다.
10. 피해 추정 여성이 ‘무고하게 잡아먹은 X’도 아니요, 그녀를 옹호하는 이들이 반추모 유포자들도 아니다. 서로서로 감정을 조금 내려놓고 서로를 존중하는 입장을 취해주었으면 한다. 제발 우리 한국의 SNS가 그런 금도와 품격과 이성을 갖추어 갔으면 좋겠다. 지금 우리는 너무들 격앙돼 있다. 고인이 죽었는데 왠 격앙이란 말인가? 고인이 민족반역자도 아닌데 왠 격앙이란 말인가? 톤 다운이 필요하다. 지금 방식의 논쟁과 다툼과 ‘비판이 아닌 비난’이 고인이 원하던 바는 아니지 않았겠는가?
11.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을 말과 글로 전하고 들을 것이되, 피해 추정 여성의 문제에도 남은 자들이 응당한 연대의 마음을 모아야 한다는 말과 글과 청취도 병행할 것이다. 설사 주병진 씨 사례처럼 그녀의 주장이 거짓이라고 다른 증언으로 뒤집힌대도 그건 그 때 가서 판단할 일이고 지금은 그녀를 존중하는 게 맞다고 본다.